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ster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산 긴날개박쥐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년)의 정자변태동안의 소포체와 골지체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관찰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Complex during Spermiogenesis in the Long-Fingered Bat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Hodgson))

  • 최병진;손성원;이정훈;이계일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603-613
    • /
    • 1998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in order to observe relationship between the endoplasmic reticulum and the Golgi complex during spermiogenesis of the long-fingered bat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The testes were obtained from adult bats and treated with the prolonged osmification or fixed with ferrocyanide reduced osmiun. In the Golgi phase, The Golgi complex shows an oval shape, and was composed of a cortex and a medullar enclosing acrosome. The Golgi vacuoles with electron-dense granules of crescent shape were fused with each other. The smooth endoplasrnic reticulum was scattered in all the area of the cytoplasm. In the cap phase, The Golgi complex was crescent in shape, and faced to a nucleus. Large and small vesicles were fused with each other, and then fused with a acrosomal vacuole.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as close to the large Golgi vacuole. In the acrosome phase, The Golgi complex was moved to behind of the acrosome face. Small vesicles were fused with an acrosome, and cisternae of the trans-face of Golgi complex was connected with an acrosome in the early acrosome phase. The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was distributed in the cytoplasm. The annulate lamellar was originated from a radial body-annulate lammellae complex. In the maturation phase, The Golgi complex with dilated cistrern appeared in the cytoplasm, and also, annulate lamellar was observed in the cytoplasm. The connection of the annulate lamellar with the cistern of radial body suggests that an annulate lamellar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radial body. The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was scattered in the cytoplasm in the early Golgi phase, but annulate lamellar-radial body complex which might be a residual and disappearing form of the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appeared in the acrosome phase. The Golgi complex steadily remained in the late maturation phase when the endoplasmic reticulum began to disappear from the cytoplasm: the Golgi complex was still occurred after acrosome formation. The observation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Golgi complex in the late maturation phase, suggests that the Golgi complex may play an important role also even after the acrosome formation.

  • PDF

담즙산 분비과정에 관여하는 흰쥐 간세포내 소기관에 관한 세포화학적 연구 (A Cytochemical Study on the Vacuolar Apparatus Participating in the Transport of Bile Acids in the Rat Hepatocytes (Cytochemical Study on the Vacuolar Apparatus for Bile Acid Transport))

  • 신영철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2호
    • /
    • pp.171-18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dehydrocholic acid를 투여한 흰쥐 간세포의 vacuolar apparatus를 세포화학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박절편에서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는 소낭상으로 팽대된 부분이 열지어 있었으며 어떤것은 돌출되어 있었다. 이러한 소낭 모양의 돌출부는 용해소체 표면에서도 관찰되었다. 소포들은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와 용해소채 및 담세관 주위에서 볼 수 있었으며 소포가 담세관에 융합되어 있는 것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들은 dehydrocholic acid 투여 후 20분이 경과된 흰쥐에서 현저하였다. 정상군이나 실험군에서 거의 모든 Golgi 장치의 형성면은 담세관을 향하고 있었다. 박절편에서 Golgi 장치의 형성면 수조와 소낭 모양의 돌출부 및 소포는 가시물질을 거의 함유하고 있지 않았다. Osmium은 이들구조에서 심하게 침착되어 있었다. 용해소체와 그 주위에 있는 소포에서는 acid phosphatase 활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담세관 주위에 있는 소포에서는 osmium의 침착이나 acid phosphatase 활성이 경하게 나타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증거들로 미루어 소포는 Golgi 장치의 형성면과 용해소체에서 유래되며 이들소포가 담세관에 융합됨으로서 담즙산이 분비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소포가 담세관에 접근해 감에 따라 소포의 효소활성은 저하되는 것 같이 보인다.

  • PDF

식생수로 길이가 비점오염물질 저감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assed Swale Lengths on Reduction Efficiencie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 백승봉;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7-396
    • /
    • 2013
  • 비점오염원은 배출원, 유출경로 및 배출량이 명확하지 않아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최근 들어, 비점오염 관리를 위해 다양한 비점오염저감시설들에 대해 개발 및 연구 되고 있다. 또한 비점오염시설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 다양한 효율산정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 식생수로 길이별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식생수로의 길이가 저감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식생수로 길이별 저감효율을 다양한 방법으로 산정하여 효율 산정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효율 산정 방법으로는 ER, SOL, ROL, ROF, SOLF, ROLF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MC 분석결과 유입 및 유출량의 농도차이가 유기물질이 염양염류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식생수로 길이에 따른 효율 분석 결과 식생수로 유입부에서 효율이 급증하고, 이 후에는 효율 증가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생수로 전단에 설치된 저류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수로의 저감효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생수로의 길이가 최소 30m이상으로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식생수로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선 단순한 효율분석이 아닌 식생수로 최소 길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학대뇌손상 영아에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안저소견 (Smartphone Fundus Photography in an Infant with Abusive Head Trauma)

  • 김용현;최신영;이지숙;윤수한;정승아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8권11호
    • /
    • pp.1313-1316
    • /
    • 2017
  • 목적: 학대뇌손상 영아에서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안저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생후 8개월 남아가 소파에서 떨어진 후 지속적인 발작과 의식저하를 보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표면적인 외상이나 두개골과 긴뼈에서 골절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뇌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광범위한 우측 경막하출혈과 혈종, 심한 뇌부종으로 우측 뇌실과 뇌바닥수조가 소실되고 정중선이 좌측으로 치우쳐져 있었다. 두개내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즉시 머리뼈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응급수술 직후 시행한 안저검사에서 망막의 여러 층에 걸친 광범위한 다발성 출혈이 양안에서 관찰되었고, 융기되어 있는 망막주름 주변에 체리모양 망막출혈이 있었다. 환아 눈에서부터 5 cm 높이에 20디옵터렌즈를, 15-20 cm 높이에 스마트폰을 두고 동영상촬영방식으로 안저를 촬영하였다. 촬영된 안저소견은 유리체망막 부착이 강한 영아에서 반복적인 가속-감속력이 안구에 가해지면 발생하는 전형적인 소견이어서, 진단과 가해자의 진술을 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결론: 학대뇌손상 진단에서 안저검사는 매우 중요하다. 특별한 장비 없이도 시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안저촬영이 하나의 중요한 법의학적 단서로 사용될 수 있었다.

29세 남성에서 발생한 FGFR1 돌연변이를 동반한 미만성 연수막성 신경교종 (Diffuse Leptomeningeal Glioneuronal Tumor with FGFR1 Mutation in a 29-Year-Old Male)

  • 김민수;이기림;최기영;황기환;김재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970-976
    • /
    • 2023
  • 29세 남성에서의 미만성 연수막성 신경교종을 증례 보고한다. 이 질환은 드문 중추신경계 종양으로, 대부분 소아에서 발견되며 성인에서는 소수만 보고되어 있다. 본 환자는 만성 두통으로 내원하여 MRI를 시행하였다. 뇌 MRI에서 경도의 수두증과 다수의 테두리 조영증강을 보이는 병변이 안장위 수조에서 보였으며, FLAIR에서 신호가 억제되지 않는 다수의 비조영증강 낭종성 병변이 양측 기저핵, 시상 및 대뇌에서 관찰되었다. 척추 MRI에서는 요추 및 천추부위의 미만성 연수막 조영증강이 보였다. 생식세포종양의 연수막 파종을 의심하였고 경접형골 종양제거술을 시행 받았다. 병리학 검사에서 미만성 연수막성 신경교종으로 확진되었고, 차세대 염기서열 검사에서 FGFR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연수막 결절성 조영증강과 FLAIR에서 신호가 억제되지 않는 다수의 비조영증강 낭종성 뇌 병변이 함께 관찰될 경우 연수막 조영증강을 보이는 여러 다른 질환들과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된다.

두개인두종 : 소아와 성인에서 초기 증상과 연관된 종양의 특징 비교 (Craniopharyngioma : Comparison of Tumor Characteristics Relevant with Initial Symptomatology between Children and Adults)

  • 박동혁;박정율;김주한;정용구;이훈갑;이기찬;서중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8호
    • /
    • pp.985-991
    • /
    • 2001
  • 목 적 : 두개인두종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부 터어키안에 존재하는 양성종양이다. 그러나 이 종양으로 인한 증상과 징후는 종양의 위치뿐만 아니라 그 크기와 환자의 나이등에 영 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본 저자들은 성인과 소아에서 증상과 연관된 두개인두종의 임상적 특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및 대상 : 1990년부터 1999년까지 두개인두종으로 치료를 받은 23명(성인 : 16명, 소아 : 7명)을 대상으로 종양의 크기, 성장양상과 주변조직으로의 침윤정도와 증상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분석을 위해 16명의 성인(남자 : 8명, 여자 : 8명, 평균연령 : 43.7세)과 7명의 소아(남자 : 5명, 여자 : 2명, 평균연령 : 10.1세)에게 MRI 및 CT를 시행하였으며 3차원적으로 종양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두개인두종에서 3대 주증상은 두개강 내압상승과 연관된 증상, 내분비 기능 이상, 시력이상이다. 종양의 크기는 소아군에서 성인군보다 컸으며 시력이상, 두개강 내압 상승과 연관된 증상, 뇌수두증도 소아군에서 더 많았다. 그러나 내분비 기능 이상과 시상하부와 시상, 뇌하수체, 전두엽과 다른 피질부위와 연결의 이상으로 인한 신경정신적과적인 증상은 성인군에서 더 많았다. 결 론 : 이번 연구에서 두개인두종은 종양의 크기와 침윤성은 두개강 내압 항진과 연관된 증상 및 시력 증상과 연관이 많으며 소아군에서 더 흔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종양의 성장 양상은 소아군과 성인군에서 주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