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ation Database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2초

세계 특허를 이용한 고피인용 특허의 국내외 동향 분석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 analysis of highly cited patents based on DWPI (Derwent World Patent Index))

  • 권영일;이혁재;이창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3-818
    • /
    • 2008
  • DWPI(Derwent World Patent Index)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고피인용 특허 동향을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및 산업분류에 의해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전세계 특허 중에서 상위 1%를 차지하는 고피인용 특허의 출원인 국적별 분포에서 미국 출원인이 전체 8,416건의 특허 중에서 5,634건(66.9%)으로 나타났으며, 일본(885건, 10.5%), 독일 (521건, 6.2%), 타이완(222건, 2.6%)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 출원인의 경우 151건(1.8%)의 고피인용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6위로 분석되었다. 특허청에서 분류한 산업 분류에 의해 고피인용 특허 분포를 분석한 결과 전세계 업종별 특허에서 제조업 분야의 특허가 7,962건(점유율 81.7%)으로 가장 많았고 폐기물처리업의 경우 578건(점유율 5.9%)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기술 분야별 고피인용 특허는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특허 동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acts of the Journal Evaluation Program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KAMJE) on the Quality of the Member Journals

  • Yang, Hee-Jin;Oh, Se Jeong;Hong, Sung-Tae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8호
    • /
    • pp.305.1-305.5
    • /
    • 2018
  • Background: In 1997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KAMJE) instituted a program to evaluate member journals. Journals that passed the initial evaluation were indexed in the KoreaMed. Here, we report changes in measures of quality of the KAMJE member journals during the last 20 years. Methods: Quality measures used in the study comprised 3 assessment categories; self-assessment by journal editors, assessment of the journals by KAMJE reviewers, and by Korean health science librarians. Each used detailed criteria to score the journals on a scale of 0 to 5 or 6 in multiple dimensions. We compared scores at baseline evaluation and those after 7 years for 129 journals and compared improvements in journals indexed vs. not-indexed by the Web of Scienc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SCIE). Results: Among 251 KAMJE member journals at the end of 2015, 227 passed evaluation criteria and 129 (56%) had both baseline and 7-year follow-up assessment data. The journals showed improvement overall (increase in median [interquartile range; IQR] score from baseline, 0.47 [0.64]; 95% confidence interval [CI], 0.44-0.61; P < 0.001) and within each category (median [IQR] increase by editor's assessment, 0.17 [0.83]; 95% CI, 0.04-0.26; P = 0.007; by reviewer's, 0.45 [1.00]; 95% CI, 0.29-0.57; P < 0.001; by librarian's, 1.75 [1.08]; 95% CI, 1.77-2.18, P < 0.001). Before the foundation of KAMJE in 1996, there were only 5 Korean medical journals indexed in the MEDLINE and none in SCIE, but 24 journals in the MEDLINE and 34 journals in SCIE were indexed by 2016. Conclusion: The KAMJE journal evaluation program successfully contribute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member journals.

학술 문헌 기반 효율적인 전문가 판별 기법 (An Efficient Expert Discrimination Scheme Based on Academic Documents)

  • 최도진;오영호;편도웅;방민주;전종우;이현병;박득배;임종태;복경수;유효근;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12
    • /
    • 2021
  • 특정 연구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연구자를 찾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전문가 판별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전문가 판별을 위해 인용 그래프 기반의 판별 기법과 수식 기반의 판별 기법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수식 기반 판별에서 고려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특성들을 반영한 효율적인 전문가 판별 기법을 제안한다. 연구자의 전문성을 판별하기 위해 품질, 생산성, 기여도, 최신성, 정확성, 지속성을 고려한 전문성 지수를 제안한다. 또한, 학술 검색 사이트만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소셜 인용 수를 추가로 고려한다. 다양한 학술 사이트 기반의 논문 수집 및 성능 평가 결과를 제시하고 제안하는 기법의 타당성과 실현성을 입증한다.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Author's Institution in Korean Journal Papers for the Decision Support in Disaster Situations

  • Kim, Byungkyu;You, Beom-Jong;Shim, Hyoung-Seop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85-9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재난 상황에서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 및 대응을 지원하기 위하여 학술 연구 논문의 저자소속 기관을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업관계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69종에 수록된 재난안전유형 논문 2,308건을 대상으로 KISTI의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와 기관식별데이터를 기반으로 실험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협업관계 분석은 기관, 기관유형, 기관지역, 대학기관의 단위별로 출현빈도 등의 통계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사회네트워크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동시출현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과 주요 중심성 지수를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단위별 네트워크 협업관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시각화 맵을 생성 및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재난 대응을 지원하는 기관 및 협업 그룹의 탐색 활동과 관련 정보서비스체계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tact Tracking Development Trend Using Bibliometric Analysis

  • Li, Chaoqun;Chen, Zhigang;Yu, Tongrui;Song, Xinxi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8권3호
    • /
    • pp.359-373
    • /
    • 2022
  • The new crown pneumonia (COVID-19) has become a global epidemic. The disease has spread to most countries and poses a challenge to the healthcare system. Contact tracing technology is an effective way for public health to deal with diseases. Many experts have studied traditional contact tracing and developed digital contact tracking.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field of contact tracki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contact tracking in the field of computer science by bibliometric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se literature statistics and topic analysis to characterize the research literature of contact tracking in the field of computer science,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development status of contact tracking and the trend of hot topics over the past decade.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goals, we conducted a bibliometric study in this paper. The study uses data collected from the Scopus database. Which contains more than 10,000 articles, including more than 2,000 in the field of computer science. For popular trends, we use VOSviewer for visual analysis. The number of contact tracking documents published annually in the computer field is increasing. At present, there are 200 to 300 papers published in the field of computer science each year, and the number of uncited papers is relatively small. Through the visual analysis of the paper, we found that the hot topic of contact tracking has changed from the past "mathematical model," "biological model," and "algorithm" to the current "digital contact tracking," "privacy," and "mobile application" and other topics. Contact tracking is currently a hot research topic. By selecting the most cited papers, we can display high-quality literature in contact tracking and characterize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entire field through topic analysis. This is useful for students and researchers new to field of contact tracking ai well as for presenting our results to other subjects. Especially when comprehensive research cannot be conducted due to time constraints or lack of precise research questions, our research analysis can provide value for it.

슬개대퇴통증증후군의 침 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Acupuncture Treatment Effect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지민준;권도영;양재은;구지향;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32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degree of pain and function improvement in acupuncture treatment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searched from Medline/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WanFang Data,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Citation Information by NII (CiNII),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ScienceON, KoreaMed, and Korean Medical Database (KMbase).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elected RC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Cochrane RoB2 tool. Results Total of 158 studies were identified and 7 RCTs were selected for systematic review. Frequently used evaluation method were visual analogue scale and Kujala scores. All studie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pain reduction and knee func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but showed partial significa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Conclusions Research showed that acupuncture treat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improving the pain and function of PFPS, bu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it has a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Selected studies included subjective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total of selected studies were small, so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is limited. Also most of the included studies are evaluated to have some concerns of bias. Therefore, subsequent research should continously be done in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method.

디지털 치료기기의 글로벌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f Global Research Trends in Digital Therapeutics)

  • 김대진;김현수;김병관;남기창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62-172
    • /
    • 2024
  • To analyse the overall research trends in digital therapeutics,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bibliometric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from 2014 to 2023. We extrac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studies related to digital therapeutics from the Web of Science (WOS) database and performed publication status, citation analysis and keyword analysis using R (version 4.3.1) and VOSviewer (version 1.6.18) software. A total of 1,114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annual publication growth rate for digital therapeutics was 66.1%, a very rapid increase. "health" is the most used keyword based on Keyword Plus,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depression", "healthcare", "mental-health", "meta-analysis" and "randomized controlled-trial" are the research keywords that have driven the development and impact of digital therapeutic devices over the long term. A total of five clusters were observed in the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ith new research keyword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and "regulation" being observed in recent years. In our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digital therapeutics, keywords related to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disorder, were the top keywords by occurrences and total link strength. Whil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positive effects of digital therapeutics, low engagement and high dropout rates remain a concern, and much research is being done to evaluate and improve them. Future studies should expand the search terms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results.

국내 광역 과학 지도 생성 연구 (Making a Science Map of Korea)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3-383
    • /
    • 2007
  • 전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광역 과학 지도는 학문 분야 사이의 구조적인 관계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광역 과학 지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개관한 후 새로운 방법으로 국내의 학술 활동을 반영하는 광역 과학 지도를 생성하였다. 광역 과학 지도에 대한 연구는 ISI사(현재 Thomson Scientific)의 Garfield와 Small에 의해서 촉발되었고 최근에는 스페인 그라나다 대학의 SCImago 연구팀과 미국 인디애나 대학의 Borner 교수팀이 활발히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들이 만들어 발표하고 있는 지도를 과학 지도 또는 사이언토그램이라고 부르며, 이에 관련된 활동을 과학지도학(scientography)이라고 하였다. 기존의 광역 과학 지도는 대부분 학술 논문 사이의 인용 분석에 근거하여 제작되었으나, 국내 학술 논문에 대한 인용 데이터베이스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의 광역 과학 지도를 만들기 위해서 학술진흥재단에 신청된 과제 제안서의 텍스트를 활용하였다. 학문 분야 사이의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패스파인더 네트워크(PFNet) 알고리즘으로 광역 과학 지도를 생성한 후, 이의 대안으로 개발된 클러스터링 기반 네트워크(CBNet) 알고리즘으로 다시 지도를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두 지도에 나타난 상반된 관점을 통합하도록 CBNet 지도를 수정하여 국내 광역 과학 지도를 제시하였다.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반한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Metadata Research by Using Co-word Analysis)

  • 최예진;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3-83
    • /
    • 2016
  • 다양한 매체와 유형으로 생산되는 정보자원에 대한 이용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자원을 기술하기 위한 정보조직의 도구로서 메타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분야의 연구 영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8년 1월 1일부터 2016년 7월 8일까지 Web of Science 핵심컬렉션에 등재된 저널에 게재된 문헌을 대상으로 'metadata'라는 질의어로 Topic 검색을 수행하여, 총 727건의 논문에 대한 서지정보를 수집하였다. 이 중 저자 키워드를 가진 410건의 논문의 저자 키워드로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거쳐 저자 키워드 총 1,137개를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빈도수 6회 이상의 키워드 37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위해 첫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2개 영역 9개 군집을 도출하였으며, 메타데이터 분야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고, 중심성 분석을 통한 전역 중심 키워드와 지역 중심이 높은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둘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형성된 6개의 군집을 다차원축적지도상에 표시하였으며, 각 키워드들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향후 메타데이터 관련 교육과 연구의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pen Access in Korean Scholarly Journals: Focused on KCI Journals)

  • 김규환;정경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1-267
    • /
    • 2017
  • 본 연구는 KCI 등재지 1,890종을 대상으로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특성을 무료접근과 자유로운 재사용이라는 2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특성은 무료접근적 성향이 강하였다. 학술지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보면 67%가 로그인 없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었고 무료DB를 기준으로 보면 48%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었다. 반면 자유로운 재사용적 성향은 무료접근적 성향에 비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등재지 중에서 14%만이 CC 라이선스를 부여하고 있었다. 또한 주제분야간에 오픈액세스 성향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의약학, 자연과학, 농수해양, 공학 분야가 인문학, 사회학, 예술체육, 복합학 분야에 비해 오픈액세스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해당 주제분야의 학술지 유통을 지원해 주는 기관의 존재 유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제분야와 상관없이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하는 오픈액세스 거버넌스 체제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