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sapride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7초

인후두위산역류증(Laryngopharyngeal Reflux : LPR) 관련 증상에 대한 시사프리드(Cisapride)의 효과 (Efficacy Profile of Cisapride in Laryngopharyngeal Reflux(LPR)-Related Symptoms(Open Multicenter Case Study & Open Multicenter Case Study between Cisapride & Ranitidine))

  • 최홍식;고중화;김광문;김광현;김민식;김영모;김찬우;김춘동;김형태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27
    • /
    • 1998
  • Laryngopharyngeal reflux(LPR) is one firm of th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s(GERD). It is known to cause various kinds of otolaryngologic symptoms such as hoarseness, foreign body sensation in throat, chronic throat clearing, chronic cough, etc. Disease entities diagnosed by otolaryngologists as posterior laryngitis, globus pharyngeus should be suspected as LPR-related diseases. In this multi-center trial,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isapride(10mg tid) on LPR-related symptoms as the part I study(CIS-KOR-051) in 19 centers, and as the part II study(CIS-KOR-052) comparative evaluation of effect between cisapride(10mg tid) and ranitidine(150mg bid) on LPR-related symptoms in 4 centers. In part I study, efficacy of cisapride on LPR-related symptoms after 4 weeks was 53.5% and that of after 8weeks was 77.9% in per protocol(PPA) analysis group. In part II study, efficacy of the cisapride was much better than that of ranitidine not only from 8 weeks trial(p<0.001) but also from 4 weeks trial(p<0.021) in PPA group.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parameters which affect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cisapride prescribed group showed 10 times greater than that of ranitidine prescribed group(p<0.0001, Odds ratio : 10) in PPA group. LPR was proved by 24Hr double probe pHmetry in 13 patients out of 19 patients tested(68.4%). Thu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nducing the improvement of motility functions could affect the amelioration of the LPR-related symptoms much better than reducing acid secretion from the stomach. And maybe it suggests that LPR-related symptoms mainly developed by the reduced motility functions of the esophagus and/or delayed gastric emptying.

  • PDF

귤나무 과피 유래 한약재 주정 추출물의 위장관 운동 촉진 효과 (Prokinet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Dried Citrus unshiu Peels in Mice)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4
  • 귤나무(Citrus unshiu)의 과피를 말린 한약재인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P)는 오래 전부터 대한민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위장관 운동 관련 질환의 치료에 전통적으로 쓰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진피 주정 추출물(ANP-E)을 제조하여 실험하였는데, 우선 ANP-E는 5 g/kg의 고용량을 mouse에 경구 투여하였을 때에도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ANP-E가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cisapride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mouse를 대상으로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Cisapride는 20세기 말까지 다양한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던 최고의 위장관 운동 촉진제였으나,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인하여 2000년 이후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이다. 실험 결과, ANP-E는 정상 및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위장관 운동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NP-E의 위장관 운동 촉진 효과를 cisapride와 비교해 보면, 정상 mouse에서는 cisapride와 거의 대등한 위장관 이송률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는 cisapride보다 약효 및 안전성 측면에서 모두 비교 우위를 점하는 강력한 위장관 운동 기능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ANP-E가 인간의 위장관 운동 기능 저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롭고 강력한 신약 후보 물질이자, 아직 시장에 출현하지 않고 있는 cisapride의 대체 의약품으로서 개발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프레팔시드 정 (시사프리드 5 mg)에 대한 시사프러스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Bioequivalence of Cisaplus Tablets to Prepulsid Tablets (Cisapride 5 mg))

  • 유선동;전훈;신범수;박준우;김학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29
    • /
    • 2000
  • Bioequivalence of cisapride-containing $Cisaplus^{(R)}$ tablets (Daewoong Co.) to reference $Prepulsid^{(R)}$ tablets (Janssen Co.)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Sixteen healthy volunteer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wo groups and administered orally at a cisapride dose of 10 mg in a $2\times2$ crossover design. There was a 1-week washout period between the treatments.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48 hr and the plasma cisaprid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an HPLC with UV detector. The area under the plasma drug concentration-time curve (AUC) was caltulated from time zero to the last sampling time by a linear trapezoidal method. The maximum observed plasma drug concentration ($C_{max}$) and the time to $C_{max}\;(T_{max})$ were estimated directly from the drug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ANOVA) showed that the apparent differences for AUC, $C_{max}\;and\;T_{max}$ were $-7.52\%,\;-8.91\%\;and\;-15.55\%$, respectively. The minimum detectable differences for AUC, $C_{max}\;and\;T_{max}$ between formulations were $14.52\%,\;11.57\%\;and\;28.00\%$ respectively, at $\alpha=0.05\;and\;1-\beta=0.8\;levels.\;The\;90\%$ confidence intervals for AUC, $C_{max}\;and\;T_{max}\;were\;-16.00\sim0.97\%,\;-15.67\sim-2.15\%\;and\;-31.88\%\sim0.84\%$, respectively. These results satisfy the bioequivalence criteria of KFDA guidelines, indicating that the two formulations of cisapride are bioequivalent.

  • PDF

동화약품 시사프리드제제의 생물학적 동등성 평가 (Bioequivalence Evaluation of the Cisapride Formulation Produced by Dong Wha Pharmaceutical Co.)

  • 윤광희;박진영;박선주;조은희;유제만;김경식;정석재;이민화;심창구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1호
    • /
    • pp.59-65
    • /
    • 1999
  • A bioequivalence study of the Dong Wha Cisapril tablets(Dong Wha Pharm. Ind. Co., Ltd.) to the Prepulsid tablets(Janssen Korea Ltd.), formulations of cisapride, was conducted. Twenty four healthy Korean male subjects received each formulation at the dose of 5 mg as cisapride in a 2$\times$2 crossover study. There was a 1-week washout period between the doses. Plasma concentrations of cisapride were monitored by an LC/MS method for over a period of 36 h after each administration. AUC(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 time curve from time zero to infinity) was calculated by the linear trapezoidal and extrapolation method. $C_{max}$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 (time to reach $C_{max}$) were compiled from the plasma drug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vealed tha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AUC, $C_{max}$ and $T_{max}$ between the formulations. The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the formulations in these parameters were all far less than 20% (i.e., 6.8, -6.6 and 1.8% for AUC,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Minimum detectable differences(%) at $\alpha$=0.05 and 1-$\beta$=0.8 were all less than 20% in these parameters between the formulations (i.e., 16.5, 11.4 and 16.4% for AUC,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 for these parameters were also within 20% (i.e., -2.9~ 16.4, -13.2~0.1 and -7.8~ 11.4% for AUC,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se results satisfy the bioequivalence criteria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guidelines (No. 98-51).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wo formulations of cisapride are bioequivalent and, thus, may be prescribed interchangeably.hangeably.y.hangeably.

  • PDF

용담 열수 추출물이 위장관 운동 기능 저해 상황에서 위장관 이송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ed Gentiana scabra Rhizomes and Roots on the Intestinal Transit Rate of Mice with Experimental Gastrointestinal Motility Dysfunctions)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45-1350
    • /
    • 2019
  • 한약재로 쓰이는 용담(Gentiana scabra)의 열수 추출물(GS-W)을 정상 마우스에 경구 투여할 경우 in vivo 위장관이송률(ITR)이 유의적이고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이,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n vivo 실험적 위장관 운동 기능 저해(GMD) 마우스 모델에서는 GS-W가 ITR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고자 하였다. GS-W는 5 g/kg의 고용량 경구 투여 시에도 정상 마우스에서 급성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GMD 마우스에서 ITR을 유의적이고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특히 1 g/kg 경구 투여 시의 ITR은 cisapride 투여 시보다 수치 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1990년대까지 임상적으로 널리 처방되었으나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2000년 이후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인 cisapride를 GS-W가 대체하여, 인간의 다양한 GMD 상황을 예방하거나 그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프레팔시드 정(시사프리드 5 mg)에 대한 시사플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Bioequivalence of Prepulsid Tablet to Cisaple Tablet (Cisapride 5 mg))

  • 곽손혁;남진경;장혁;한정희;우종수;이계주;박종우;구선회;황성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1호
    • /
    • pp.55-59
    • /
    • 2000
  • Bioequivalence of two cisapride tablets, test drug ($Cisple^{\circledR}$ tablet: Hanmi Pharm Co., Ltd.) and reference drug ($Prepulsid^{\circledR}$ tablet: Janssen Pharm. Co., Ltd.),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wenty two healthy male volunteer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wo groups and administered the drug orally at the dose of 10 mg as cisapride in a $2{\times}2$ crossover study. There was a week washout period between administrations.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36 hr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of cisapride was determined by a HPLC method. $AUC_{0-36hr}$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from time zero to 36 hr), $C_{max}$ (maximum plasma drug concentration) and $T_{max}$ (time to reach $C_{max}$) were estimated from the plasma drug concentration-time data.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vealed no difference in $AUC_{0-36hr},\;C_{max}\;and\;T_{max}$ between two products. The apparent differences of these parameters between two products were less than 20% (i.e., 5.38, 6.17 and 0.00% for $AUC_{0-36hr},\;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 powers $(1-\beta)$ for $AUC_{0-36hr},\;C_{max}\;and\;T_{max}$ were over 0.9. Minimal detectable differences $(\Delta)$ at ${\alpha}=0.05,\;1-{\beta}=0.8$ were less than 20% (i.e. 17.67, 14.84 and 19.72% for $AUC_{0-36hr},\;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 $(\delta)$ for these parameters were also within ${\pm}20%$ $(i.e.\;-4.97\;{\le}{\delta}{\le}\;15.73,\;-2.53{\le}{\delta}{\le}\;14.86\;and\;-11.55{\le}{\delta}{\le}\;11.55$ for $AUC_{0-36hr},\;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se results satisfied the criteria of KFDA guidelines for bioequivalence, indicating the two tablets of cisapride were bioequivalent.

  • PDF

용담 추출물의 위장관 운동 촉진 활성 (Prokine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Dried Rhizomes and Roots of Gentiana scabra Bunge in Mice)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35-739
    • /
    • 2019
  • 용담(Gentiana scabra)의 근경 및 뿌리를 말린 한약재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각종 염증성 피부 질환,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염, 당뇨병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의학에서 널리 처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용담이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용담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마우스에서 in vivo 위 배출 속도 및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 배출 속도는 용담 열수 추출물 1 g/k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위장관 이송률은 용담 열수 추출물 0.1 및 1 g/kg 투여 시, 그리고 용담 에탄올 추출물 1 g/k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 추출물 모두 용량 의존적 증가 양상을 보였다. 더욱이, 용담 열수 추출물 1 g/kg 투여 시의 위장관 이송률은, 1990년대까지 임상에서 가장 강력한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쓰였으나 2000년 이후 부작용으로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인 cisapride 투여 시보다 그 수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용담 열수 추출물이 잠재적으로 cisapride를 대체할 수 있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개발 가능한 후보 물질임을 시사한다.

당뇨병 환자의 위배출능 : 위배출시간, 위저류율 및 Cisapride의 영향 (Gastric Emptying in Patients with Diabetes: Gastric Emptying Time, Retention Rate and Effect of Cisapride)

  • 정병천;최정일;곽동석;이재태;이규보;김보완;정준모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99-306
    • /
    • 1992
  • 당뇨병 환자에서 $^{99m}Tc-colloid$ labeled scrambled egg와 hamberger를 이용한 고형식의 위배출 양상의 변화를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고찰한 결과 당뇨병성 신경증의 정도, 특히 자율신경계 침습 유무, 이환기간 및 망막증의 정도와 관련이 있었고 혈당농도 및 조절상태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나 당뇨병 환자에서 신경장애가 심할수록 이환기간이 길수록 위장운동 장애가 심한 것을 나타내있다. 당뇨병성 위마비증도 자율신경계 침습이 있는 경우에 잘 발생하였고 Cisapride는 당뇨병 환자의 위 배출시간 및 위저류율을 호전시켰다. $^{99m}Tc-colloid$ labeled scrambled egg와 hamberger를 이용한 고형식의 핵의학적 정사 방법은 barium을 이용한 방사선학적 청사보다 정량화하기 쉽고 생리 식염수 부하검사보다 비침습적이며 당뇨병 환자의 실재 일회 식사량과 비슷한 500kCal의 열량으로 임상상을 잘 반영한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