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Growth-Inhibit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on Beneficial and Harmful Human Intestinal Bacteria

  • Kim, Moo-Key;Kim, Min-Jeong;Shin, Dong-Hwa;Song, Chul-Gyu;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65-70
    • /
    • 2001
  • Ethanol extracts of 38 vegetables were subjected to an in vitro screening for their growth-inhibitory activities towards Bifidobacterium bifidum, B. longum, Clostridium perfringens, Lactobacillus acidophilus, L. casei, and Escherichia coli using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s under anaerobic conditions. The responses varied with both bacterial strain and vegetable species. In a test with 20 mg/disc, Zingiber officinale extracts showed significant growth-inhibitory responses against B. bifidum, and strong inhibitions against L. casei were detected in the extracts of Chrysanthemum coronarium var. spatiosum and Lactuca sativa. The extracts of Allium sativum, Capsicum annuum, L. esculentum, L. esculentum var. cerasiforme, and Z. officinale showed stro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C. perfringens, while moderate growth-inhibitory responses were observed in the extracts of C. ffutescens, Cucurbita moschata, Daucus carota var. sativa, and Rubus coreanus. However, all vegetable extracts showed no inhibitions against B. longum, L. acidophilus, and E. coli. In tests with 5 mg/disc, moderate inhibitions were observed in the extracts of C. coronarium var. spatiosum and L. sativa against L. casei and Z. officinale against B. bifidum. Vegetables extracts, except for C. coronarium var. spatiosum, L. sativa, and Z. officinale,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Strong inhibitory responses against C. perfringens were detected in the extracts of C. annuum and L. esculentum var. cerasiforme. Daily intake of vegetables may be important in the prevention of human diseases caused by the intestinal bacteria.

  • PDF

쑥갓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Ssukgat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Powder)

  • 최은정;이승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9-515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ssukgat. Sulgidduk was prepared with freeze-dried ssukgat powder, rice flour, sugar, and salt. The Sulgidduk was made with various amounts(0, 1, 3, 5, 7%) of added ssukgat powder. The moisture content, Hunter's color value, dietary fibe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sukgat Sulgidduk were examined. The addition of ssukgat powder has a tendency to decrease the water content of Sulgidduk. As the amount of ssukgat powder increased, the lightness (L) and redness (a) decreased, and the yellowness (b) increased. In texture profile analysis, the hard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ssukgat powder content. Chewi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different amounts of ssukgat powder.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sweetness, sof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were the highest with Sulgidduk containing 3% ssukgat powder.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ulgidduk with 3% of ssukgat powder contained dietary fiber is the best.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of a Sterol Glucoside form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 조민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7-82
    • /
    • 2007
  • 쑥갓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쑥갓 총 메탄올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는 총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H가 1.5일 때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C_{50}$값은 39ppm으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15ppm과 36ppm일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chlorogenic acid와 동등한 소거작용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silica 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의 활성성분인 compound I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compound를 $^{1}H-NMR$$^{13}C-NMR$ spectral data를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I은 ${\beta}-sitosterol-O-{\beta}-D-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Compound I과 그 aglycone인 ${\beta}-sitosterol$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pH 1.5에서 각각 15ppm과 36ppm일때 compound I의 $IC_{50}$값이 335ppm, ${\beta}-sitosterol$$IC_{50}$값이 41ppm으로 가수분해된 aglycone이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훨씬 높았다. SOD 유사활성의 경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EC_{50}$ 값은 38ppm, 449ppm으로 이와 비교시 ${\beta}-sitosterol$과 배당체의 $EC_{50}$ 값은 1,291ppm과 2,000ppm 이상으로 나타났다.

쑥갓의 간독성 보호작용 (Anti-hepatotoxic Activity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Extract)

  • 강현정;이은주;성상현;김영중;송은숙;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8-143
    • /
    • 2003
  • 쑥갓의 total methanol 추출물이 galactosamine으로 독성을 유발시킨 흰쥐의 일차배양 간세포에서 유리되는 GPT의 활성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간세포 보호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Total methanol 추출물을 다시 $CHCl_3$, n-buthanol, $H_2O$ 분획으로 나누어 galactosamine 독성에 의한 간세포 보호작용을 재검색한 결과, 50 ppm의 농도에서 간세포 보호작용을 가지는 대조약물 silybin의 41.3% 보호효과에 비하여 각각 51.2%, 10.6%, 23.1%의 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중 가장 활성이 큰 $CHCl_3$, 분획을 가지고 활성의 추적 분리 방법으로 소분획 CH-II, V, VI의 활성 subfraction을 얻고 이를 다시 TLC와 활성검색을 병용하여 CH-(V+VI)-d, -e, -j의 sub-subfraction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들은 50 ppm의 농도에서 각각 41.3%, 51.3%, 47.3%의 보호활성을 보였다. 활성 소분획 CH-II, V, VI는 모두 $[^3H]-uridine$ uptake 시험을 통한 RNA 생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otal GSH 값은 간세포 보호약물인 silymarin 대조구 $100\;{\mu}M$ 농도에서의 59.7% 수준의 회복효과에 비하여 각각 49.8%, 43.9%, 47.5%의 회복효과를 보였다. 또한 (reduced GSH)/(total GSH) 값도 silymarin $100\;{\mu}M$에서의 0.850에 비하여 각각 0.871, 0.863, 0.872로 유사한 수치를 타나내었다. 이 연구결과로 쑥갓의 간세포 보호작용을 처음으로 검색, 확인하였으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활성이 있는$CHCl_3$ 소분획을 분리하였으므로 이들 소분획으로 부터 더욱 활성물질을 순수분리하여 그 구조를 밝히고 간세포 보호활성의 기전에 대하여도 다양한 방향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식품재료로 상용되는 식물로부터 분리한 향기추출물의 항산화능 탐색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Extracts from Pla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 장혜원;이화정;이광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23-729
    • /
    • 2005
  • 식물체로 한국에서의 식품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미나리, 쑥갓, 참깨가 지닌 향기 성분의 항산화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식물체 식품재료의 향기 성분은 감압하의 증기 증류와 dichloromethane을 용매로한 액체-액체 연속 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추출된 향기 성분의 정성 및 정량 분석과 이들이 지닌 항산화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미나리, 쑥갓, 참깨의 고유한 향기 성분을 가진다는 것과 이들의 향기 추출물이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와 Lipid MA assay에서 항산화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쑥갓의 향기 추출물은 $500{\mu}g/mL$의 농도에서 두 실험결과에서 모두 50% 이상의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 $100{\mu}g/mL$의 농도에서 참깨의 향기 추출물이 90%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쑥갓과 미나리의 향기추출물이 각각 63%, 12%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500{\mu}g/mL$의 농도에서 hexanal 산화 저해 효과는 참깨>쑥갓>미나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쑥갓, 참깨의 향기 추출물은 95%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보였고, 미나리의 향기 추출물은 25%로 가장 작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이 세 가지 식품소재의 향기성분들은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도 뒤떨어지지 않았다 Lipid MA assay에서는 $100{\mu}g/mL$의 농도에서 MA형성에 대한 저해 효과는 마늘이 $20{\mu}g/mL$의 농도에서처럼 51%로 가장 높았고 미나리와 참깨가 각각 41%, 12%를 나타냈었다. $500{\mu}g/mL$의 농도에서 MA 저해 효과는 쑥갓>미나리>참깨의 순으로, 각각 54, 48, 29%를 나타냈다. 참깨는 20, $100{\mu}g/mL$의 농도에서처럼 가장 작은 효과를 보여줬고, 쑥갓은 50%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Aldehyde/Carboxylic acid assay에서는 참깨가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줬지만 Lipid MA asaay에서는 그에 비해 가장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세척 쑥갓의 선도 유지에 미치는 세척수 온도와 포장 형태의 영향 (Effects of Washing-water Temperature and Packaging Type on the Quality of Fresh-cut Crown Daisies)

  • 장민선;김병삼;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1-177
    • /
    • 2008
  • 쑥갓을 1 및 5$^{\circ}C$의 냉각수와 10$^{\circ}C$의 지하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PP film bag과 PETE tray에 포장하여 4 및 10$^{\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며 중량감모, 호흡율, 표면색, 비타민 C 함량, 미생물분석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4$^{\circ}C$에서 저장한 경우 저장 3일째까지 1 및 5$^{\circ}C$의 냉각수로 세척한 쑥갓은 감모의 변화가 적었으며 호흡속도는 1 및 5$^{\circ}C$ 냉수 세척 처리하여 PETE tray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경우 24.76 및 28.42 mg >$CO_2$/kg/hr로 서로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표면색 변화에 있어서는 처리 구별 L, a, b값이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비타민 C는 4$^{\circ}C$의 저장 고에서 저장한 경우가 10$^{\circ}C$에서 저장한 경우보다 비타민 C 함량 이 높게 유지되었다. 4$^{\circ}C$에서 저장하고 1$^{\circ}C$ 냉각수로 세척한 후 PETE tray로 포장한 쑥갓의 총균수는 1.99 ${\times}$ 104 CFU/g, 대장균군수는 2.33 ${\times}$ $10_1 CFU/g로 무처리구 및 5-10$^{\circ}C$ 세척수로 세척한 경우에 비하여 1 log scale 정도 더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E. coli는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적인 품질에 있어서도 1$^{\circ}C$냉수로 세척하고 PETE tray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쑥갓의 신선도가 5 및 10$^{\circ}C$의 세척수로 세척하고 저장한 경우보다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