•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tachiban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Multidrug-resistance reversing activity of the local Citrus fruits in Jeju Island, Korea

  • Lee, Sook-Young;Kim, Sun-Min;Hwang, Eun-J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41-51
    • /
    • 2005
  • We examined whether extracts from 14 local citrus spp. on Jeju Island (Korea) contained chemosensitizing activity that would increase the cytotoxic effect of vincristine(VCR) in drug-resistant cancer cells. We report that methanol extracts from fruits and flowers of some species had a chemosensitizing effect that reversed P-glycoprotein (Pgp)-mediated multidrug resistance (MDR). Using drug-sensitive AML-2/WT and drug-resistant AML-2/D100 in the absence of VCR in human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s we found that fruit or flower extracts alone generally had low cytotoxicity $(IC_{50}>200\;{\mu}g/ml)$. In studies examining the effect of extracts on 120 ng/ml VCR cytotoxicity in drug-resistant AML-2/D100 cells, we found that immature fruit extracts had greater chemosensitizing activity than either extracts from mature fruit or flower. Of the 14 species examined, the immature fruit extract from Inchangkyool (Citrus ichangiensis) showed the hishest chemosensitizing index(CI) valus. Immature fruit extracts of Hongkyool(C. tachibana), Byungkyool(C. platymamma), Cheongkyool(C. nippokoreana) and Jinkyool (C. sunki) also strongly potentiated VCR cytotoxicity in AML-2/D100 cells. The chemosensitizing effect of peel extracts was 2-10-fold that of whole fruit extracts from Hongkyool (C. tachibana), Byungkyool (C. platymamma) and Inchangkyool (C. inchangiensis). The CI values for flower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for mature fruit extracts, but lower than those for immature fruit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mmature citrus fruits contain compounds that do not exert their activity solely through cytotoxicity. In particular, Incahngkyool (C. inchangiensis), Byungkyool(C.platymamma), Cheongkyool(C. nippokoreana) and Hongkyool (C. tahibana) may be useful sources of chemosensitizing compounds.

  • PDF

제주 재래종 감귤 ‘홍귤’, ‘편귤’ 과피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the Peel of the Native Jeju Citrus ‘Hongkyool’ and ‘Pyunkyool’)

  • 현주미;박경진;김상숙;박석만;이영재;안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32-1138
    • /
    • 2015
  •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제주 재래 감귤 중 홍귤, 편귤 품종 과피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용매별 분획물이 보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조사하였다. 홍귤, 편귤 모두 부탄올 분획물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각각 534.4 mg/g, 342.9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그리고 물 분획물 순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있어서도 부탄올 분획물에서 홍귤 431.8 mg/g, 편귤 41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부탄올 분획물 1 mg/ml 에서 홍귤(89.2%), 편귤(64.2%) 모두 가장 높았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 있어서도 두 품종 모두 부탄올 분획물에서 낮은 농도에서도 매우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그 뒤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물 분획물 순이었다. 항염증 효과 측정에서 홍귤, 편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모두 NO, IL-6, iNOS 및 COX-2 단백질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홍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μg/ml 농도에서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였다.

수확시기별 제주재래종 감귤과피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f Jeju Native Citrus Peel during Maturation)

  • 김용덕;마힌다;고경수;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2-469
    • /
    • 2009
  • 제주재래종 감귤류 10종에 대해서 수확시기별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지각과 홍귤이 미숙과인 8월 하순과 9월 하순에 200 mg% 내외로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감귤종이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확시기별 감귤과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은 홍귤과 지각에서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사두감이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홍귤과 지각을 제외한 감귤류의 수확시기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8월 하순에 사두감이 73.8%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에 지각이 거의 70%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감귤종이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대부분의 재래감귤종의 과피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지각과 당유자가 8월 하순에 각각 75.1%와 74.6%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그 외 감귤종도 6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수확시기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감귤이 성숙됨에 따라 hydrogen peroxide 소거능,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병귤이 58.4%로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다른 활성산소종에서 활성이 높았던 사두감, 지각, 당유자가 활성이 가장 낮았다. 본 실험결과 제주재래종 감귤 중 특히 지각이 대부분의 활성산소종에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확시기별 제주재래종 감귤착즙액의 Flavonoids 분포 및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of Flavonoid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Juice of Jeju Native Citrus Fruits during Maturation)

  • 김용덕;고원준;고경수;전유진;김수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3호
    • /
    • pp.278-290
    • /
    • 2009
  • 제주재래종 감귤류 14종의 착즙액에 대해서 수확시기별 flavonoids 13종의 함량변화를 분석하고 항산화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감귤착즙액의 flavonoids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 수록 큰 폭으로 감소하다가 4${\sim}$5차 채취기 이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Quercatagetin, narirutin, hesperidin, neohesperidin은 각각 지각 573.73 mg/100 mL, 사두감 393.99 mg/100 mL, 소유자 29.63 mg/100 mL, 지각 201. 23 mg/100mL으로 미숙과인 8월 하순에 가장 높았다. Polymethoxyflavone류 중 nobiletin, sinensetin, tangeretin은 홍귤에서 8월 하순에 각각 7.39 mg/100 mL, 2.24 mg/100 mL, 0.63 mg/100 mL으로 가장높았고, 다음으로 진귤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3,5,6,7,8,3',4'-Heptamethoxyflavone은 편귤에서 0.27 mg/100mL으로 가장 높았고, 3',4',7,8-tetramethoxyflavone, 3',4'-dimethoxyflavone, 4'-methoxyflavone, 5,6,7,3',4',5'-hexamethoxyflavone, scutellarein tetramethylether는 모든 품종에서 ND${\sim}$0.08 mg/100mL로 함량이 낮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부분의 시료가 미숙과인 8월 하순에 가장 높았다가 11월까지 감소하다가 12월 하순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귤착즙액의 전자공여능은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flavonoids와 총폴리페놀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은 경향을 보였고 당유자가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재래 감귤류 중 지각, 당유지는 quercetagetin이 다른 감귤류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polymethoxyflavone류인 nobiletin과 tangeretin은 미숙과인 홍귤과 진귤에서 함량이 높아 소재 개발로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Extract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이정준;김성훈;장병식;이중복;허철성;김태종;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64-770
    • /
    • 1999
  • 41종의 약용식물을 열수추출하여 위궤양 원인균으로 보고된 Helicobacter pylori에 대해 항균활성을 탐색하였다. 2-fold dilution 방법에 의해서는 백련초, 어성초, 방기, 황련은 100 ppm이하, 백두옹, 연교, 종대황, 소엽은 200 ppm 이하, 사간, 우방자, 결명자, 귤피, 희침, 소목은 300 ppm 이하와 농도에서 H. pylori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중 3가지 추출물만이 disc 방법을 통해 항균활성이 재확인되었으며, 소목, 황련, 소엽의 순으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항균활성이 확인된 3가지 추출물을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로 순차 분획하여 H.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소목의 경우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소엽의 경우는 butanol 분획물에서, 황련의 경우는 butanol과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분획에 따른 항균활성의 상승효과는 모든 추출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H. pylori의 crude-urease를 분리하여 urea R broth에서 흡광도와 pH를 조사한 결과, 반응 2시간 후 pH가 8.15까지, 560 nm에서의 흡광도는 1.7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 pylori의 urease 활성은 소목, 소엽, 황련에 의해 80%이상 억제되었으며, 이중 소목은 urease 활성을 95%이상 억제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