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petals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2초

스프레이형 국화와 화색변이체로부터 Leucoanthocyanidin dioxygenase (LDOX) 유전자의 분리 (Isolation of a Leucoanthocyanidin Dioxygenase (LDOX) Gene from a Spray-type Chrysanthemum (Dendranthema × grandiflorum) and Its Colored Mutants)

  • 정성진;이긍주;이혜정;김진백;김동섭;강시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818-827
    • /
    • 2010
  • 스프레이 국화 'Argus'의 꽃잎으로부터 $DgLDOX$의 전장 cDNA와 genomic DNA를 분리하였고, 감마선 변이원으로부터 유래된 3가지 화색변이체 사이의 다양한 유전자 특성들을 밝혀냈다. cDNA 영역은 1068bp이고 356 amino acid로 변환되었다. Genomic DNA의 크기는 'Argus'에서 1346bp이었고, 3가지 화색 변이체에서는 1363부터 1374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DgLDOX$ 유전자는 두 개의 엑손 사이에 하나의 인트론을 갖고 있는 구조이고, 그 크기는 'Argus'에서 112bp 이지만 3가지 화색 변이체에서는 128 혹은 137bp였다. 이것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인트론 부분에 유전자가 삽입됐다는 것을 나타낸다. DNA 분석 결과 국화의 게놈 내에서는 하나의 $LDOX$ 유전자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DgLDOX$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연분홍의 'Argus'와 두 개의 보라색 변이체(AM1 and AM3) 에서 높게 발현되었으나 흰색 변이체(AM2)에서는 매우 약하게 발현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DgLDOX$ 유전자의 인트론에 삽입된 유전자 조각 혹은 엑손 부위의 일부 아미노산의 변화에 의해서 변이체의 화색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국화 '백마'의 겨울철 재배시 야간최저온도가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ght Minimum Temperature During Winter Season on Growth and Flowerng in Chrysanthemum 'Baekma')

  • 최성열;허은주;권오근;임진희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6-230
    • /
    • 2009
  • '백마'의 겨울철 재배시 야간최저온도가 생장 및 생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야간최저 온도를 각각 $14^{\circ}C$, $16^{\circ}C$, $18^{\circ}C$로 처리한 후 온도별 생육 및 개회특성, 생리장해 발생 등을 '신마'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발뢰소요일수는 모든 처리 온도에서 '백마'가 '신마'보다 2-11일 정도 길었으나, 개회소요일수는 두 품종 모두 54-59일 정도로 품종간에 유의차가 없었고, 야간 최저온도가 높아짐에 띠라 개화소요일수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절화장 및 절회중은 두 품종 모두 야간최저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고, 꽃잎수는 '백마'의 경우 $16^{\circ}C$에서 300개 이었으나, $14^{\circ}C$$18^{\circ}C$에서는 각각 210개, 233개로 적어져 온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지만, '신마'의 경우에는 온도간 차이가 없었다. 동계 저온에 의한 생리장해 중 로젯트는 '백마'에서만 발생하였으며 $14^{\circ}C$에서 11.1%, $16^{\circ}C$에서 55.6%, $18^{\circ}C$에서 56.1% 발생하였다. 단일처리 후 미발뢰율은 야간최저온도 $14^{\circ}C$에서 '백마' 17.3%, '신마' 4% 이었다.

복색 홑꽃 절화용 스프레이국화 '매직옐로우' 육성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Magic Yellow' with Single Type and Bi-Color Petals for Cut Flower)

  • 황주천;진영돈;정용모;김수경;노치웅;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9권3호
    • /
    • pp.172-176
    • /
    • 2011
  • 'Magic Yellow' 품종은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복색 홑꽃인 'Artist Pink'를 모본, 복색 홑꽃의 'SP03-47'을 부본으로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4에서 2008년에 걸쳐서 파종과 계통선발을 통해 육성하였다. 품종의 특성검정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촉성재배와 억제재배, 자연재배 조건 아래서 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Magic Yellow'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18일경으로 빠른 편이며, 일장조절에 의해 주년재배가 가능하다. 초장이 120.2 cm로 크고 꽃 크기가 6.0 cm인 스프레이국화로 착화수는 11.4개이다. 화색은 황색과 적색을 가진 복색이며, 개화형태는 실린더형이다. 봄의 단일상태에서 'Magic Yellow' 품종의 개화소요일수는 45일 정도로 개화가 빠르며, 가을 절화수명 검정에서 22.9일로 긴 편이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소국(小菊)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난영;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89-1196
    • /
    • 1998
  • 재배국인 소국의 꽃잎을 이용하여 우수한 품질특성의 에탄올추출물을 얻고자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추출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시료에 대한 용매비$(X_1)$, 에탄올 농도$(X_2)$, 추출시간$(X_3)$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물의 특성 즉, 황색도$(Y_1)$, 카로티노이드 함량$(Y_2)$, 가용성고형분$(Y_3)$, 페놀성 화합물 함량$(Y_4)$, 전자공여능$(Y_5)$, 관능적 색과 향$(Y_6,\;Y_7)$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60^{\circ}C$에서 추출을 실시하였다. 각 조건별 실험결과를 회귀분석하여 3차원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종속변수들에 대한 결정계수$(R^2)$$0.8223{\sim}0.9965$ 범위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들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추출조건은 황색도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15 mL/g, 에탄올 농도 97%, 추출시간 18 hr, 카로티노이드 함량 145 mL/g, 50%, 12 hr, 가용성고형분 147 mL/g, 48%, 17 hr, 페놀성 화합물 함량 116 mL/g, 68%, 17 hr, 전자공여작용 110 mL/g, 98%, 14 hr, 관능적 색은 101 mL/g, 48%, 54 hr에서, 향은 109 mL/g, 54% 및 4 hr 조건일 때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여러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추출조건 범위를 최적화 해 본 결과 시료에 대한 용매비 $103{\sim}122\;(mL/g)$, 에탄올 농도 $64{\sim}78\;(%)$, 추출시간 16 (hr)로 나타났다. 최적조건에서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의 예측값들은 실제 측정값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 PDF

양액재배에 의한 국화 '백마'의 줄기공동 경감과 절화품질 향상 (Reduction of Stem Cavity and Improvement of Flower Quality in Chrysanthemum 'Baekma' by Hydroponic Culture)

  • 황인택;조경철;김희곤;기광연;윤봉기;김정근;임진화;최성렬;신학기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51-255
    • /
    • 2009
  • 본 연구는 직삽 양액재배에 의한 '백마'품종의 줄기 공동화를 경감하고 절화품질 향상시키고자 양액농도 및 공급횟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생육단계별 양액농도 변환은 초기중가후기에 EC $1.6{\rightarrow}1.8{\rightarrow}2.0$, $1.8{\rightarrow}1.8{\rightarrow}1.8$, $1.8{\rightarrow}2.0{\rightarrow}1.8$, $2.0{\rightarrow}2.0{\rightarrow}2.0dS{\cdot}m^{-1}$을 각각 처리하였으며, 양액공급횟수는 l 일 48분을 4, 8, 12, 18회로 각각 나누어 공급하였다. 생육단계별 양액농도에 따른 절화장은 양액농도가 높은 EC $2.0{\rightarrow}2.0{\rightarrow}2.0dS{\cdot}m^{-1}$ 처리가 100.1 cm로 컸고, 엽수, 경경, 엽장, 엽폭은 $EC1.8{\rightarrow}2.0{\rightarrow}1.8dS{\cdot}m^{-1}$ 처리가 가장 양호하였고, 꽃잎수는 $EC1.8{\rightarrow}2.0{\rightarrow}1.8dS{\cdot}m^{-1}$ 처리가 344개/송이로 가장 많았고, 줄기공동 크기도 3.4 mm로 가장 작게 나타나 양호하게 나타났다. 양액공급횟수에 따른 효과는 절화장은 양액공급횟수가 12회/1일 처리가 116.2cm 였고, 엽수, 경경, 엽장, 엽폭도 12회/1일 처리가 가장 양호하였으나, 꽃잎수 8회/1일처리가 336개/송이로 많았고, 줄기공동 크기는 12회/1일 처리가 3.4 mm로 가장 작게 나타나 양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생육이 좋을수록 줄기공동의 크기는 작아지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감국 정식시기와 거리에 따른 생육특성과 성분 분석 (Growth Characteristics and Ingredi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Transplanting Date and Distance of Dendranthema (L.).)

  • 정재한;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65-77
    • /
    • 2020
  • 시중에서 많이 판매되는 국화차의 대명사인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을 산업화하기 위해, 2018년 가을에 자생지에서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종자를 채취하여 냉장 보관 후 종자를 발아시켰다. 어린 묘종은 2, 3, 4월에 노지에 시기별, 간격별에 따른 꽃의 수확량과 잎, 줄기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꽃을 채취한 후 잎, 줄기를 채취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국화 묘종을 정식시기별로 심었을 때 꽃은 4월에 정식한 처리구에서 17.1개로 가장 많았다. 꽃의 지름은 2.9cm, 꽃수는 16개, 생체중은 6.5~6.6g, 건체중은 1.1~1.2g이었다. 잎은 3, 4월에 심은 처리구에서 46~47개, 엽장은 5.2~5.3cm, 옆폭은 3.5~3.6cm이었다. 2. 국화 묘종을 정식거리별로 심었을 때 꽃수는 20×20cm 간격으로 심었을 때 16.2개로 가장 작았고, 30~50cm 간격에서는 16.8~17.1개 이었다. 꽃 지름은 2.7~2.8cm, 꽃잎수는 8개, 꽃잎 길이는 0.8cm, 꽃 한 개의 생체중은 6.5~6.6g이었다. 잎수는 30×30cm, 40×40cm에서 47개로 가장 많았고, 엽장은 50×50cm처리구에서는 가장 긴 6.2cm로 나타났지만 그 외 처리구에서는 5.2cm이었다. 3. 국화 잎+줄기의 추출수율은 7.93%였고, 추출 용매색은 50, 60%는 연녹색, 70, 80, 90, 100%는 녹색으로 나타났다. 감국 꽃은 추출수율이 7.58%, 추출 용매색은 50, 60, 70%에서는 연노란색, 80, 90%에서는 노란색, 100%에서는 진노란색이었다. 4. 국화 꽃에 함유된 성분은 gallic acid, 4-hydroxy benzoic acid, methyl gallate, 4-hydroxy-3-methoxy benzoic, caffeic acid, salicylic acid, p-coumaric acid, sinapic acid, naringin, 4-melthoxyben, flavone 등 11가지 성분을 확인하였다. 함량은 29.200~36.900ppm이었다. 5. 국화 잎+줄기에 함유된 성분은 salicylic acid가 6,129.526ppm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4-methoxyben 1,966.714ppm이었다. 함유량이 10ppm 이하로 나타난 것은 methyl gallate 8.197ppm, 4-hydroxy-3-methoxy benzoic 6.994ppm, caffeic acid 5.566 ppm, flavone 4.522ppm, p-coumaric acid 3.787 ppm, gallic acid 1.893pp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