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kidney disease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35초

최근 10년간 소아의 연구균 감염 후 급성 사구체 신염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from 1994 to 2003)

  • 구소은;한혜원;박영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6호
    • /
    • pp.606-613
    • /
    • 2005
  • 목 적 : APSGN은 소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급성 사구체 신염의 하나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급성기 이후 완전한 회복을 보이지만, 소수의 환자에서는 급성기 합병증으로 사망하거나, 이후에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과거에 비하여 발생빈도가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소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신질환으로 최근 10년간의 임상 양상을 살펴보고, 과거의 보고들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APSGN으로 진단받고 입원 또는 외래 치료를 시행한 105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연구하였다. 결 과 : APSGN으로 진단받은 환아들의 남녀비는 2 : 1이었고, 평균연령은 $8.5{\pm}2.6$세였다. 연평균 발생 비율은 $10.5{\pm}4.9$였고, 연중 발생을 살펴보면 대부분(60.0%)의 환아가 10월에서 1월 사이에 발생하였다. 내원 당시 부종이 82명(78.1%), 육안적 혈뇨 70명(66.7%), 고혈압 50명(47.6%), 핍뇨 22명(20.9%)에서 나타났고, 현미경적 혈뇨 105명(100%), ASO 양성 99명(94%), C3 감소 96명(91.45), 단백뇨 67명(63.8%)에서 나타났고, BUN이 증가한 경우가 38명(26.2%)였다. C3가 감소하였던 96명 중 70명(75.3%)에서 8주째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22명의 환아에서 신장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급성기 증상은 대부분의 환아에서 1-2주 사이에 소실되었다. 결 론 : APSGN의 임상양상은 과거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고, 급성기 회복률 및 단기예후는 우수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갑상선 초음파의 추적 (Follow-up of thyroid ultrasonography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 김현정;김보라;서영미;조윤영;백종하;김경영;김수경;우승훈;정정화;정재훈;함종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69-74
    • /
    • 2017
  • Background: Chronic kidney disease is considered a risk factor for thyroid nodules as well as thyroid dysfunction such as hypothyroidism. Among patients on hemodialysis, we assessed the size of thyroid nodule and goiter at baseline and 1 year later with ultrasonography. Methods: We prospectively selected 47 patients with hemodialysis at January 2012 and reviewed their medical records. We checked goiter and thyroid nodules at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2. Results: In the hemodialysis patients (n=47), 24 patients (51.1%) had thyroid nodules and 33 patients (70.2%) had goiter at baseline. Parathyroid hormone (PTH) was higher in patients with thyroid nodules ($204.4{\pm}102.9$ vs. $129.9{\pm}93.6pg/mL$, p=0.01). Thyroid ultrasonography was conducted in 29 patients after 1 year. The thickness of the thyroid isthmus increased ($2.8{\pm}1.6$ vs. $3.2{\pm}1.9mm$, p=0.003), but the number of nodules did not change ($1.2{\pm}1.9$ vs. $1.4{\pm}2.0$, p=0.109). PTH was associated with the enlargement of thyroid nodules significantly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Thyroid goiter and nodules in hemodialysis patients were more prevalent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PTH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thyroid nodules in hemodialysis patients. Regular examination with thyroid ultrasonography and thyroid function test should be considered in hemodialysis patients.

Effect of Preadmission Metformin Use on Clinical Outcome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mong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Diabetes

  • Jo, Yong Suk;Choi, Sun Mi;Lee, Jinwoo;Park, Young Sik;Lee, Chang-Hoon;Yim, Jae-Joon;Yoo, Chul-Gyu;Kim, Young Whan;Han, Sung Koo;Lee, Sang-M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3호
    • /
    • pp.296-303
    • /
    • 2017
  • Backgrou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s related to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There are no proven therapeutic measures however, to improve the clinical course of ARDS, except using low tidal volume ventilation. Metformin is known to have pleiotropic effect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hypothesized that pre-admission metformin might alter the progress of ARD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from January 1, 2005, to April 30, 2005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medical ICU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cause of ARDS, and reviewed ARDS patients with DM. Metformin use was defined as prescribed within 3-month pre-admission. Results: Of 558 patients diagnosed with ARDS, 128 (23.3%) patients had diabetes and 33 patients were treated with metformin monotherap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antidiabetic medicatio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ause of ARDS, and comorbid conditions (except chronic kidney disease) were not different between metformin users and nonusers. Several severity indexes of ARD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The 30-day mortality was 42.42% in metformin users and 55.32% in metformin nonusers. On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use of metformin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 reduced 30-day mortality (adjusted ${\beta}-coefficient$, -0.19; 95% confidence interval, -1.76 to 1.39; p=0.816).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es showed similar results. Conclusion: Pre-admission metformin use was not associated with reduced 30-day mortality among ARDS patients with DM in our medical ICU.

입원 환아에서의 "dipstick" 소변검사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Routine "Dipstick" Urinalyses in Pediatric Inpatients)

  • 박용훈;전진곤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115-120
    • /
    • 1984
  • 1983년 5월 1일부터 1984년 10월 31일까지 1년 6개월간 영남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dipstick" 뇨검사를 실시한 대상 환아 844례에서 단백뇨 4.9%, 혈뇨 2.4%, 당뇨 1.1%, 케톤뇨 9.5%로 142례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났다. "Dipstik" 검사의 이상 소견 발현율은 성별, 연령별, 발열 유무와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중등도 이산의 탈수 증세를 나타낸 환아들은 21.2% 에서 단백뇨를, 그리고 31.8%에서 케톤뇨를 나타내어 탈수증세가 없는 환아들의 1.8% 및 1.0% 보다 유의하게 높은 양성율을 나타냈다(p<0.05). 탈수증세의 정도와 케톤뇨의 양성도는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05). 케톤뇨 양성 환아 97례 중 93.8%가 탈수증을, 54.6%가 위장관염을, 51.5%가 발열을, 그리고 29.9%가 호흡기 질환을 동반하였다. 단백뇨와 케톤뇨가 양성이었던 경우 반복검사에서 모두 음성으로 되었다. "Dipstick" 검사에서 혈뇨를 나타낸 13례 중 반복 검사에서 9례는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4례는 계속 양성으로 냐타나 확진검사에서 만성 신우신염 2례, 무증상 뇨로감염증 1례, 양성 반복성 혈뇨 1례로 새로 진단되었다. "Dipstick" 선별검사는 비용이 적게 들며 간단한 검사로 입원 당시에 예상되지 않았던 신뇨로 질환을 찾아 내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마리 개에서 발생한 방광 이행상피세포암종으로 인한 다수의 피하 전이 (Multiple Subcutaneous Nodular Metastasis from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n a Dog)

  • 김혜영;홍은지;박형진;권효정;송근호;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7-250
    • /
    • 2015
  • 10년령 몸무게 3.65 kg의 암컷 포메라니안이 7개월동안 지속된 요실금, 통증배뇨 및 혈뇨를 주 증으로 진료 의뢰되었다. 환자는 좌측 전견갑 부위와 좌측 겨드랑이 부위에 종괴가 확인되었다. 신체검사 및 기본검사를 통해 방광 이행상피세포암종과 이로 인한 피하 전이로 잠정 진단 하였으며, 미톡산트론과 피록시캄을 병용한 6 cycle의 항암 치료를 실시하였다. 항암 치료 기간 동안, 방광 이행상피세포암종의 크기는 점차적으로 작아졌지만, 피하 종양의 크기는 변화가 없었으며 임상증상의 개선도 미약했다. 첫 내원 후 203일째, 3주 동안의 식욕부진과 왼쪽 뒤쪽 복벽 및 왼쪽 안쪽 허벅지에 다수의 종양을 주 증으로 다시 내원하였고, 안락사 하였다. 환자는 사후 부검과 조직병리검사를 통해 만성신장질환과 방광 이행상피세포암종의 추가적인 피하 전이로 확진되었다.

신혈관성 고혈압의 진단에 있어서 캅토프릴 신스캔의 의의 (Captopril $^{99m}Tc-DTPA$ Renal Scintigraphy in Diagnosis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 양형인;이동수;김승철;배상균;최창운;정준기;김성권;이명철;이정상;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2-317
    • /
    • 1992
  • To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aptopril renal scan for renovascular hypertension, we employed the captopril renal scan in conjunction with renal angiography in 81 patients, 159 kidneys, who were referred to evaluate the cause of hypertension. We defined the renovascular hypertension by the criteria of demonstration of renal artery stenosis by angiography, and improvement or cure of hypertension by revascularization. Visual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99m}Tc-DTPA$ renal scan was peformed pre and post captopril administration. The prevalence rate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was 40% in comparing with renal angiography, and 70% in confirmed cases. The causes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in 81 patients were Takayasu's arteritis, fibromuscular dysplasia, atherosclerosis, essential hypertension, chronic pyetonephritis etc.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aptopril renal scan in comparing with renal angiography were 80%, 86.5%, respectively and also 84.2%, 72.6% in confirmed cases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respectively. The causes of false negative cases were nonfunctioning kidney due to complete obstruction or long duration of disease in basal scan, segmental branch artery stenosis, unknown causes, and suspicious true negative cases without confirmation. The false positive cases were abdominal aortic stenosis or aneurysm, dehydration, unknown causes, and suspicious true positive cases. We conclude that captopril renal scintigraphy is highly sensitive, reasonably specific diagnostic method and comparable to other techniques very favorably.

  • PDF

도축장 내의 한우에서 발견된 소 결핵 보고 (Bovine Tuberculosis of Korean Native Cattle in an Abattoir)

  • 장성준;도선희;기미란;홍일화;박진규;지애리;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47-1850
    • /
    • 2009
  • 소 결핵은 만성적으로 서서히 진행 되어 쇠약해 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후 검시 후에 확인 된다. 소결핵의 감염이 대부분 폐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심한 경우에는 기침, 비루 및 호흡 곤란을 유발 한다. 본 고에서는 도축장에서 나온 사체의 심장, 간, 신장, 폐, 복수, 임파선 및 내장에서 얻은 시료를 분석한 것이다. 사체의 부검 검시도중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결핵 병변이 관찰 되었다. 백색 크림 색깔의 결핵은 화농성으로 임파선, 폐 및 장간막을 포함하여 흉막강에 퍼져 있었다. 폐와 임파선의 그램 염색과 Ziehl-Neelsen's acid-fast 염색 결과 강한 조직화학적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Acid-fast에 염색된 유기체들이 현미경 검경에서 발견 되었다. 본 고에서는 의심원인체로 사료되는 Mycobacterium bovis의 조직학적 발견을 근거로 이에 의한 소결핵의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보고하는 바이다.

시츄견에서 위유문부에서 발생한 위선종 증례 (Gastric Adenoma in the Pyloric Outflow Tract of a Shih-tzu Dog)

  • 이희천;권도형;문종현;김영기;조규완;강병택;임금순;서정향;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9-172
    • /
    • 2012
  • 12살의 중성화된 수컷 시츄견이 구토, 식욕부전, 체중감소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병력청취, 혈액검사, 방사선검사, 초음파검사, 내시경검사가 진단을 위해 시행되었다. 병력청취에 따르면, 환자는 몇 주 전부터 만성신부전증 치료를 받고 있었다. 혈청화학검사에서 환자는 고질소혈증을 보였고 복부 방사선검사와 초음파검사에서 위의 유문부 종괴를 확인하였다. 위 내시경 검사에서는 유문방의 증식성 종괴가 관찰되었다. 내시경적 생검 후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는 위선종이였고 이 결과에 따라 수술적 처치(유문 배출부위의 절제와 Y-U 유문성형술)를 실시하였다. 수술 후 두번째 조직병리학적 검사결과 또한 위선종이였다. 술 후, 환자는 점차 호전되었고, 임상증상은 술 후 3주 후 사라졌다. 환자의 상태는 현재까지 잘 유지되고 있다.

한국 성인에서 사구체여과율 및 요 중 미세알부빈/크레아티닌 비율과 페리틴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d the Urine Microalbumin/Creatinine Ratio and Ferritin in Korean Adults)

  • 윤현;이준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5-154
    • /
    • 2019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성인에서 eGFR 및 uACR과 Ferritin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서 20세 이상의 4,948명을 대상으로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 만성신장질환(CKD, eGFR<$60mL/min/1.73m^2$) 및 알부민뇨($uACR{\geq}30mg/g$)에 따른 페리틴 수준을 분석하였다. 만성신장질환군의 ferritin 수준($M{\pm}SE$) [$103.04{\pm}6.59mL/min/1.73m^2$; 95% confidence interval (CI), 90.12~115.96]은 정상군($84.87{\pm}1.16mL/min/1.73m^2$; 95% CI, 82.59~87.14)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07). 그러나 정상군($82.72{\pm}4.09mg/g$; 95% CI, 74.71~90.73)과 알부빈뇨군($82.72{\pm}4.09mg/g$; 95% CI, 74.71~90.73)의 ferritin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487). 결과적으로, 대한민국 성인에서 만성신장질환과 ferritin수준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알부빈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id-Term Outcomes and Angiographic Patency of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 Comparison between OffPump and On-Pump Surgery

  • Sohn, Suk Ho;Kim, Seung Hyun;Hwang, Ho Young;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2호
    • /
    • pp.106-116
    • /
    • 2021
  • Background: We evaluated the mid-term outcomes and angiographic patency of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Methods: Of 2,851 patients who underwent isolated CAB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2000 to 2017, 88 underwent redo CABG. Patients' mean age at redo CABG was 66.0±8.0 years. The mean interval between the first-time and redo CABG was 113.0±62.4 month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86 months. Early and mid-term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Angiographic patency rates were evaluated early (1-2 days), 1 year, and 5 years after surgery.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on-pump and off-pump CABG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e culprits for reoperation were previous grafts (65.6%), native coronary vessels (17.8%), and both (16.7%). Off-pump CABG was performed in 75 cases (85.2%), and the mean number of distal anastomoses was 1.8±0.8. The saphenous vein (39.7%) was us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he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y (28.4%), right gastroepiploic artery (21.3%),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7.8%), and radial artery (2.8%). Operative mortality was 1.1%. The overall survival, cumulative incidence of cardiac death, and cumulative incidence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were 71.3%,12.0%, and 23.3% at 5 years after surgery, respectively. The overall angiographic patency rates were 95.7%, 90.1%, and 92.2% on early, 1-year, and 5-year angiograms, respectively. The angiographic patency rates of saphenous vein grafts were 93.1%, 85.6%, and 91.3% on early, 1-year, and 5-year angiograms,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outcomes or angiographic patency rates were observed between the on-pump (n=13) versus off-pump (n=75) groups. Multivariable analysis revealed that age (hazard ratio [HR], 1.07; p=0.005) and chronic kidney disease (HR, 3.85; p=0.001) were risk factors for all-cause mortality. Conclusion: Redo CABG could mostly be performed using the off-pump technique and did not show increased 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