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undangji Pond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우리나라 궁궐 지당의 조성기법에 관한 기초 조사 연구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의 지안 축석 기법을 중심으로- (A Exploratory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Ponds in Korean Royal Palace Gardens)

  • 이상민;정수정;허학영;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4-130
    • /
    • 2001
  • We have increasing number of new ponds planned and designed in traditional styles. However, many of the stoneworks at the edges of those new ponds are not the characteristics of our traditional ponds. This study is aiming at surveying and analysing the building techniques of Korean traditional water edges built with stones, by investigating selected ponds in royal palace garden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reviews. Nine ponds from Gyongbok Palace, Changdeok Palace, and Changgyong Palace, which have many well-preserved ponds of various styles, were surveyed. First of all, the building materials (stones), or the kinds and sizes of stones used for the edges of ponds were surveyed. Secondly, construction methods, or the height and techniques of buildings stone walls were surveyed. Major findings were, first, the edges of most ponds constructed with granite Jangdaeseok, usually 120cm-140cm long, and 30cm-40cm thick. The only exceptions were those ponds which see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style. Second, typical pond ages were up-right vertical walls. Granite jangdaeseoks were piled-up 2 stories or up to six stories. Exceptions were Bandoji Pond and Chundangji Pond which had been constructed during latest period(King 'Ghojong' period). Third, heith of stone walls were between 60cm and 220cm. The depth of ponds were about 150cm or less, and the rest of the edge wall height was freeboard. 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not made by precise investigation and actual measurement, they could be fundamental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traditional styles of the Chosun dynasty Palace. It is believed that continuous researches on this matter will result in important and fundamental data of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water edges.

  • PDF

문화재 보존원칙으로 본 창경궁 조경 복원정비 양상 해석 (Interpretation of Landscap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in Changgyeonggung Palace through the Preservation Principles of Cultural Heritage)

  • 강재웅;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5-31
    • /
    • 2022
  • 본 연구는 근대경관이 병존하는 창경궁을 대상으로 조경 복원정비 양상의 타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담관리 조직에 따른 조경 복원정비 태도 변화를 이해하였다. 1908년 어원사무국의 황실재산 국유화와 환경미화, 1961년 문화재관리국 출범과 1963년 사적 지정에 따른 문화재 보존, 1983년 창경궁사무소의 복원 후속처리로서 환경정화, 1999년 문화재청 승격과 2019년 궁능유적본부 발족 이후 전문적 조경관리와 관람환경 제공이 포함된다. 둘째, 해방 이후 '창경원 환경정화기(1954~1977)'에는 유원지 시설의 기능 복구, 벚꽃놀이를 위한 시설 설치, 국립동물원 도약을 위한 환경정화가 이루어졌다. '창경궁 중건기(1983~1986)'에는 도시공원 기능을 포함한 복원정비 공사, 완충기능의 유보녹지 설정, 외부공간의 전통적 재조성, 산림지역 통합 정비가 진행되었다. '전통조경공간 보완기(1987~2009)'는 소나무로 획일화된 녹지 경관조성, 화계 중심의 다양한 식생 경관이 도입되었고, '관람환경 개선·정비기(2010~2022)'는 활용을 전제로 한 기본계획 수립되었으나 단위 공간에 집중된 소극적 정비가 고수되고 있다. 셋째, 조경 복원정비의 타당성과 관련하여 문화재 보존원칙의 '고유성' 측면에서 권역별 궁제의 회복이 전각이 밀집한 구역에서 40여 년간 확장되지 않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다층위의 역사를 존중하는 여부로서 '시대성'은 두 차례 창경궁의 복원기준연대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았다. 조선과 근대의 원상이 병존하는 후원 권역의 대온실 일원은 자수화단, 춘당지가 하나의 영역으로서 '완전성'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문화재 공간의 활용 실태로 파악한 '효용성'은 내·외전 권역과 다른 프로그램들로 집중된 대온실과 춘당지의 장소성 확립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