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seon Dynast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8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과실류 특성 연구 (A Study on Fruits Characteristics of the Chose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of Chosenwangjoeshirok Big Data)

  • 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8-183
    • /
    • 2021
  • Using the big data analysis of the Choseonwangjosilrok, this research aimed to figure out the fruits' types, prevalence, seasonal appearances as well as the royalty's perspective on fruits during Choseon period. Choseonwangjosilrok included nineteen kinds of fruits and five kinds of nuts, totaling 1,601 cases at 72.8% and 533 cases at 24.2% respectively. The text recorded fruits being used as: tributes for kings, gifts from kings to palace officials, tomb offerings, county specialties, trade goods or gifts to the foreign ambassadors, and medicine ingredients in oriental pharmacy. Seasonally the fruits appeared demonstrating an even distribution. Periodic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decreasing quantity chronologically. From fifteenth century to nineteenth century, the fruits with timely features were seen: 804 times at 36.6%, 578 times at 26.3%, 490 times at 22.3%, 248 times at 11.3%, and 78 times at 3.5% respectively. In fifteenth century: citrons, quinces, pomegranates, cherries, permissions, watermelons, Korean melons, omija, walnuts, chestnuts, and pine nuts appeared most frequently. In sixteenth century: pears, grapes, apricots, peaches, and hazelnuts appeared most frequently. In seventeenth century: tangerines and dates appeared most frequently. In eighteenth century, trifoliate orange w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fruit.

조선시대 와유문화의 전개와 전통조경공간의 조성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Mental Stroll about Nature and the Building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pace in Choseon Dynasty)

  • 김수아;최기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51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조경공간과 관련한 기록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인 와유문화와 전통조경공간과의 문화사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현실의 유교적인 삶과 자연의 도교적인 삶을 절충하며 살아야 했던 조선시대 문인들의 산수자연에 대한 태도는 다방면의 문화가 난숙해지면서 점차 철리적(哲理的)인 태도에서 심미적(審美的)인 태도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산수자연관의 변화와 명말청초 시은(市隱)하고자하는 성시산림(城市山林)의 문화가 전래되면서 산수자연을 일상공간에서 쉬이 즐기고자 하는 바람이 간절해졌다. 그러한 바람은 현실 속에서 소요유(逍遙遊)한다는 의미를 갖는 와유문화(臥遊文化)에 주목하게 되고 다양한 와유문화의 양상들을 만들어냈다. 국문학분야에서는 일상공간에 앉아 산수의 감흥을 글로 즐길 수 있는 산수유람기(山水遊覽記)가 발달하고, 미술분야에서는 이상향을 그렸던 관념산수화(觀念山水畵)가 실제의 경관을 옮겨 핍진(逼眞)한 산수의 미를 즐길 수 있는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로 발달하게 되었다. 조경분야에서는 개인의 이상(理想)을 표현할 수 있는 일상공간에 산수자연을 담아 감상의 측면에서 가장 생생함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였다. 또한, 전통조경공간은 방안에 누워서도 꿈꾸고 싶은 대상으로 실제 산수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조선조(朝鮮朝) 시조(時調)의 미적주체(美的主體)와 그 존재양상(存在樣相) (The Centra of the aesthetics and the aspect of existence of the Sijo in the Choseon Dynasty)

  • 최동국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3집
    • /
    • pp.107-131
    • /
    • 2005
  • 이 글은 조선조 문인들이 무엇을 미적 자질로 생각하고, 그 미를 인식하는 주체는 어떤 심리의 발용을 요구했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인간의 미적 감관(感官)을 어떻게 인식하고 정의하고 있는가의 고찰도 함께 하였다. 조선조 문인들이 내세운 미적 주체는 사물의 외형에 집착하는 오관의 감각 기관으로 감수하기보다는 허정(虛靜)한 심리(心理)의 발용(發用)을 중시했다. 오관에 의한 사물의 감수(感受)는 형사(形似)에 집착되어 관능적 향락적 서정이 되거나, 이정탕심(移情蕩心)을 일으키는 정서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허정한 심리는 본연의 심성(心性)을 회복하는 심리작용으로 인식하고 이 마음을 시정신과 접맥시켜 미적 주체로 삼는다. 동시에 사물 인식의 객관적 주체로 삼고 사물 또한 객관적 존재로 이해하여 물아일체를 이룸을 목적으로 한다. 곧 이물관물(以物觀物)인데 미적 주체는 감정을 함부로 방일(放逸)하거나 인위(人爲)로서 사물에 감정이입을 해서도 안 된다. 방일과 감정이입은 역물적(役物的) 외물(外物) 인식(認識)으로 극복된다. 이물관물과 역물적 인식에서 오는 정감을 형상화하기 위해 '흥(興)'을 시가의 표현 방법으로 중시하였다. 흥은 현재 눈 앞에서 전개되는 사물과의 만남에서 생성되며 직관적인 감정이다. 홍은 즉물생정(卽物生情)에서 온 감정이자, 또한 표현방식이다. 허정한 심리 작용에서 오는 미적 주체는 성리학적 입장에서 이해된 심성이자 시정신과 접맥된 것이기 때문에 흥체(興體)의 작품은 감상자로 하여금 심성 함양에 일조가 되는, 마음에 정화작용(淨化作用)을 일으키는 효용성을 지닌다. 동시에 인간 정신에 대한 감발 승화작용(感發 昇華作用)을 총체적으로 일으키게 한다.에 접근하는 학문적 태도에 대한 메타교육 등 다양한 메타교육적인 방법을 보여주었기에 퇴계의 작품과 삶이 지대한 교육적 가치를 오늘날까지도 지니게 된다.입고)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자료의 전승은 해당 시조 뿐 아니라 시조문학의 수용과 전승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플래쉬>고정식>스크롤 방식 순으로 나타나 전체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플래쉬 방식의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장 많았고 약 $88.9\%$가 동반정신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CD가 가장 많았다.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고 사료된다. 6. 치료전에는 차이가 없던 남,여군 사이에 치료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치료 효과에 관계없이 남여에 따른 성장양상의 차이가 그대로 표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개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55.19\%$로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두 항목 모두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 a값, b값 모두 표고버섯 분말 함량이 증가하면서 감소하였고, 모든 처리구에서 기존 무첨가구와 극히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에서 색 (color), 먹을때의 느낌 (chewiness)과 단맛(sweetness)의 경우 무첨가구와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향미 (flavor)와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당화액과 추출액의

  • PDF

세계문화유산 잠재지로서 순천 낙안읍성 일원 당산숲의 경관 특성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acred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pseong in Suncheon as a Potential World Heritage Site)

  • 최재웅;김동엽;이창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3호
    • /
    • pp.345-354
    • /
    • 2015
  • In this stud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he sacred Dangsan forests at Dongnae-ri, Seonae-ri, Namnae-ri, Pyeongchon-ri and Gyochon-ri were investigated. And the potential for registration in the World Heritage List has been discussed by linking the Dangsan forests at the five sites. Dangsan forest, a traditional village forests of rural Korea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of Dangsan ritual. The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oseong have retained the landscape of town fortress during Choseon Dynasty and the Dangsan ritual as a living culture. The three villages inside Naganeuoseong have kept their Upper Dang, Middle Dang and Lower Dang. There were 21 old trees in total; Zelkova serrata (2), Celtis sinensis (7), Aphananthe aspera (5) trees, Carpinus tschonoskii (2) and Ginkgo biloba (3). The three Dangsan trees and an old Aphananthe aspera, known as to be planted by the Admiral Yi Sun-sin were recognized. The two villages located outside of village fortress also have kept their Dangsan ritual. It is important whether the sites possesses authenticity in order to be listed in the World Heritage. The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oseong have been verified for the authenticity, which should be focused. The places need to be clarified for their landscape features formed as a Dangsan forest, and sustainable protection and management plans are to be devised.

개고기 식용이 위생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ogmeat Eating on Sanitation and Food Waste Consumption)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4-133
    • /
    • 2010
  • The total number of the dogs bred in Korea as of 2007 was 1,917,709, and among them, 77%, 1,476,776 dogs were edible dogs. Dogmeat has been legalized edible as food from Choseon dynasty, Daehan imperial state, Japan-occupied era till the present Korea. Dogs had been included in the article 2, Enforcement Ordinance of Processing and Disposal Rule of Livestock and Its Products until the end of Jan. 1979, but it was crossed out by the Notification No 3,005(Feb. 1 1979 effective) of the Minister of Agriculture and Marine Products, and as a result, the obligation that dogs should be slaughtered at the slaughtering ground was defunct. Thus, the arbitrarily dog slaughtering was empowered. As a matter of fact, the new law was not legalized in order to ban dogs from being slaughtered. The waste amount of slaughtered edible dogs amounts to 7,282 tons annually, and most of its waste from the arbitrarily-slaughtered dog is being illegally dumped without proper management and supervision. Edible dogs defecate 292,509 tons(calculates urine as dung) annually, but it is sanitarily disposed according to the Law of Management and Use of Livestock's Dung and Urine which took effective from Sep. 2009. Annual sales amount of edible dogs comes to 590 billion won on the basis of the shipment at breeding ground, but after passing through various level of marketing, and being processed as Gaesoju, and Boshintang, it forms 4 trillion won market when it reaches customers. The amount of food waste in Korea in 2007 came to 5,274,944 tons, and 633 billion won was spent for its disposal cost. Korean edible dogs of 1,476,776 heads consumed 1,266,705 tons, the 24% of total food waste. Edible dogs are the most effective means to convert food waste into food for man, not entailing the cost of disposal. On the other hand, pet dog culture brought about disposal cost, and the 51,188 dogs were abandoned at 2007, while 7 billion won was spent for the protection, euthanasia of them and the disposal of their dead bodies.

안창리 기와의 제작기법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ile in Anchang-ri Historical Site of Wonju-city, Korea)

  • 양동윤;김주용;신숙정;박준범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3
    • /
    • 2009
  • 안창리 유적지에서 출토된 기와를 대상으로 제작기법을 추정하기 위해, 기와 9점과 벅체 5점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현미경관찰, 편광현미경관찰,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와를 제작할 때, 성형을 위해 비짐을 첨가하는 대신 기존의 기와편 등을 잘게 부셔 넣은 것으로 보인다. 철분이 많은 미세한 덩어리나, 폐기된 벽체 등에서 얻은 재료를 재활용하여 비짐으로 사용(chamotte)한 흔적이 기와 및 벽체에서 흔히 관찰된다. 또한 어떤 것은 chamotte 내에 다른 chamotte가 들어 있어 수차에 걸친 재활용도 이뤄졌을 것으로 보인다. 구성광물 조합에서 추정한 기와와 벽체의 소성온도에 따라 저온형($800^{\circ}C$ 이하), 중간형($800-930^{\circ}C$), 고온형($930^{\circ}C-1470^{\circ}C$)으로 분류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고온에서 소성된 것은 조선시대의 것인 A8과 AW5로 판단된다.

  • PDF

한반도 주요 지체구조구별 지진학적 특성 (Seismic Characteristics of Tectonic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 이기화;김정기
    • 지구물리
    • /
    • 제3권2호
    • /
    • pp.91-98
    • /
    • 2000
  • 한반도의 지진활동은 시공적으로 매우 불규칙한 판내부 지진활동의 전형적 특성을 보여준다. 한반도는 지질학적으로 구조 및 특성이 다른 여러 개의 지체구조구로 나누어지며 본 연구에서는 각 지체구조구의 지진활동의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역사 및 계기 지진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체구조구의 지진활동변수를 추정하였다. 조선시대 이전의 불완전한 지진자료와 그 이후의 완전한 지진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지체구조구들 사이에 지진활동의 특성에 현저한 차이가 나지 않음을 보였다. 한반도 전체로서 진도-빈도의 b값은 대략 0.6 이며, 최대 지진은 MMI X 정도이다. 본 연구결과는 한반도의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분석과 내진 공학에서 설계지진의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PDF

서울 남산공원의 식생변화 (Vegetational Changes of Mt. Nam Park, Seoul)

  • 임양재;양금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3호
    • /
    • pp.589-602
    • /
    • 1998
  • Mt. Nam (265m), a city park of Seoul, was originally covered with a typic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in Central Korea. However, the park forests have been changed the development for various purpose such as the construction of castle wall, road way, broadcasting station, theater, hotel and apartments, in addition, to thoughtless plantation or alien plant introduction. Human population growth from ca. 100 thousands persons less in that time established Seoul as the capital of choseon dynasty in 1394 to ten millions over persons at present, accelerated the vegetational changes of the park. mt. Nam boundary in those days of sunjong (1908) also was much shrinked as much the range of 300 m distance in the northern most to 700 or 800m distance in some places. The actual vegetation of Mt. Nam largely can be classified by floristic composition into two plant communitie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four plantations of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and other tree species, and on mixed forest with native and alien tree species in secondary succession stage (Yim et al. 1987). The restoration movement of Mt. Nam toward to the natural condition of forest or biodiversity is moving now. However, in the movement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ecological consideration and the undesirable decision of priority in the practice. A warning should be given, especially, on the undesirable plantation of non-native tree species restricting the forest succession, as in the case of southern slope of Mt. Nam.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ce in Mt. Nam management is that the restoration for natural forest and biodiversity should be carried on the basis of integrated ecological principles based on the site evaluation.

  • PDF

이제마의 양생론에 대한 이해 - 도교서적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Nurturing Theory of Lee-Jema : Focusing on Taoist Books)

  • 최성운;황지혜;박은주;김남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3-107
    • /
    • 2019
  • Objective : We compare the nurturing theories of Between the Nurturing Theory of Dogyogwonseonseo(道敎勸善書) JeungjungGyeongsinrok(增訂敬信錄), Gyeongsinrokeonseok(敬信錄諺釋), Taisanggauempyeondosul(太上感應篇圖說) and Guahwajonsin(過化存神) vs Dongui-Susebowon-Sasang-Chobongwo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and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of Lee-Jema. And the influences that Dogyogwonseonseo had on Nurturing Theory of Lee-Jema. Method : We sort out the identical or similar vocabularies and abstract the important concepts from all four kinds of Dogyogwonseonseo and two kinds of Lee-Jema's books mentioned above and compare them respectively. The prehistories of vocabularies and concepts needed such as Bok(福, good fortune) and Su (壽, longevity) will be traced. And the synchronic understanding needed such as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in late Choseon dynasty will be surveyed by investigating the controversy of the time. Results : The Nurturing Theory of Lee-Jema was influenced by all four kinds of Dogyogwonseonseo mentioned above. We can ascertain the influence from Lee-Jema's Concept of Myeong(命), Nurturing Life through everyday life,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deceiving mind(詐心), betraying mind(欺負心) and the jealousy of Man and Woman. Conclusion : The influences Dogyogwonseonseo had on Lee-Jema's nurturing theory were key concept words such as Myeong(命), the ways of thinking like 'Good deed leads to longevity and good fortune whereas evil deed leads to short life' and vocabularies such as deceiving mind(詐心).

<계축일기>에 나타난 갈등의 층위와 제시 방식 (The Layers of Conflicts and the Methods of Presenting Conflicts in Gyechugilgi)

  • 이승복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4호
    • /
    • pp.193-222
    • /
    • 2017
  • 이 글에서는 <계축일기>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해 작품의 역사적 맥락과 작품에 제시된 갈등의 층위, 그리고 갈등의 제시 방식 등을 검토하였다. 작자는 내인들의 갈등과 수난을 상당한 비중을 두어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이는 작자가 그것을 단순히 광해군과 인목대비의 갈등에서 파생된 부수적인 문제로 파악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고, 따라서 광해군과 인목대비에 초점을 맞춰 이 작품을 이해하는 것이 작품의 실상과 거리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작품에서는 대화를 빈번하게 교체 인용하여 갈등의 첨예함과 심각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갈등을 매개하는 인물을 형상화하여 사람의 욕망이 갈등을 어떻게 확대 심화시키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삽화를 나열하여 갈등의 상대방에 대한 비판과 자기들이 겪어야 하는 고통의 부당함을 강조하고 있다. 요컨대 작자는 갈등이 사람들 사이의 문제이고, 사람의 욕망이나 부정적 성격으로 인해 그것이 야기되고, 또 심화되기도 한다는 입장에서 광해군과 인목대비 양측의 갈등을 바라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흔히 광해군의 성격과 당시의 역사적 사건을 허구적으로 왜곡 과장한 점을 이 작품의 문제점, 혹은 이 작품을 소설로 보아야 하는 근거로 제시한다. 하지만 그것은 먼저 작자가 당시 상황을 정치나 역사의 관점이 아니라 사람에 초점을 맞춰 파악한 결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작품의 문학적 성격과 가치도 그러한 점에서 찾아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