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ndromyxoid fibrom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족부에 발생한 재발 연골 유점액 섬유종의 치료 - 1예 보고- (Chondromyxoid Fibroma of the First Metatarsal - A Case Recurred after Curettage and Bone Graft -)

  • 오인석;김명구;이상형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0-114
    • /
    • 2003
  • 연골 유점액 섬유종은 젊은 층에서 발생하며 비교적 드문 양성종양이나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골의 근위 1/3의 골간단에 대부분 발생하며 족부에도 20%에서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저자는 족부에 발생한 연골 유점액 섬유종 1례에 대하여 1차 소파술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으며 술 후 7개월에 재발하여 전절제술 및 장골 이식술을 시행하여 24개월간 추시 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 PDF

수부에 발생한 연골점액양 섬유종 - 2례 보고 - (Chondromyxoid Fibroma of the Hand - Report of two cases -)

  • 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7-51
    • /
    • 2000
  • 수부에 발생하는 연골점액양 섬유종은 매우 드문 양성 종양의 하나이다. 방사선학적으로, 병리학적으로, 수부에 발생하는 다른 양성 종양, 즉 내연골증, 연골아세포증, 거대세포수복성 육아종, 연골육종과 감별하여야 한다. 저자는 59세 여자 환자와 19세 남자 환자에서 수지에 발생한 연골점액양 섬유종을 경험하여 이에 보고하며, 특히 비특이적인 임상적 발현과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병리학적 소견을 기술하였다.

  • PDF

늑골에 발생한 연골점액유사 섬유종 -1예 보고- (Chondromyxoid Fibroma of the Rib Report of one case -)

  • 이재욱;임재웅;원용순;고은석;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1호
    • /
    • pp.788-790
    • /
    • 2005
  •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은 뼈에 발생하는 드문 양성 종양으로 양성 골종양의 $2\%$ 미만을 차지한다.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은 무릎부위의 경골 근위부와 대퇴골 원위부에 가장 호발하며 골반, 비골, 발꿈치 뼈, 늑골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내원 1달 전부터 시작된 좌측 7번째 늑골부위의 부종과 간헐적으로 지속된 경한 동통으로 내원한 54세 남자가 방사선 검사상 양성 늑골 종양 진단 하에 늑골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조직 검사상 늑골에 발생한 연골점액유사 섬유종으로 최종 진단되었고 현재까지 재발이나 별다른 증상 없이 외래 추적 중으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Clival lesion incidentally discovered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Jadhav, Aniket B.;Tadinada, Aditya;Rengasamy, Kandasamy;Fellows, Douglas;Lurie, Alan G.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2호
    • /
    • pp.165-169
    • /
    • 2014
  • An osteolytic lesion with a small central area of mineralization and sclerotic borders was discovered incidentally in the clivus on the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of a 27-year-old male patient. This benign appearance indicated a primary differential diagnosis of non-aggressive lesions such as fibro-osseous lesions and arrested pneumatization. Further,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lesion showed a homogenously low T1 signal intensity with mild internal enhancement after post-gadolinium and a heterogeneous T2 signal intensity. These signal characteristics might be attributed to the fibrous tissues, chondroid matrix, calcific material, or cystic component of the lesion; thus, chondroblastoma and chondromyxoid fibroma were added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Although this report was limited by the lack of final diagnosis and the patient lost to follow-up, the incidental skull base finding would be important for interpreting the entire volume of CBCT by a qualified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