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itron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3초

유자차 부산물을 이용한 유자 과편의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Ratio of Starch and Dilution Factors of Yuza Extract in Preparation of Yuza Pyun)

  • 남혜원;현영희;변진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1-597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for yuza pyun made of citron juice that is by-product of citron tea,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citron. The effects of mungbean starch(15%, 18%) and dilution ratio of yuza extract(100%, 75%, 50%)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were estimated in terms of sweetness, color difference,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Sweetness of the 18% mungbean groups were higher than 15% groups(p<0.001). The values of Hunter color system indicated that higher content of yuza extract tended to increase yellowness significantly(p<0.001). Texture profiles of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of yuza pyu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For sensory evaluation, color and sourness were decreased as yuza extract was diluted, whereas elasticity and sweetness were increased. Yuza pyun containing 18% of mungbean starch with 50% diluted extract was the most preferred in overall acceptability.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lor, sweetness, elasticity and sourness(in order) were important control factors in overall acceptability.

  • PDF

유자씨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Citron Seed Extracts on Cancer Cells)

  • 이윤정;황인국;정은미;김현영;박의석;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72-1678
    • /
    • 2009
  • 유자씨 종피와 배유부분에 대한 n-hexane 및 ethanol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ACE 저해활성,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및 항암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활성은 종피 nhexane 추출물(CSH1), 배유 n-hexane 추출물(CSH2), 종피 70% ethanol 추출물(CSE1) 및 배유 70% ethanol 추출물(CSE2) 가운데 CSE1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SE1의 용매분획물 가운데 ethylacetate 층이 2 mg/mL의 농도에서 라디칼소거능이 73.81% 그리고 총항산화력이 56.64 mg AA eq/g으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CE 저해활성과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도 CSE1이 각각 31.63% 및 45.1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유방암, 간암, 폐암, 대장암 및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는 모든 암세포에 대하여 5mg/mL의 농도에서 종피 ethanol 추출물(CSE1)이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보였다.

유자 첨가 동치미의 관능적 및 텍스쳐 특성 (Sensory and Textur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 장명숙;김나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62-471
    • /
    • 1997
  • 본 연구에서 유자를 0, 1, 2, 4, 6% 첨가하여 동치미를 담그고 1$0^{\circ}C$에서 발효숙성중의 관능적 및 텍스쳐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결과 전반적으로 유자를 첨가한 동치미를 더 좋아하였는데, 2% 유자 처리구가 대부분의 관능적 특성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비휘발성 유기산은 발효숙성 초기에는 생무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mal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발효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lactic acid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유자를 첨가한 처리구들의 값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숙성 말기에는 모든 처리구중 0%와 6%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가용성 펙틴은 전반적으로 산가용성 펙틴이 가용성 펙틴함량 가운데 비교적 높은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발효숙성이 일어나면서 열수가용성 펙틴이 감소하고 염가용성 펙틴의 값이 증가하였다. 4. 무 조직의 경도는 담근 초기에는 유자를 첨가한 처리구들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발효숙성 23일에는 1, 2, 4% 처리구가 대체로 높은 값을 보였고, 6%와 0% 처리구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발효숙성 말기인 36일에는 이 경향이 유지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담근 초기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실험의 조건에서는 발효숙성 초기에는 유자를 첨가한 동치미들의 발효숙성이 첨가하지 않은 것 보다 더 빨리 일어났으나, 발효숙성 말기에는 오히려 유자를 1, 2, 4%로 첨가한 처리구의 저장성이 더 컸으며, 그 중 2% 첨가한 동치미의 조직이 발효숙성말기까지 더 단단하였고 관능적으로도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수준 보다 약 45% 정도 더 손실되어 thiamin 보유율 23%를 유지하였다. 냉동 저장 15일에서 30일까지 저장한 후 재가열 했을 때 thiamin 보유율은 냉장저장 7일후 재가열군과 같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예비가열 조리 후 저장 과정을 거쳐 재가열하여 너비아니를 섭취할 경우, 4일 이내로 소비할 경우는 냉장 저장을 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 경우는 냉동저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S, FOS나 말티톨로 대체된 스폰지 케익은 설탕 100% 사용한 케익과 비교하여 크게 나쁘지 않거나 휠씬 나은 특성을 보이므로 스폰지 케익 제조에 그들의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thione 같은 다른 항산화제의 절약 효과, CYP2El의 유도 저하를 통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중 어떤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고 더욱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우와 사료에 $\omega$3계 지방산 급원을 첨가, 동물에게 이행시켜 $\omega$3계 지방산 강화식품을 제조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전자는 통조림, 과자, 건강보조식품류에 다용되며 후자는 다양한 기능성 축산식품에 활용되고 있다. $\omega$3계 지방산 강화 축산식품에는 돼지고기, 우유, 치이즈, 계란, 분유, 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식품 개발에 더욱 박차가 가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법을 이용해 생산, 시판된 제품의 현황조사에 따르면 식품별로 함량표시가 없는 제품이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에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관리면에서도 이러한 미비점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비자 입장에서도 $\omega$3계 지방산이

  • PDF

Microbial Conversion of (+)-Limonene by an Enterobacter agglomerans Isolate

  • Park, Yeon-Jin;Kim, In-Cheol;Chang, Hae-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636-639
    • /
    • 2003
  • Entercbacter agglomerans 6L was isolated from citron (Citrus junos) peel by using an enrichment culture containing (+)-limonene. It was able to metabolize limonene and grew well ($A_{600}$:4.5) on limonene as a sole carbon source. E. agglomernas 6L was highly resistant to limonene toxicity, and grew to 1.0 optical density ($A_{600}$) even at 5% (v/v) of limonene in Luria-Bertani media. ${\gamma}-Valerolactone$ and cryptone were detected as the major metabolic products of limonene by E. agglomerans 6L.

착즙방법에 따른 유자과즙의 향기 성분에 관한 연구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 정진웅;이영철;정승원;이경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9-712
    • /
    • 1994
  • 유자과즙 이용성 확대 방안의 일환으로 착즙방식에 따른 유자과즙의 향기성분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회전식 마쇄착즙, 압착식 및 벨트식 착즙방법을 사용하여 유자과즙을 착즙하였으며 이들 시료를 GC/MS로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벨트식 착즙방법에서 보다 많은 향기성분 peak가 확인되었고, 향기성분에 대한 회수함량도 벨트식에서 가장 많아 회전식 마쇄 착즙방식의 약 1.36배, 압착식의 약 1.59배 정도로 나타났다. 그 조성은 주로 limonene이 76.87%로 가장 높고 그 외에 ${\gamma}-terpinene$${\alpha}-terpinene$과 같은 탄화수소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linalool의 비율도 타 착즙방식에 비하여 벨트식 착즙방식이 높게 나타났다.

  • PDF

HPLC 및 HPLC/MS를 이용한 유자 씨앗 중 플라보노이드 및 리모노이드 화합물의 분석 (Determination of Flavonoid and Limonoid Compounds in Citron (Citrus junos Sieb. et Tanaka) Seeds by HPLC and HPLC/MS)

  • 우강융;김재이;김민철;장덕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53-358
    • /
    • 2006
  • 유자씨앗 중의 플라보노이드 및 리모노이드 화합물을 methanol 및 ethanol로 추출 HPLC로 정량한 결과 ethanol추출의 경우가 거의 모든 화합물에서 높게 나타났고 화합물의 종류도 더 많이 검출되었다. Limonin이 methanol 추출의 경우 140.34 mg/100g, ethanol 추출의 경우 170.98 mg/100g으로 개별화합물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다음이 caffeic acid, naringin, lutin, nomilin 등의 순으로 높았다. HPLC/MS에 의하여 약42가지 화합물의 분자량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mass spectrum과 extracted current ion chromatogram으로 분자량 측정이 가능하였다.

빙점강하제 첨가 전해산화수에 의한 깐밤의 저장 중 갈변억제 효과 (Antibrowning Effects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with/without Freezing Point Depressing Agents on Peeled Chestnut during Storage)

  • 정진웅;이선민;김은미;김종훈;김명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85-392
    • /
    • 2001
  • 다양한 침지 저장액에 의한 깐밤의 갈변억제에 따른 저장 효과를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저장초기에 13.36 mg%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무처리구는 저장 17일까지 59.12 mg%로 증가 후 다시 감소하였다. 전해산화수 처리구는 저장 8일에 61.02 mg%로 갑작스런 증가를 보인 후 감소하였고, 그 외의 처리구에서는 저장 초기에 미세한 변화를 보이다가 저장 11일에 갑작 스럽게 증가하는 경량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oxidase 활성의 변화는 기질의 증가시기보다 조금 앞서 증가되기 시작하였으며, 무처리구가 저장 11일에 1,152 units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반수 처리구가 저장 8일에 1,117 units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4주간 저장하였을 때에는 유자와 레몬과즙 첨가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각각 143.3 units와 180.22 units을 나타내어 타 처리구에 비하여 갈변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및 관능검사를 통하여 저장기간을 예측하며 본 결과, 무처리구의 경우는 14일, 명반수, 전해산화수 및 NaCl을 첨가한 전해산화수의 경우는 21일, 유자와 레몬을 첨가한 전해산화수 처리구는 28일까지도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자로부터 펙틴의 추출 및 이화학적 특성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Citron Peel)

  • 박수미;이현희;장해춘;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9-573
    • /
    • 2001
  • 본 연구는 유자 과즙 제조시 부산물로 생기는 유자박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펙틴 물질을 추출하여 그 수율을 측정하였고, 추출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로서 무기산은 HCl을, 그리고 유기산은 citrate 와 tartrate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용매에 대하여 추출비율을 달리하여 펙틴을 추출한 결과 1:20이 가장 좋은 비율(건조 유자박: 용매, w/v)로 나타났으며, 사용한 추출용액의 최적 농도는 무기산인 경우는 0.05N, 유기산인 경우는 0.1N이었다. 펙틴 추출과정에서 펙틴에 잔존하는 당을 제거하기 위해 95% ethanol로 1차 펙틴을 침전시킨 후, 65% ethanol로 6회 세척하였다. 펙틴의 추출 수율은 0.05N HCl은 18.7%, 0.1N citrate는 15.5%, 그리고 0.1N tartrate는 11.4%이였다. 추출한 펙틴의 DE는 42.97~47.55%로 low methoxyl pectin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intrinsic viscosity는 0.94~2.63의 범위였다. 분리한 펙틴의 당조성은 무기산으로 추출된 펙틴(4.2~4.7%)이 유기산으로 추출된 펙틴(15~19%)에 비하여 arabinose가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rhamnose, xylose, glucuronic acid, galacturonic acid, galactose 그리고 glucose의 당 함량은 추출된 세 종류의 펙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고추장굴비의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 (Microbiological Changes and TBARS Values during Storage of Kochujang-Gulbi)

  • 신미진;강성국;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37.1-1141
    • /
    • 2001
  • 마늘, 유자 추출물, 에탄올이 첨가된 고추장굴비를 제조하여 2$0^{\circ}C$와 4$0^{\circ}C$에 제품을 보관하면서 총세균수, 효모.곰팡이수 및 TBARS 값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30일간 2$0^{\circ}C$에서 제품을 보관하였을 때 5% 마늘추출물의 첨가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숙성된 고추장의 효모.곰팡이수가 약 1.5 log 정도 낮게 나타났다 굴비의 체내 지방은 삼투압 작용에 의해 고추장으로 빠져 나옴으로 인하여 굴비의 TBARS 값은 오히려 상대적으로 조지방의 감소와 비례하여 줄어든 반면, 고추장에서의 TBARS 값은 증가하였다. 제품을 2$0^{\circ}C$에 저장하였을 때 미생물 성장억제 효과는 마늘추출액, 유자정유, 에탄올 순으로 나타났으며, TBARS값에 있어서는 저장중에는 유자정유 추출물이 다소 효과적으로 항산화효과를 보였지만 최종적으로 처리구들과 대조구간에는 큰 차이점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마늘 추출액을 첨가한 고추장굴비 제품이 맛 뿐만 아니라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해서는 좋은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