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sun Ilbo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 신청 초등학교 도서관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Applicants for the "Campaign for Libraries for Rural Schools")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4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2009년 조선일보가 주관한 "시골학교에 도서관을" 캠페인에 신청한 119개 시골 초등학교 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학교들의 신청서를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하고, 시설, 장서, 환경의 측면에서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 학교도서관들은 전체 장서 규모, 1인당 장서 증가 규모 등 수치상으로는 무난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거의 공통적으로 낡고 열악한 시설, 장서의 부족, 불균형과 낮은 질, 재정지원의 부족, 문화적 고립 등 문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전형적 시골학교 도서관이 아니라고 해도 통계 수치만으로 알 수 없는 학교도서관 현실의 일면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등의 인식 변화와 재정 지원이 가장 시급한 해결책임을 인식하고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관련 정책이 유권자들의 관심거리임을 주지시켜야 한다. 둘째, 기존의 각종 도서관 평가와 시상제도의 가시성을 활용해야 한다. 셋째, 각종 도서관 평가에서 질적 측면을 강화해야 한다.

  • PDF

한국복식문화 특성의 변천에 관한 연구-1920년부터 1990년까지- ("The Chang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ronments in Korea"(From 1920 to 1990))

  • 강혜원
    • 복식
    • /
    • 제22권
    • /
    • pp.23-4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ultural characteristic of dress and adornments by examining articles on dress adornments and related items in Korean newspaper over periods historically and objectively by means of content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t-tain a macro-cultural view by analysing to at-tain a macro-cultural view by analysing closel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ornments as a micro-cultural system through culturally based model suggested by hamilton. The two-hundreds and eighty articles on dress and adornments were selected from newspapers(most by form Chosun Ilbo and partly from Maeil Shinbo) pulished between 1920 and 19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ulture of dress and adornment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the 1930's and 1960's and little during 1950's. 2.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dress and adornments appeared on and after 1960's: reporting more foreign news items showing foreign-oriented and future-oriented features showing cultural relativism. In the 1920's and 1970's the contents of news items on dress and adornments show the most common- mass- oriented character. Foreign-oriented cultural tendencies in cloth-ing were increasing during from 1960's to 1970's but the tendencies were turned to rather tradition-oriented features on and after 1980's compare with 1960's-1970's. Advisory critical articles on dress and adornments were small in number and insignificant but compare with other periods these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the 1920's and 1980's. 3. Ideological components received much at-tention on and after 1920's to 1990. Techo-nological components received much attention during 1920's and little during 1960's. The social structural components received a little attention on and after 1920's-1940's and 1990. 4. News items on women's dress and adornment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1920's to 1960's and news items on both men's and women's dress and adorments were in-creasing and received much attention on and after the 1970's. 5. The pragmatic cultures were mostly re-lated to techonological components and evaluative-normative culture were mostly re-lated to ideological and social structural components.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dress and adorments as a cultural sub-system comprise a dynamic inteacting system that articulated directly with the macro-cultural system.

  • PDF

Interpreting Discourse Metaphors in Media: Focusing on News Coverage of Election Campaign

  • Ban, Hyun;Noh, Bo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04-110
    • /
    • 2022
  • This paper aims to analyze discourse metaphors by paying attention to Seoul mayoral by-election, mainly focusing on election campaign and its related news articles. The 2021 Seoul mayoral by-election was held because the former mayor died in an apparent suicide after he was accused of years of sexual harassment to a former secretary. But in the run-up to the by-election, the newly coined word 'alleged victim' from the ruling party caused a big controversy because the party attempted to deny the authenticity of the secretary's claim by calling her "an alleged victim," instead of "a victim" to defend the former mayor who is a member of the ruling party, implying that the woman's claim is just an allegation with no proof. Thus, this paper has analyzed how news stories were reported with regard to the word 'alleged victim' poser on news stories in two Korean quality newspapers, a conservative newspaper (Chosun Ilbo) and a liberal newspaper (Hankyoreh) from March 1 to April 1, 2021 and analyzed them with the framework of Lakoff and Johnson's Conceptual Metaphor Theory(19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 the conservative newspaper reports this issue much more than the liberal newspaper; (ii) both quality newspapers follow the metaphor principles by Conceptual Metaphor Theory; (iii) the conservative newspaper is more likely to follow the Strick Father model (a conservative model) while the liberal newspaper is to follow the Nurturant Parent model (a liberal model), thus indicating that each newspaper's ideology is well represented by the models of Conceptual Metaphor Theory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통치정책과 영화의 활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the ruling policy of Government-General of Chosun and its use of films for the political propagand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1910-1945))

  • 조희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07-1415
    • /
    • 2006
  • 일본은 1910년, 한국과 을사보호조약을 체결한 것을 계기로 한반도에 대한 식민지 통치를 시작했다. 조선총독부는 한국 내에서 입법, 사법, 행정력을 독점한 최고 권력기관이었다. 일본의 한국지배는 1945년까지 계속되었으며 조선총독부 또한 그때까지 존속했다. 조선충독부는 일본의 한국통치 정책을 충실하게 집행하는 기관이었으며 한국인의 반일, 항일 행위를 무마하고 일본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나갔다. 이를 위해 일본은 일본과 한국은 같은 뿌리에서 탄생한 공동운명체라는 개념을 의식화하여 '내선일체(內鮮一體)' 정책을 주요 수단으로 삼았다. 궁극적으로는 일본과 한국이 하나의 국가라는 개념을 실현하려는 것이다. 이같은 방침에 따라 일본은 한국인을 일본인으로 동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펴나갔는데, 1910년부터 1919년까지는 억압적인 통제에 의존했다. 그러나 이같은 조치는 1919년 3월 1일을 기해 대대적으로 일어난 항일 민중봉기에 의해 전면적인 전환을 하기에 이른다. 이후에 취임한 3대 총독 사이토(濟藤實)는 보다 우호적인 문화정치를 표방하며 한국인을 적극적으로 회유하고자 했다. 정책의 변화는 여러 가지 후속 조치들로 구체화 되었는데 민영 언론매체의 설립 허용, 시찰단 구성, 박람회 개최 같은 일들이 그것이다. 일간신문의 경우 이전에는 매일신보 경성일보, Seoul Press 등 총독부 기관지만 발행되었으나 이후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한국어 신문이 허용되었으며 잡지들도 발간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일본파 한국의 상호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조치로서 일본과 한국시찰단을 구성하여 상호방문하는 사업을 펴기도 했고, 박람회를 개최해 일본의 우수한 문물을 한국인들에게 과시하려는 시도도 나왔다. 이같은 조치의 기저는 '주지(周短)와 선전(宣衝)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이 영화였다 조선총독부가 활동사진반을 설치하고 홍보 선전 영화의 제작과 배급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 것은 영화의 선전기능과 효과를 십분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만주), 미국과 차례로 전쟁을 시작한 1937년 이후에는 민간의 영화제작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한편 선전영화 제작을 위한 영화사를 별도로 설립했다. 1942년부터 1945년 사이에 는 조선총독부의 조종을 받는 한개 영화사만이 존재해 선전영화만을 제작했다.

  • PDF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뉴스주제, 보도량, 보도태도, 미디어 정보원을 중심으로 (Differences of news aspect about Asia and West in Korean newspapers and its reason: Focusing on news topic, amount of news, news tone and media sources)

  • 오대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1권
    • /
    • pp.74-97
    • /
    • 2013
  • 21세기 들어 아시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한국과 아시아 국가 사이에 인적, 물적 교류도 크게 늘고,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아시아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올바른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신문의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4개 신문이 2011년에 보도한 1786개의 국제뉴스 내용을 분석해서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를 알아봤다. 보도량에서는 아시아(45.7%)보다 서구(54.3%)뉴스가 많았다. 아시아 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았으나, 서구 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적고 중립적 또는 긍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아 한국신문은 아시아보다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보였다. 국제뉴스를 도덕 정의, 정치, 경제 과학, 사회, 외교 국방, 인간적 흥미, 인물 등 7개의 주제로 분류했다. 주제별 보도량을 보면 아시아에 대해서는 외교 국방, 도덕 정의, 정치 등 경성기사를 많이 보도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경성기사 이외에 인간적 흥미, 인물 등 연성기사도 많이 보도해 아시아보다는 다양한 뉴스를 전달했다. 경성기사에서는 부정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고, 연성기사에서는 긍정 또는 중립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다. 그 결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아시아에 대해 부정적이고,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나타내게 됐다. 미디어, 정부, 민간조직, 개인, 자료 등 5개의 핵심 정보원 가운데 미디어만이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태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아시아 미디어 정보원은 서구 미디어보다 아시아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서구 미디어 정보원은 아시아에 대해서는 부정적, 서구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그런데 한국신문은 동아시아를 제외한 지역의 뉴스에서는 전적으로 서구미디어를 핵심 정보원으로 활용했다. 이에 따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서구중심적이 되고, 아시아에 더 부정적인 보도를 많이 하게 되었다. 한국신문의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은 많이 보도한 주제와 외국 미디어 정보원 의존 형태에 따라 달라졌다. 한국신문은 특파원 등을 활용한 직접 취재, 인터넷을 이용한 아시아 매체활용 확대 등으로 아시아에 대해 다양한 뉴스를 전달해야 한다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 PDF

인기도 기반의 온라인 추천 뉴스 기사와 전문 편집인 기반의 지면 뉴스 기사의 유사성과 중요도 비교 (Comparisons of Popularity- and Expert-Based News Recommendations: Similarities and Importance)

  • 서길수;이성원;서응교;강혜빈;이승원;이은곤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4권2호
    • /
    • pp.191-210
    • /
    • 2014
  • As mobile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have spread and networking has become possible whenever/wherever, the Internet has become central in the dissemination and consumption of news. Accordingly, the ways news is gathered, disseminated, and consumed have changed greatly. In the traditional news media such as magazines and newspapers, expert editors determined what events were worthy of deploying their staffs or freelancers to cover and what stories from newswires or other sources would be printed. Furthermore, they determined how these stories would be displayed in their publications in terms of page placement, space allocation, type sizes, photographs, and other graphic elements. In turn, readers-news consumers-judged the importance of news not only by its subject and content, but also through subsidiary information such as its location and how it was displayed. Their judgments reflected their acceptance of an assumption that these expert editors had the knowledge and ability not only to serve as gatekeepers in determining what news was valuable and important but also how to rank its value and importance. As such, news assembled, dispensed, and consumed in this manner can be said to be expert-based recommended news. However, in the era of Internet news, the role of expert editors as gatekeepers has been greatly diminished. Many Internet news sites offer a huge volume of news on diverse topics from many media companies, thereby eliminating in many cases the gatekeeper role of expert editors. One result has been to turn news users from passive receptacles into activists who search for news that reflects their interests or tastes. To solve the problem of an overload of information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news users' searches, Internet news sites have introduced numerous recommendation techniques. Recommendations based on popularity constitut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of these techniques. This popularity-based approach shows a list of those news items that have been read and shared by many people, based on users' behavior such as clicks, evaluations, and sharing. "most-viewed list," "most-replied list," and "real-time issue" found on news sites belong to this system. Given that collective intelligence serves as the premise of these popularity-based recommendations, popularity-based news recommendations would be considered highly important because stories that have been read and shared by many people are presumably more likely to be better than those preferred by only a few people. However, these recommendations may reflect a popularity bias because stories judged likely to be more popular have been placed where they will be most noticeable. As a result, such stories are more likely to be continuously exposed and included in popularity-based recommended news lists. Popular news stories cannot be said to be necessarily those that are most important to readers. Given that many people use popularity-based recommended news and that the popularity-based recommendation approach greatly affects patterns of news use, a review of whether popularity-based news recommendations actually reflect important news can be said to be an indispensable procedure. Therefore, in this study, popularity-based news recommendations of an Internet news portal was compared with top placements of news in printed newspapers, and news users' judgments of which stories were personally and socially important were analyze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content analyses were used to compare the content of the popularity-based news recommendations of an Internet news site with those of the expert-based news recommendations of printed newspapers. Five days of news stories were collected. "most-viewed list" of the Naver portal site were used as the popularity-based recommendations; the expert-based recommendations were represented by the top pieces of news from five major daily newspapers-the Chosun Ilbo, the JoongAng Ilbo, the Dong-A Daily News, the Hankyoreh Shinmun, and the Kyunghyang Shinmun. In the second stage, along with the news stories collected in the first stage, some Internet news stories and some news stories from printed newspapers that the Internet and the newspapers did not have in common were randomly extracted and used in online questionnaire surveys that asked the importance of these selected news stories. According to our analysis, only 10.81% of the popularity-based news recommendations were similar in content with the expert-based news judgments. Therefore, the content of popularity-based news recommendations appears to be quite different from the content of expert-based recommendations.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between these two groups of news stori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reas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recommendations of stories of personal importance, the expert-based recommendations ranked higher in social importance. This study has importance for theory in its examination of popularity-based news recommendations from the two theoretical viewpoin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popularity bias and by its use of bot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quantitative methods (questionnaires). It also sheds light on the differences in the role of media channels that fulfill an agenda-setting function and Internet news sites that treat news from the viewpoint of markets.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 연구 국내외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nline Newspaper Archive :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 송주형
    • 기록학연구
    • /
    • 제48호
    • /
    • pp.93-139
    • /
    • 2016
  • 신문의 역할은 정부의 비판과 감시다. 공공의 문제에 해설과 논평을 하는가 하면 다양한 여론을 형성하고 전달한다. 메타데이터가 확실한 사진 기록물을 담고 있으며, 지역신문의 경우 로컬리티 확보의 중요한 도구다. 신문에 실린 광고와 신문의 편집 역시도 시대의 단면을 보여준다. 이런 신문의 기록학적 가치 때문에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수립할 때도 신문은 늘 우선적으로 수집이 고려되는 기록물이다. 신문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한 신문 아카이브는 여러모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자들이 기사를 작성하기 위해 이용하기도 하고,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를 위한 자료로도 활용이 된다. 신문의 교육적 활용인 NIE에도 이용되지만 신문 아카이브는 디지털 시대에 들어와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미디어 자산을 통합 관리하는 MAM의 핵심에 아카이브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신문 제작뿐만 아니라 신문사 경영 등 전 영역에 걸쳐 새로운 역할을 온라인 아카이브가 하게 될 거라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미 1991년 기사통합 DB인 KINDS가 서비스를 시작했고, 네이버에서는 뉴스 라이브러리라는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KINDS의 경우 초기에는 뜨거운 반응이 있었으나, 현재는 이용률이 저조한 상태이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주요 신문사가 빠져 있고, 이용자 인터페이스도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공예산이 투입되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나, 지방지에 대한 접근성 등은 큰 장점이다. 고신문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지속적으로 디지타이징을 하고 있다. 개별 신문사들의 경우도 아카이브라고 하기 민망한 수준이자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의회도서관에서 국립인문기금과 함께 역사적 신문을 디지타이징 하는 'CHRONICLING AMERICA'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각 주의 대학과 역사협회, 공공 도서관에 기금을 줘 매년 10만 페이지의 지역신문을 디지타이징하고 있다. 영국 역시도 국립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The British NEWSPAPER Archive'라는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는데, 미국과 달리 유료로 운영된다. 이곳 역시도 합동정보시스템위원회의 공공예산이 투입되었으며, 지금도 구축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개별 신문사들은 아카이브 솔루션을 구매해 온라인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ProQuest Archiver, Gale Cengage-NewsVault가 대표적인 아카이브 플랫폼으로 신문 자체가 표준화되고 규격화되어 있는 만큼 이를 통한 아카이브 구축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보인다. 국내의 온라인 신문 아카이브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과감한 투자 등이 요구된다.

일제강점기 중 1920-193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 분석 (An Analysis of Ginseng Advertisements in 1920-1930s Newspaper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 오훈일
    • 인삼문화
    • /
    • 제4권
    • /
    • pp.103-127
    • /
    • 2022
  • 20세기 초반 근대 문물이 유입되면서 우리나라 인삼 산업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인삼 재배법과 상업의 발전으로 인삼의 생산과 소비가 늘어났고 근대적 제제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인삼 제품이 개발되었다. 자연히 이들 제품의 판매 경쟁도 치열해졌다. 당시 신문 광고에는 이러한 제품의 개발 동향과 판매 경쟁이 상세히 나타난다. 1920년 이전까지는 신문에 나타나는 인삼에 관한 광고는 매우 적었다. 아직 신문이 일반화되지 못했고 인삼 산업도 그만큼 발전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920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창간되면서 인삼 광고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2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는 인삼의 전통 한방적 효능과 신비함을 강조하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인삼과 녹용을 복합 처방한 제품의 광고가 많은 것으로 보아 당시 이 제품이 큰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품을 복용한 사람들의 체험담도 이때 광고에 등장한다. 또한 당시 이미 통신판매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1925년에는 인삼제품을 매일 배달한다는 광고도 등장한다. 당시 뿌리삼은 그 크기와 품질에 따라 현재보다 훨씬 정교하게 분류되어 있었음이 광고에 여실히 드러난다. 1920년대 인삼 제품은 액제, 환제, 농축액 등 전통 한방 제형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30년대 인삼 광고는 더욱 활발해진다. 이 시기에는 대학의 교수, 의학박사, 약학박사 등의 직함을 가진 전문가가 광고에 등장한다. 이들이 인삼을 추천한다거나, 성분이나 약효를 설명하거나, 심지어 이들의 실험 노트까지 광고에 등장하여 과학적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인삼 제품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홍보가 강화된다. 1931년에는 현대적인 정제의 광고가 등장한다. 이후 비타민이나 다른 특정 성분을 강화한 인삼 제품이 등장하고, 병약자를 위한 인삼 미음도 등장한다. 1938년에는 최승희와 같은 무용수나 유명 영화배우를 모델로 사용하는 광고도 등장하게 되면서 인삼광고는 더욱 현대화되고 대중화 된다. 1920~1930년대 인삼광고는 당시 급변하는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국과 미국 일간신문의 정정보도 기사 비교연구: 조선일보, 한겨레신문, 뉴욕타임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컬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rrections in Selected Korean and American Newspapers)

  • 임양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7권
    • /
    • pp.204-236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 일간지와 미국 일간지를 통해 보도된 정정보도 기사에 대한 특성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주제별, 유형별, 발생원인별, 그리고 보도방식별로 내용분석을 통하여 정정 보도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한국 신문인 $\ulcorner$조선일보$\lrcorner$$\ulcorner$한겨레신문$\lrcorner$ 그리고 미국 신문으로는 $\ulcorner$뉴욕타임스$\lrcorner$$\ulcorner$샌프란시스코 크로니컬$\lrcorner$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된 정정보도 기사는 총 1,736건이었다. 연구결과 두 나라 일간지의 정정보도 기사내용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한국 일간지에 게재된 정정보도 전체 기사건수는 미국 일간지에 실린 기사건수보다 약 절반정도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주제 면에서 한국 일간지는 사회(36.0%), 정치(18.3%) 그리고 경제(12.1%) 순으로 정정기사 건수가 많았고, 미국 일간지의 경우 문화(17.4%%), 라이프스타일(8.6%), 그리고 스포츠(7.0%) 순으로 오보기사 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정보도 유형별 분석 면에서 한국 일간지는 이름(26.2%), 사실오류관계(18.1%), 그리고 용어(15.8%) 순으로 정정기사 비율이 높았으며, 미국 일간지는 숫자(33.7%), 철자(12.1%), 그리고 날짜(5.6%) 순으로 오보비율이 높았다. 넷째, 한국 일간지의 경우 정정보도 발생 원인으로는 기사의 확인 소홀로 인한 원인(68.7%)이 가장 주된 원인으로 조사되었으며, 미국 일간지는 기자나 편집자의 단순실수(51.2%)가 오보기사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정기사 보도방식 면에서 한국 일간지의 경우 두 종류의 형태만을 사용하여 정정보도문을 싣고 있으나, 미국 일간지는 6가지의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정정보도문을 게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nitoring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in the Articles of Four Major Daily Newspapers

  • Kim Kyung Won;Moon Eun Hye;Ahn Yun;Seo Jung Sook;Yoon Eun Young;Bae Hyun Joo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7권3호
    • /
    • pp.156-162
    • /
    • 2005
  •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in daily newspapers. Articles in four newspapers(Chosun, Donga, Hankook, Joongang Ilbo) published during November 2003 to April 2004 were monitored. In analysis, 216 articles were used. Classifying the articles by topics, cuisine/cooking $(19.4\%)$ and food/ nutrition related to diseases $(18.1\%)$ were most common. Articles regarding food sanitation or safety, obesity and diet accounted for $12.5\%$, respectively. Other topics in articles included food culture$(11.1\%)$, balanced meals/eating habits $(10.6\%)$ and functional foods $(7.9\%)$. About $77\%$ of articles were written for unspecified persons. Regarding the types of articles, news articles made up $44\%$ of monitored articles, followed by feature articles $(14.8\%)$, advertisement by articles $(12.9\%)$, serials by professionals $(11.6\%)$, and information of daily life $(8.8\%)$. Nineteen percent of articles did not have specific sources, while $20.8\%$ were based on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Other sources of articles included research reports $(14.8\%)$, field reports $(12.1\%)$ and literature $(8.8\%)$. Contents analysis showed that four-fifth of articles were evaluated as 'contents and titles are consistent', 'not difficult to understand', 'contents are not exaggerated', and 'information is not overgeneralized'. Seventy-one percent of articles were evaluated positively on increasing awareness regarding food/nutrition, while $56.5\%$ were evaluated as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The major problems in articles were 'intentional or indirect advertisements of specific items/companies' ($74.6\%$ of articles applicable), 'lacking in scientific basis/explanation' $(65.3\%)$, 'presenting unbalanced information due to focusing on specific area' $(46.7\%)$, 'unclearness of contents' $(38.4\%)$, and 'lacking in explanation of technical terms' $(35.2\%)$.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stating the sources of articles clearly and supplementing the articles with scientific basis and balanced information on specific topics are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explain the contents and technical terms clearly and to reduce the contents of intentional, indirect advertisement in nutrition-related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