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chlida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Golden severum, Convic cichlid 및 Discus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비교 (Comparative Ultrastructure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s in Golden severum, Convic cichlid and Discus, Cichlidae, Teleost)

  • 등영건;류동석;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4호
    • /
    • pp.417-432
    • /
    • 1997
  • The structures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in three species of cichlidae, golden severum (Cichlasoma severum var.), convic cichlid (Cichlasoma nigrofasciatum) and discus (Symphysodon aequifasciatus) were investigated by routin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es. The fertilized eggs of all three species were of the non-transparent, ellipsoidal, adhesive and non-floted type. The egg envelopes have a single micropyle, which is thought to the pathway of sperm in the area of the animal pole. In golden severum, an outer surface of egg envelope was covered by a reticular layer, that of convic cichlid was covered by an amorphous reticular layer and that of discus was covered by a branched reticular layer. The fertilized egg envelopes consisted of two distinct layers, an adhesive outer layer and an inner layer, consisted of lamellae alternating with interlamellae of lower electron density, in all three species; an inner layer of golden severum was $15\sim17$ layers, that of convic cichlid was $14\sim16$ layers, and that of discus was $18\sim19$ layers.

  • PDF

한국산 놀래기과 어류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al Review of the Korean Labroidei (Teleostei: Perciformes))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sup1호
    • /
    • pp.74-74
    • /
    • 2009
  • The perciform suborder Labroidei comprising six families (Cichlidae, Embiotocidae, Pomacentridae, Labridae, Odacidae, and Scaridae) are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pecialized pharyngeal jaws for food processing, i.e., united fifth ceratobranchials and upper pharyngeal jaw articulating with the basicranium via diarthroses (Stiassny and Jensen, 1987). They usually inhabit in the most tropical and subtropical seas and comprise about 235 genera and roughly 2,274 species worldwide (Nelson, 2006). Concerning the Korean labroid fishes, Mori (1952) had listed 18 genera and 26 species belong to four families in his check list of Korean fishes since Jordan and Metz (1913) firstly reported six genera and seven species in only two families (Embiotocidae and Labridae). Chyung (1977) added two species, Tilapia mossambica and Cirrhilabrus temmincki, to Mori’s list and also classified them into three suborders, i.e., Embiotocina (containing only Embiotocidae), Pomacentrina (Cichlidae and Pomacentridae), and Labrina (Labridae and Scaridae). Subsequently, Lee and Kim (1996) reviewed the Korean labroidfishes taxonomically resulting in 22 genera and 32 species in five families with some taxonomical modifications including a new Korean record. It is remarkable to be added many new Korean recordsto the pomacentrids or the labrids for recent 10 years (Koh et al., 1995; Yoo et al., 1995; Koh et al., 1997; Myoung, 1997; Choi and Kim, 2000; Choi et al., 2002; Kim and Go, 2003). Recently, Kim et al. (2005) briefly described all members of the Korean Labroidei with a color photograph or a figure, recognizing 27 genera and 42 species in five families. In the present study, the current taxonomical status of the Korean labroid fishes including distributional features is summarized based both on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waters and on literature survey to provide bio-information of the Korean native fish species. As a result, the Korean labroid fishes totally consist of 27 genera and 44 species in five families, that is, Cichlidae (1 species), Embiotocidae (3), Pomacentridae (15), Labridae (22), and Scaridae (2). They distributed mainly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however, most pomacentrids or labrids occur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only, although some species were observed in their larval or juvenile stages only from coastal waters of the island. Interestingly, several species are expanding their distribution north to Ulreung and Dok islands in the East Sea, Korea lately.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Cichlasoma managuensis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in Cichlasoma managuensis, Cichlidae, Teleost)

  • 김동희;장병수;등영건;김석;주경복;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9-15
    • /
    • 2009
  • 경골어류 시클리드과에 속하는 Cichlasoma managuense의 수정란 난막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약황색의 불투명한 부착성 및 침란성란으로 장타원형이었으며 크기는 장축 $1.43{\pm}0.04\;mm$, 단축 $1.85{\pm}0.03\;mm$였다. 수정란의 동물극쪽에서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로 생각되는 난문이 위치하고 있었고 위란강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수정란 난막의 표면에는 부착성 망상구조물들이 덮고 있었고 난문의 형태는 깔때기 형태였다. 수정란 난막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2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외층은 부착성 층, 내층은 전자밀도가 서로 다른 $13{\sim}15$층의 층상구조를 하고 있었다. 수정란의 외형은 전형적인 시클리드과에 속하는 다른 어류와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어 과의 특성을 보이며 이들 수정란 난막에서 표면과 단면의 미세구조는 Cichlasoma managuense만이 가지고 있는 종특이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경골어류의 종을 분류하는데 형태학적 형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놀래기아목(농어목) 어류의 분류와 분포 (A Revision of the Suborder Labroidei(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 이완옥;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2-48
    • /
    • 1996
  • 1988년 9월부터 1996년 3월까지 우리 나라의 전 연안에서 채집된 놀래기아목(亞目)(Labroidei) 어류에 대하여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고, 미세 분포를 조사하였다. 한국산 놀래기아목 어류는 자리돔과(Pomacentridae), 키크리과(Cichlidae), 망상어과(Embiotocidae), 놀래기과(Labridae)와 파랑비늘돔과(Scaridae)의 5과에 22속(屬)32종(種)으로 정리되어, 이들의 과, 속 및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본 조사에서 직접 표본을 입수한 15속 21종은 표본을 중심으로 계수 계측형질을 재 기재하였다. 이중에 1996년 3월 전남 완도에서 채집된 망상어과 어류 Ditrema viridis Oshima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다. 외래도입종인 키크리과 어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놀래기아목 어류는 쿠루시오 난류의 영향을 받는 제주도 연안과 남해안, 그리고 동해 남부와 울릉도 근해에까지 분포하였다.

  • PDF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크리벤시스(Pelvicachromis pulcher)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Kribensis, Pelvicachromis pulcher, Cichlidae, Teleostei)

  • 김동희;장병수;등영건;권중균;이명선;이귀영;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65-71
    • /
    • 2010
  • 경골어류, 시클리드과(Cichlidae)에 속하는 크리벤시스(Pelvicachromis pulcher)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크리벤시스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황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초기난원세포는 진한 파란색으로 염색되었으며 발달함에 따라서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초기의 난원세포에 비하여 파란색으로 낮게 염색되었으며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초기시기의 난원세포와 같이 핵막 안쪽에만 배열하는 특징을 보였다 발달함에 따라서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커졌으며 초기 난원세포에 비하여 색상은 좀 흐려져 보라색에 가깝게 관찰되었고 난막은 관찰되지 않았다.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일부 난황포는 작은 난황괴를 형성하기 시작하였으나 핵 주변부에서는 난황괴 형성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황포는 더욱 발달하여 난황괴(yolk mass)를 이루고 있었고 성숙난의 난황괴를 확대한 결과 난황괴속에 염색밀도가 낮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의 결정구조물들이 채워져 있었다. 이상과 같이 크리벤시스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난황포의 배열방식과 난황괴의 형태는 다른 종과 구별되는 종특이성이다.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Cichlasoma managuensis의 정자형성과정 (The Spermatogenesis of Cichlasoma managuensis, Cichlidae, Teleost)

  • 이규재;장병수;등영건;김석;송미숙;주경복;김동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3호
    • /
    • pp.219-226
    • /
    • 2009
  • 경골어류 시클리드과에 속하는 Cichlasoma managuense의 정자형성과정과 정자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Cichlasoma managuense의 정소는 부레와 창자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고 장축 2.3 cm, 단축 4 mm 정도의 크기로 살색을 띠고 있었다. 정자형성과정은 정소낭(testicular cyst)에서 이루어 졌으며, 각 정소낭 내에 동일한 분화시기의 생식세포가 분포하고 있었다. 정원세포는 타원형이었고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였다. 제1정모세포는 원형으로 정원세포보다 크기가 작았고 제2정모세포는 제1정모세포보다 더 작아졌고 핵의 전자밀도는 더 높았다. 정세포의 초기발달시기에는 세포의 크기가 정모세포보다 작아졌고 두부의 전자밀도가 높아졌으며 편모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미토콘드리아는 핵 주변에 분포하였다. 정자완성과정 말기에는 핵의 염색질 응축이 뚜렷하였으며 핵은 세포질 한쪽에 치우쳐 있었고, 미토콘드리아는 편모 주변에 집중되었다. 완전히 성숙한 정자의 경우 두부형태는 구형이었고 두부에서 첨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편모의 미세소관 배열은 9+2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편모 양쪽으로 lateral fin이 관찰되었다.

Overview of the Fisheries and Aquaculture Resource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 Ekoma, Christian Ngunda;Mangala, Rapael Bukura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17
    • /
    • 2008
  • The Congo has a maritime coastline of 40 km, covering an area of $2,345,409km^2$. The fluvial system covers around $34,000km^2$ in a network of more than 33,000 km of rivers, principal tributaries, and streams. There are around 1,000 known species of fish, essentially freshwater and some brackish. The lakes of the Rift Valley contain the richest lacustrine fauna in the world. The family of Cichlidae alone has more than 900 species. At the same time, the lakes are profoundly different. Lake Tanganyika has 250 species of fish, of which 216 are endemic, whereas Lake Kivu contains only 32 and 16, respectively. A dense hydrographic network of water surfaces, inundated plains and lakes cover around $86,080km^2$ (3.5% of the national area) and have a considerable aquatic potential. The large peripheral lakes of the East cover around $48,000km^2$ of which 47% are under Congolese jurisdiction. The respective areas belonging to the Congo are: Lake Tanganyika, $14,800km^2$; Lake Albert, $2,420km^2$; Lake Kivu, $1,700km^2$; Lake Edward, $1,630km^2$; Lake Mo$\ddot{e}$ro, $1,950km^2$. Another two important lakes in the interior, Lake Tumba and Lake Mai-Ndombe, cover (between them) 2,300 and $7,000km^2$, depending on season (less in the dry season and more in the rainy season). There are also the lakes of the Kamalondo depression ($6,256km^2$), Lake Tshangalele ($446km^2$) and Lake N'Zilo ($280km^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