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nnamomum veru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41초

화장품에 적용한 오배자·계피·로즈마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검증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Stability of Rhus Javanica L., Cinnamomum Verum and Rosmarinus Officinalis Extracts Used in the Manufacture of Cosmetics)

  • 전형철;이재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020-103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인체에 해가 없으며 항균작용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오배자, 계피, 로즈마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연방부제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식물의 추출방법으로는 계피의 경우 70% ethanol 추출, 오배자는 열수추출법, 로즈마리는 70% ethanol 추출과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항균력, DPPH를 통한 항산화능, 화장품의 challenge test, 화장품 안정성 및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 결과, 항균력 시험에서 오배자 추출물은 세균류, 계피 추출물은 진균류에서 항균력이 우수, 로즈마리 추출물의 경우 항균력이 미비해 제외, 복합 추출물(오배자·계피)의 경우는 1:1비율로 조합한 복합 추출물(complex C)에서 항균효과, 복합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에서는 5종의 실험균주에서 억제효과와 살균효과, 천연 단일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complex C)에서는 항산화능이 확인 되었다. 또한 합성 방부제 대신 complex C 10%를 화장품에 적용한 시험에서 제형의 안정성 및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천연방부제 원료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secticidal Activities of Aromatic Plant Extracts against Four Agricultural Insects

  • Kim, Soon-Il;Shin, Ook-Kyun;Song, Cheol;Cho, Kwang-Yun;Ahn, Young-Jo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1호
    • /
    • pp.23-26
    • /
    • 2001
  • The insecticidal activities of 30 aromatic plant extracts against four insect pests were examined by direct contact application. Against Nilaparvata lugens female adults, Myzus persicae female adults, and Plutella xylostella larvae, at 5,000 ppm, >90% mortality was achieved in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rhizomes from Cnidium officinale, Acorus gramineus,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and Curcuma Ionga, the whole plant from Agastache rugosa, the fruits from Illicium verum and Piper nigrum, and the flower bud from Eugenia caryophyllata as well as Cinnamomum camphora steam distillate. Against Spodoptera litura larvae, all test plant extracts were ineffective. The plants described merit further study as potential insect-control agents against insect pests.

  • PDF

Antibacterial Mode of Action of Cinnamomum verum Bark Essential Oil,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Piperacillin, Against a Multi-Drug-Resistant Escherichia coli Strain

  • Yap, Polly Soo Xi;Krishnan, Thiba;Chan, Kok-Gan;Lim, Swee Hua Er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8호
    • /
    • pp.1299-130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cinnamon bark essential oil (CB), when used singly and also in combination with piperacillin, for its antimicrobial and synergistic activity against beta-lactamase TEM-1 plasmid-conferred Escherichia coli J53 R1. Viable count of bacteria for this combination of essential oil and antibiotic showed a complete killing profile at 20 h and further confirmed its synergistic effect by reducing the bacteria cell numbers. Analysis on the stability of treated cultures for cell membrane permeability by CB when tested against sodium dodecyl sulfate revealed that the bacterial cell membrane was disrupted by the essential oil.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and bacterial surface charge measurement also revealed that CB causes irreversible membrane damage and reduces the bacterial surface charge. In addition, bioluminescence expression of Escherichia coli [pSB1075] and E. coli [pSB401] by CB showed reduction,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f quorum sensing (QS) inhibitors. Gas-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of the essential oil of Cinnamomum verum showed that trans-cinnamaldehyde (72.81%), benzyl alcohol (12.5%), and eugenol (6.57%)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 essential oil. From this study, CB has the potential to reverse E. coli J53 R1 resistance to piperacillin through two pathways; modification in the permeability of the outer membrane or bacterial QS inhibition.

계피 초임계 추출물 및 박 추출물의 항균·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and Marc Extracts from Cinnamomum verum)

  • 박성진;유미희;김지은;이삼빈;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3-3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계피 초임계 추출물(SFE oil)과 박 추출물(SFM), 80% methanol 추출물, cinnamaldehye의 항균, 항산화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추출조건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80% methanol 추출물과 SFM이 강력한 항산화능 보였다. 반면에 항균효과에서는 cinnamaldehyde와 SFE oil에서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뛰어났으며, 초임계를 이용한 추출에서 cinnamaldehyde 이외에 다른 camphene, cineole, eugenol 등의 정유성분들이 항균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초임계 추출법이 항균물질 및 정유성분 추출에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초임계 추출 후 폐기되고 있는 박에서도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계피의 초임계 추출물 및 박 추출물 모두 기능성 천연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임계 추출 계피오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전사인자 억제에 의한 지방대사 조절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and Marc from Cinnamomum verum)

  • 박성진;이삼빈;이인선;유미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0-5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를 이용한 계피 오일 추출물(SFC)과 오일 추출 후 남은 부산물인 박(SFM), 그리고 80% methanol (ME) 계피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비만 효과를 비교하고 어떤 계피의 어떤 성질의 성분이 비만에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3T3-L1 preadipocyte의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insulin을 SFC, SFM, ME를 처리하고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전사인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SFC에서 mRNA 수준에서 peroxisome-proliferators-activated-receptor-${\gamma}$ ($PPAR{\gamma}$), CCAAT enhancer-binding-protein ${\alpha}$ ($C/EBP{\alpha}$)의 저해능이 세 가지 조건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또한 SFC는 peroxisome-proliferators-activated-receptor-${\gamma}$ ($PPAR{\gamma}$), CCAAT enhancer-binding-protein ${\alpha}$ ($C/EBP{\alpha}$) sterol-regulatory-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와 acyl-CoA synthetase-1 (ASC1), fatty acid synthesis (FAS), fatty acid transport-1 (FATP1), fatty acid binding protein-4 (FABP4) 그리고 perilipin의 전사인자도 농도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식물체 추출물의 생쥐에 대한 갉기억제활성 (Antignaw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Mice)

  • 윤은준;이성백;이희권;이회선;안용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95-98
    • /
    • 1998
  • 32과 54종 식물체 메탄올 조추출물의 생쥐에 대한 갉기억제활성을 전선침지법으로 조사한 결과, 활성은 식물종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국화과의 목향(Aucklandia lappa) 뿌리, 녹나무과의 계피(Cinnamomum cassia) 수피, 목련과의대회향 (Illicium verum) 과육, 후추과의 후추(Piper nigrum) 과육, 마디풀과의 대황(Rheum officinale) 근경 및 소나무과의 적송(Pinus densiflora) 잎의 메탄올 추출물이 강한 갉기억제활성을 나타내어, 천연물 유래의 설치류 기피제로서 이들 식물체 유래 물질들은 설치류에 의한 피해 예방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양성 전립선 비대증 유발 쥐에 단미 한약재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분석 (Effects of the Korean Medicinal Herbs for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duced in Rat Models: A Review)

  • 배인숙;정승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92-604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 of Korean medicinal herbs on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duced in rat models, as reported in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Methods: Six electronic databases (EMBASE, PubMed, Oasis, RISS, CENTRAL, and Koreankt) were searched with terms including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to identify study reports on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mpairment with Korean medicinal herbs. After selecting several studies, the analysis focused on items reflected in the diagnosis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such as prostate weight, thickness of the prostate epithelium, and prostate specific antigen. Results: Six studies were reviewed. Testosterone propionate was used as a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duction material in all the included studies. Cinnamomum verum (CV), Cynanchum wilfordii (CW), Ponciri fructus (PF), Quisqualis indica (QI), Acorus gramineus (AG), and Melandrium firmum (MF) had reduced prostate weigh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QI gave a better response than finasteride in terms of reducing epithelium thickness, and the respon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state specific antigen level was lower in the group treated with CV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CV, CW, PF, QI, AG, and MF had distinct therapeutic effec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of these is better by comparing them numerically because the observation items evaluated in a rat model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피부 주름개선 소재개발을 위한 식용작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 Formation of Edible Plants for Development of Anti-Wrinkle Ingredients)

  • 이현순;윤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6-192
    • /
    • 2010
  • 피부의 주름은 노화과정의 결과로 유도되어지는데, 비효소적 glycation 반응은 주름생성의 원인 중에 하나로 단백질의 비가역적 가교결합에 의해 생성된 최종당화산물(AGEs)이라고 불리는 갈색화합물을 생성한다. 비교적 반감기가 긴 collagen은 쉽게 glycation이 일어나고 collagen의 가교결합(cross-linking)이 일어나면서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성된 AGEs가 피부에 축적되어 피부의 탄력감소 및 주름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 내에 glycation된 collagen의 축척은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는 것을 방해한다. 수종의 식용작물로부터 항주름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을 조제한 후 AGEs 형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서양향신료 중에서는 월계수잎, 계피, 정향, 오레가노, 로즈마리, 사보리, 팔각과 한약재 중에서는 복분자, 달개비, 삼지구엽초, 가자와 해당화의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에서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국내 식물 중에서는 단지 참취 및 녹차 추출물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만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해조류 중에서는 활성이 높은 시료는 없었다.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 함량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 문지숙;김선재;박윤미;황인식;김의형;박정욱;박인배;김상욱;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7-213
    • /
    • 2004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생약재 32종을 대상으로 천연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메탄올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2종의 균주 B. subtilis, M. luteus, Sta aureus, Sta. epidermidis, Strep. mutans, E. coli, Pse. aeruginosa, Sal. typhimurium, V. vulnificus, Lac. brevis, Leu. mesenteroides, Sacch. cerevisiae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으며, 항균력이 강한 생약재 추출물은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하였다. 검색한 결과 계피, 목단, 적양, 정향, 팔각향 등의 메탄올 추출물은 12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B. subtilis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Sta. epidermidis나 Pse. aeruginosa에 대해서도 거의 모든 추출물이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항균활성 측정시 거의 저해가 없었던 Lue. mesenteroides도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균성과는 약간 다른 결과를 보였다. 생약재 중 강한 항균력을 보인 녹차, 정향, 적양, 인진호 등은 폴리페놀 함량이 약 7 mg/g 이상으로 높아 이들 페놀성 물질들이 항균활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여러 미생물에 의해 변패될 수 있는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