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osplenium flaviflor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Chrysosplenium epigealum J.W.Han et S.H.Kang : A New Species of Chrysosplenium (Saxifragaceae) from Korea

  • Han, Jong-Won;Kang, Shin-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46-348
    • /
    • 2012
  • A new species of Chrysosplenium (Saxifragaceae), C. epigealum J.W.Han & S.H.Kang is described from Mt. Seoraksan, Inje-gun, Gangwon-do, Korea. This new species is distinct from C. flaviflorum Ohwi, its closely relative species, in having calyx 2-2.5 mm long, pistils slightly shorter than calyx, filaments 2-3 times longer than anthers and stolons epigeal.

한국특산 누른괭이눈(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의 형태적 특성 및 분포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Korean endemic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 한종원;양선규;김현준;장창기;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80-485
    • /
    • 2010
  • 본 연구는 한반도 특산식물 누른괭이눈(C. flaviflorum Ohwi)의 보전과 활용을 위하여 근연분류군과의 비교를 통한 형태학적 특성 조사와 새로운 분포지의 보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확인된 형질은 지하로 벋는 줄기의 생성과 잎 표면의 무모로, 전자는 본 분류군에 대한 선행연구 중 Hara를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은 형질이며, 후자는 Ser. Pliosa 내의 변종의 동정에 매우 중요한 형질임에도 본 종을 발표한 Ohwi를 포함한 모든 연구자들이 기재하지 않았던 중요한 형질이다. 한국특산식물인 본 종은 현재까지 한반도 북부지역에만 한정 분포한다고 알려져 왔는데 본 연구에서 한반도 중부아구인 경기도 가평군과 강원도 철원군, 충청북도 영동군에 분포하는 것이 1943년 이후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종의 분포에 관한 정밀한 연구와 환경부 식물구계구분에 의한 특정식물종으로의 지정 등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Taxonomical Study of Chrysosplenium L. (Saxifragaceae) in Korea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 Kim, Hyun-Jun;Jeong, Hea-Seok;Kang, Shin-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18-725
    • /
    • 2013
  • Components extracted from 7 species and 18 populations of Chrysosplenium in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GC-MS analysis. 57 components (${\geq}80%$ quality) were identified, of which neophytadiene, palmitic acid and phytol were found at all the taxa. Percentage composition of isolated extracts showed a clear difference in components type and GC-MS profile. On the basis of that result, data matrix was made and cluster analysis using UPGMA was conducted. From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two groups were recombined; one with alternate leaves comprised C. japonicum in Ser. Alternifolia and C. flagelliferum in Ser. Flagellifera and the other with opposite leaves gradationally comprised C. psuedofauriei in Ser. Sinica, C. ramosum in Ser. Oppositifolia and C. sphaerospermum, C. valdepilosum, C. flaviflorum in Ser. Pilosa. These chemotaxonomic results agreed in general with those of existing studies on external morphology and molecular. In conclusion, chemical composition can be an useful character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 analysis among interspecific and intraspecific complex with the help of cluster analysis of 7 species and 18 populations of Chrysosplenium in Korea.

응봉산(강원, 영월)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Eungbongsan (Prov. Gangwon, Youngwol))

  • 문애라;한종원;박정미;장창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4-247
    • /
    • 2013
  • 본 조사는 강원도 영월군 응봉산의 관속식물 분포를 밝히기 위해 2011년 4월부터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소산 관속식물은 89과 288속 405종 3아종 43변종 7품종으로 총 4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참배암차즈기, 홀아비바람꽃,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은사시나무(재), 개수양버들, 키버들, 누른괭이눈, 고광나무, 참좁쌀풀,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오동나무, 점현호색 등 16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산림청지정 희귀식물은 개서어나무,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쥐방울덩굴, 도깨비부채, 참좁쌀풀, 꽃개회나무,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참배암차즈기 등 총 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I 등급종이 39분류군, II 등급종이 14분류군, III 등급종이 19분류군, IV 등급종이 14분류군, V 등급종이 1분류군으로 총 8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8과 2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밝혀진 전체 소산 식물목록 중 약 6.1%를 차지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군락을 형성하지 않은 상태로 주변 식생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