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post-sternotom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Pain alleviation in patients undergoing cardiac surgery; presternal local anesthetic and magnesium infiltration versus conventional intravenous analgesia: a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 Kamel, Emad Zarief;Abd-Elshafy, Sayed Kaoud;Sayed, Jehan Ahmed;Mostafa, Mohammed Mahmoud;Seddik, Mohamed Ismail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1권2호
    • /
    • pp.93-101
    • /
    • 2018
  • Background: Magnesium is one of the effective, safe local anesthetic adjuvants that can exert an analgesic effect in conditions presenting acute and chronic post-sternotomy pain. We studied the efficacy of continuous infusion of presternal magnesium sulfate with bupivacaine for pain relief following cardiac surgery. Methods: Ninety adult patients undergoing valve replacement cardiac surgery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In all patients; a presternal catheter was placed for continuous infusion of either 0.125% bupivacaine and 5% magnesium sulfate (3 ml/h for 48 hours) in group 1, or 0.125% bupivacaine only in the same rate in group 2, versus conventional intravenous paracetamol and ketorolac in group 3. Rescue analgesia was iv $25{\mu}g$ fentanyl. Postoperativ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fentanyl consumption during the early two postoperative days were assessed.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over two months for occurrence of chronic post-sternotomy pain. Results: VAS values showed high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the first 48 hours with the least pain scale in group 1 and significantly least fentanyl consumption ($30.8{\pm}7{\mu}g$ in group 1 vs. $69{\pm}18{\mu}g$ in group 2, and $162{\pm}3$ in group 3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chronic pain has not differed between the three groups although it was more pronounced in group 3. Conclusions: Continuous presternal bupivacaine and magnesium infusion resulted in better postoperative analgesia than both presternal bupivacaine alone or conventional analgesic groups.

흉골절개술을 이용한 개심술 후 발생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의 위험인자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in Poststernotomy Sternal Wound Infection and Mediastinitis after Open-heart Surgery)

  • 장원호;박한규;김현조;염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583-589
    • /
    • 2003
  • 흉골절개술 후에 발생하는 흉골 감염과 종격동염의 유의한 위험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2년간 본원에서 개심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법 뜻 대상: 2001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정중 흉골 절개술을 이용하여 개심술을 시행받은 123명의 환자 중 12명의 환자에게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환자들을 연령, 성별, 당뇨, 만성 폐쇄성 폐질환, 비만의 유무로 나누었고 입원 후 수술까지의 기간, 수술 술기의 종류, 응급 수술의 여부, 재수술의 여부. 수술 시간, 체외 순환 시간, 수혈량, 수술 후 출혈량, 응급 재개흉의 여부, 흉골 재봉합의 여부, 기계 호흡 보조 시간, 그리고 중환자실 재원일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환자의 나이, 성별, 당뇨의 유무, 수술 술기의 종류, 재수술의 여부, 수술 시간이나 체외 순환 시간, 그리고 입원 후 수술까지의 기간 등은 창상 감염과는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그 외 다른 변인들은 p-value가 .05 이하로 유의한 인자로서 나타났다. 조기에 응급 재개흉을한 경우, 흉골의 재봉합, 환자가 비만이거나 만성 페쇄성 폐질환을 진단 받은 경우, 수술 후 출혈량과 수혈량, 기계호흡 보조시간과 중환자실 재원일수 등의 나머지 인자들은 수술 후 감염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결론: 창상오염은 수술 전, 수술 중 그리고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수술 후 환자에게 부수적인 수술적 처치를 시행하는 것은 환자의 수술 후 창상 감염에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