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liate stag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Ciliate와 Cyst의 생활사를 갖는 스쿠티카섬모충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uticociliate with a polymorphic life cycle of ciliate and cyst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진창남;강현실;박근태;이제희;이영돈;최우봉;허문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28
    • /
    • 2005
  • 2003년 북제주 지역의 육상양식장에서 양식중인 넙치에서 새로운 타입의 스쿠티카섬모충을 분리하였다. 이 충은 환경에 따라 ciliate와 cyst로 변태하며 장기간 생존하였는데, ciliate stage의 크기는 영양상태가 양호한 시기 기준 평균 길이 41.8, 폭 21.0 ${\mu}m$ 이었으며, cyst stage는 평균 길이 17.0 ${\mu}m$, 폭 13.5 ${\mu}m$ 이었다. 변태하는 주 원인은 먹이 양이었다. 먹이가 부족하면 cyst로 변태하여 장기간 생존이 가능하며, 먹이가 풍부해지면 ciliate로 재변태하여 활발히 증식하였다. In vitro 배양시험 결과 MS BHI 배지에서 비브리오균 (V. lentus)을 먹이로 하여 15$^{\circ}C$에서 최고 2.9${\times}$105 ${m\ell}^{-1}$의 고밀도로 배양되었다. 환경에 대한 적응시험 결과 ciliate는 염분농도 1-55 ppt, 온도 2.5-30$^{\circ}C$, pH 6-9 범위에서 증식이 가능하였다. 특히 0$^{\circ}C$에서도 7일 이상 장시간 생존이 가능하여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뛰어났다. cyst는 먹이가 없는 상태에서 장시간 생존이 가능하였는데, 5$^{\circ}C$에서는 320일 동안 생존하였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생존기간은 짧아졌다. 화합물을 이용한 in vitro 구제시험에서는 포르말린과 과산화수소 모두 200 ppm/1시간 약욕으로 구제효과가 있었으나 화합물의 약욕농도와 시간에 따라 효과가 달랐다.

Balantidium honghuensis n. sp. (Ciliophora: Trichostomatidae) from the Rectum of Rana nigromaculata and R. limnocharis from Honghu Lake, China

  • Li, Ming;Li, Weidong;Zhang, Lei;Wang, Ch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4호
    • /
    • pp.427-432
    • /
    • 2013
  • A new trichostome ciliate, Balantidium honghuensis n. sp., was isolated from the recta of Rana nigromaculata and R. limnocharis during parasite surveys in Honghu Lake, Hubei Province, central China in summmer of 2010 and 2011. Its detailed morphometric characters based on LM and SEM studies were described herein. The organism is oval in shape and thickly ciliated. The vestibulum is "V" shaped and occupies about 1/3 to 2/5 of the body length. The vestibular and nearby regions possess strong peripheral fibers which form a marked axial fiber about the cytopharynx. More than 10 contractile vacuoles are distribu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latter body. Comparisions were made between this new species and B. sinensis Nie, 1935. They were discriminat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general body forms, body size, and vestibulum shapes. Besides,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its high-speed daughter swarmers which we believed to be the infective stage of B. honghuensis. Possible infection routes of anura amphibian balantidia were discussed.

참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대량 종묘생산시의 Scutica-like ciliate 발생 및 대책 (Occurrence of scutica-like ciliate (SLC) and its control during the mass seed production of the Japanes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 조규태;방종득;김수경;;공용근;김대권;이주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7-174
    • /
    • 2008
  • Few studies on parasitic scutica-like ciliates (SLCs) influencing larval growth and survival during the seed production of the Japanes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have been performed in spite of relatively high magnitude of their infectious damage to the larvae. In the mass seed production of the scallop, SLCs were never infectious during D-larval stage which lasted 6 to 7 days. Indeed, the infection first occurred in 2 to 4 days after first umbo-staged larvae. A regular selection of active larvae in swimming behavior kept larval SLC infection low throughout the culture compared to unselected control (P<0.05) in which all the larvae alive were contained. Higher infection frequencies of the unselected control resulted in lower larval survivals and wider range of larval size distribution that drove larval attachment rate lower. To the worse, the nursery spats from the higher SLC infection exhibited a retarded growth and elevated occurrence of abnormal scallop.

백점충, Ichthyophthirius multifiliis의 발달 단계별 특성 (Developmental features of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a parasitic ciliate of cultured fish)

  • 지보영;김기홍;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31
    • /
    • 1996
  • 양식산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및 한국산메기(Silurus asotus)를 시료로 하여 Ichthyophthirius multifiliis의 발달 단계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하고 또한 수온별로 탈낭에 따른 소요시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1. multifiliis의 발달단계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크게 기생기(parasitic phase)와 비기생기(non-parasitic phase)로 구분할 수 있었고 phoront, trophont, protomont, tomont, tomite 및 theront 의 6 단계의 발달 과정을 거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침입형인 phoront 는 $60{\times}40-100{\times}70{\mu}m$의 방추형 또는 구형으로 34-38열의 meridional kineties를 가졌고 구부 장치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영양형인 trophont는 80-$800{\mu}m$의 구형 또는 아메바형이며, 말굽형의 대핵, 미미한 세포구 및 발달된 수축포를 가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피낭 형성형인 protomont는 200-$800{\mu}m$의 구형으로 미미한 대핵과 현저히 발달된 수축포를 가지고 있었으며 구부 장치의 흡수 및 exocyst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피낭체내 분열형인 tomont는 크기와 모양이 protomont와 같았으나 대핵은 보이지 않았고 endocyst를 형성하여 두꺼운 cyst wall 을 가졌으며 구부 장치가 완전히 흡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딸세포형인 tomite는 35-$50{\mu}m$의 구형으로 세포구가 보이며 구부장치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감염형인 theront는 크기, 모양 및 meridional kineties가 phoront와 같았으며 돌기 및 세포구가 앞끝과 중간 부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 multifiliis 의 탈낭에 따른 소요 시간은 수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온 $28^{\circ}C$에서 10-14 시간이 소요되었고 수온이 낮아질수록 탈낭에 따른 소요 시간이 길어져서 수온 $9^{\circ}C$에서는 약 129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