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ru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디지털음악시장을 통해 살펴본 국내 대중가요의 변화 (The Changes of Korean Pop Music through Digital Music Industry)

  • 박병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7-18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음악시장 성장에 따른 음악소비 환경을 고찰해 보고, 디지털음악 구매환경이 국내 대중가요에 미친 영향을 음악길이와 음악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00년도부터 2011년도까지 대중가요의 항목별 연구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조사항목은 연도별 대중가요의 평균 연주시간과 후렴구까지의 평균 도달시간, 전주, 간주, 후주 출현여부, 그리고 후렴구 선행여부를 다루고 있다. 조사결과 인터넷 음악시장에서의 미리듣기 서비스는 음악길이와 음악구성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변화의 결과물로서 후크송의 등장을 낳았다. 이는 소비자의 구매환경이 음악에 영향을 준 사례로, 향후 대중가요는 다운로드 환경에 따른 효과적인 음악 전달기법에 더 집중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 of repeated Korean pop song on 'misery loves company' (https://www.youtube.com/watch?v=DRPJZ3iH71Q)

  • Ko, Kyung Ja
    • 셀메드
    • /
    • 제8권4호
    • /
    • pp.21.1-21.2
    • /
    • 2018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repeated singing helps to feel 'misery loves company.' Folksong is popular music in the past. Korean folk songs have almost repetitive chorus. The repetitive refrain is made easy for everyone to follow. So, people become comrades who share the chorus together. Repetitive music makes people more intimate and more intimate. So, people feel that they share thoughts and feelings with music. It gives me energy to never give in to destiny. So, they encourage each other to be worth living. They sing together and sympathize and comfort each other's pain. 'Hook song' is the most popular form in these days in Korean music. The form of K-pop (Korean pop), which is gaining popularity worldwide, has many repetitions and concentration of melody. BTS (Bang Tan Sonyundan, Boyband) also tells teens around the world through repetitive melodies that "Let's share our joy and sorrow." This is the highest value of music therapy. BTS is a Korean boy band that has gained a worldwide reputation. Recently, their songs are affecting teenagers all over the world. In this way, the author thinks that the repetition of folk songs was reborn as a 'Hook song' and the repetitive form of music is a good way to give support to anyone. The author thinks this is best accomplished by singing 'misery loves company.'

합창곡 악보의 XML 표현 (XML Representation of a Sheet Music for Chorus)

  • 김정훈;김선호;채진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72-74
    • /
    • 1999
  • XML은 HTML의 단순성과 SGML의 복잡성을 동시에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시작되어 HTML이나 SGML과는 다른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인터넷 문서 표현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차세대 인터넷 문서 표현 언어로 주목받고 있는 XML을 이용하여 합창곡의 악보를 표현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는 합창곡 악보를 표현하기 위해 정의된 새로운 마크업 언어인 ScoreML(Score Markup Language)을 소개하고, ScoreML로 작성된 XML 문서를 웹에서 볼 수 있도록 ScoreML 브라우저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ScoreML을 사용하여 작성된 XML 문서는 악보 표현뿐만 아니라 음악 데이터의 저장과 검색에도 사용될 수 있다.

  • PDF

MISIX 기반의 병렬 파일 시스템의 통신 모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Parallel Operating File System based on MISIX)

  • 진성근;조종현;김해진;서대화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4호
    • /
    • pp.373-382
    • /
    • 2000
  • POFS는 SPAX 컴퓨터에서 운용될 병렬 파일 시스템이다. SPAX는 ETRI에서 개발중인 클러스터 SMP 구조를 가지는 다중 프로세서 컴퓨터이며 SPAX의 운영체제는 Chorus 마이크로커널에 기반한 MISIX이다. 마이크로커널 기반의 운영체제는 마이크로커널의 IPC를 기반으로 구현된 서버의 집합이며, 운영체제의 서브시스템들 혹은 서브시스템들과 사용자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운영체제의 서브시스템을 위한 통신 모듈의 설계 방법은 시스템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MISIX의 병렬 파일 시스템인 POFS 개발함에 있어서 제기된 통신 모듈의 구조와 성능에 관해 기술한다. POFS는 높은 병렬성 및 확장성을 가지며, 단일 시스템 이미지를 제공하는 분산 환경의 파일 시스템이다. POFS의 통신 모듈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인 POFS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 PDF

RNN-GAN을 이용한 코드 기반의 단계적 트로트 음악 생성 기법 (Chord-based stepwise Korean Trot music generation technique using RNN-GAN)

  • 황서림;박영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22-628
    • /
    • 2020
  • 본 논문은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으로 구성된 적대적 생성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모델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트로트 음악을 생성하는 음악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음악의 뼈대를 담당하는 코드를 만들고, 만들어진 코드 열을 기반으로 멜로디와 베이스(bass)를 단계적으로 생성한 뒤, 해당 코드에 붙임으로써 구조화된 음악을 완성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인트로나 벌스, 코러스 등과 같이 일정 구간으로 나뉘어 구조가 반복되는 트로트 가요의 특징을 적용하여 벌스의 코드 진행으로부터 새로운 코러스 코드 진행을 만들어내고, 다시 해당 코드로부터 멜로디와 베이스를 단계적으로 생성하여 초기에 만들어진 트로트의 길이를 확장한다.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음악의 품질을 측정하였으며, 기존의 트로트가 갖고 있는 음악적 특성과 유사한 음악을 생성함으로 확인하였다.

창극 <메디아>의 절충주의 음악어법 (Eclectic Music Idiom in Changgeuk "Medea")

  • 신사빈;이우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59-671
    • /
    • 2013
  • 작곡가 황호준은 창극 <메디아>를 통하여 ▲작창의 오선 기보 및 모음보표의 배치 ▲성-쓰루(Sung-through) 형식의 도입 ▲다양한 독창 선율의 시도 ▲코러스장과 남녀 코러스에 의한 도창의 극대화 ▲불협화음과 협화음을 통한 긴장과 이완의 추구 ▲전조와 차용화음에 의한 길바꿈 효과 달성 등의 절충주의 음악어법을 선보였다. 기악부는 창자(唱者)의 소리를 방해하지 않는 수성반주를 하였다. 창자가 이면(裏面)을 그리는 방식 또한 노래 아니리 발림 중 노래에 치중하였고, 극 전체를 하나의 음악으로 이끄는 성-쓰루 형식을 도입하였다. 자주 통곡 한탄 환호 조소 비명 등과 같은 구음(口音)이 활용되었고, 분창(分唱)의 형식답게 배역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독창 선율이 효과적으로 시도되었다. 불협화음과 협화음이 극의 전개와 분위기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되었다. 그리고 전통적인 조바꿈을 하지 않고, 서양음악의 전조와 차용화음을 과감하게 시도하여 길바꿈의 효과를 무난히 달성하였다.

2006년 발생한 고속 태양풍과 관련된 정지궤도에서의 상대론적 전자 증가 이벤트 (Geosynchronous Relativistic Electron Events Associated with High-Speed Solar Wind Streams in 2006)

  • 이성은;황정아;이재진;조경석;김관혁;이유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439-450
    • /
    • 2009
  • 2006년 상반기동안 GOES 10에 의해 관측된 > 2MeV의 전자에너지 채널에서 반복되는 상대론적 전자 증가 이벤트(GREE, Geosynchronous Relativistic Electron Event)가 4회 있었다. 이 현상들은 모두 코로나 구멍(Coronal hole)에서부터 나온 고속 태양풍(HSS, High Speed Solar Wind Stream)과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약 27일 주기를 갖는 이 4회의 전자 증가 현상은 플럭스가 점점 증가하는 형태를 보인다. 현재까지 알려진 상대론적 전자 증가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의 요소들이 언급되어 왔다: (1) 코로나 구멍과 관련된 태양풍 속도, (2) Pc5 ULF 파동, (3) 행성간 자기장(IMF, Interplanetary Magnetic Field) Bz의 남쪽 성 분, (4) 자기 부폭풍(substorm)의 발생, (5) 증가된 휘슬러 모드 코러스 파동(whistler mode chorus wave)과 (6)동압력(dynamic pressure).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006년 상반기 동안 앞에서 언급한 6가지 현상 들을 분석하여 어느 요소가 상대론적 전자 증가 현상의 플럭스와 가장 가까운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합창 커뮤니케이션에서 효과적인 딕션 훈련을 위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diction training in choral communication)

  • 김형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37-24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합창 커뮤니케이션에서 지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딕션 훈련 기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합창에서 딕션은 가사에 사용된 언어가 가진 고유의 음운론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한국어로 합창할 때는 한국어 음운규칙에 따라 가사를 발음해야 한다. 말로 의미를 전달할 때는 발음의 정확성이 중요하지만 노래로 가사를 표현할 때에는 발성과 딕션이 모두 중요하다. 특히 합창은 여러 사람이 함께 노래하기 때문에 딕션이 정확하지 않으면 가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실제 한국어 합창곡에서 자주 나오는 가사의 딕션 사례들을 한국어 음운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합창 딕션을 어렵게 하는 주된 요인은 한국어 고유의 음운변동 현상이었다. 특히 받침 소리를 발음할 때, 그리고 자음과 자음이 결합할 때 음운변동이 자주 나타났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어 음운론에 기초한 체계적인 합창 딕션을 제시함으로써 합창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Music summarization using visual information of music and clustering method

  • Kim, Sang-Ho;Ji, Mi-Kyong;Kim, Hoi-R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00-405
    • /
    • 2006
  • In this paper, we present effective methods for music summarization which summarize music automatically. It could be used for sample music of on-line digital music provider or some music retrieval technology. When summarizing music, we use different two methods according to music length. First method is for finding sabi or chorus part of music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music and the second method is for extracting several parts which are in different structure or have different mood in the music. Our proposed music summarization system is better than conventional system when structure of target music is explicit. The proposed method could generate just one important segment of music or several segments which have different mood in the music. Thus, this scheme will be effective for summarizing music in several applications such as online music streaming service and sample music for Tcommer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