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stasis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5초

신생아 담즙정체성 간질환에서 간조직 유전자의 발현 양상 (Patterns of Intrahepatic Gene Expression in Neonatal Cholestasis)

  • 최보화;최병호;정은정;김경모;김행미;박진영;박우현;김문규;김정철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77-193
    • /
    • 2005
  • 목 적: 담즙정체를 보이는 환자의 간조직에서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분석을 통 하여 담도 폐쇄증의 발생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규명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환자의 간조직은 담즙정체를 보이는 11명의 환자로부터 진단적 간생검시 얻은 간조직의 일부를 이용하였다. 이들의 원인 질환은 담도 폐쇄증이 7명, 신생아 간염 증후군이 4명이었다. 정상대조군의 간조직은 생체부분 간이식시 성인 공여자로부터 얻은 간조직의 일부를 이용하였다. 간조직에서 분리된 mRNA를 4.7K 인간유전자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분석한 4,700종의 유전자 중 담즙정체 환자 11명 모두의 간조직에서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는 17종이 발견되었고,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는 20종이 발견되었다. 담도 폐쇄증 환자와 신생아 간염 증후군 환자 사이에 49종의 유전자에서 발현의 차이가 관찰되었고, 특히 담도 폐쇄증에서는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신생아 간염 증후군에서는 발현이 감소된 유전자는 24종이었으며 이들 유전자 발현의 차이에 의해서 두 군간의 감별이 가능하였다. 결 론: 신생아 간질환에서 담도 폐쇄증 환자들은 모두 일정한 양상을 보여주어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담도 폐쇄증의 조기 감별 진단을 할 수 있을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담도 폐쇄증에서 특이 발현을 보이는 유전자의 추가적인 기능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담도 폐쇄증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Peri-Operative Liver Fibrosis and Native Liver Survival in Pediatric Patients with Biliary Atres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Jahangirnia, Ashkan;Oltean, Irina;Nasr, Youssef;Islam, Nayaar;Weir, Arielle;Nanassy, Joseph de;Nasr, Ahmed;Demellawy, Dina El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5호
    • /
    • pp.353-375
    • /
    • 2022
  • No systematic review to date has examined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in relation to native liver survival in children who undergo the Kasai operation for biliary atresia (B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s presented, comparing the frequency of native liver survival in peri-operative severe vs. non-severe liver fibrosis cases, in addition to other reported histopathology parameters. Records were sourced from MEDLINE, Embase, and CENTRAL databases. Studies followed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s and compared native liver survival frequencies in pediatric patients with evidence of severe vs. non-severe liver fibrosis, bile duct proliferation, cholestasis, lobular inflammation, portal inflammation, and giant cell transformation on peri-operative biopsies. The primary outcome was the frequency of native liver survival. A random effects meta-analysis was used. Twenty-eight observational studies were included, 1,171 pediatric patients with BA of whom 631 survived with their native liver. Lower odds of native liver survival in the severe liver fibrosis vs. non-severe liver fibrosis groups were reported (odds ratio [OR], 0.16; 95% confidence interval [CI], 0.08-0.33; I2=46%). No difference in the odds of native liver survival in the severe bile duct destruction vs. non-severe bile duct destruction groups were reported (OR, 0.17; 95% CI, 0.00-63.63; I2=96%). Lower odds of native liver survival were documented in the severe cholestasis vs. non-severe cholestasis (OR, 0.10; 95% CI, 0.01-0.73; I2=80%) and severe lobular inflammation vs. non-severe lobular inflammation groups (OR, 0.02; 95% CI, 0.00-0.62; I2=69%).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dds of native liver survival in the severe portal inflammation vs. non-severe portal inflammation groups (OR, 0.03; 95% CI, 0.00-3.22; I2=86%) or between the severe giant cell transformation vs. non-severe giant cell transformation groups (OR, 0.15; 95% CI, 0.00-175.21; I2=94%). The meta-analysis loosely suggests that the presence of severe liver fibrosis, cholestasis, and lobular inflammation are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native liver survival in pediatric patients after Kasai.

미숙아에서의 전비경구적 영양 관련 담즙울체 (Total Parenteral Nutrition-associated Cholestasis in Premature Infants)

  • 박경필;김세영;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17-23
    • /
    • 2003
  • 목 적 :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는 오랫동안 전비경구 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미숙아에게 있어 TPN을 오래 시행하는 경우 담즙 울체성 황달은 가장 중요한 합병증 가운데 하나이나 그 임상 양상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미숙아 가운데 발생한 TPN 관련 담즙울체(TPN associated cholestasis, TPNAC) 환아를 대상으로 발생빈도, 임상 경과와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2년 5월까지 2년 동안 경북대학교 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2주 이상 TPN을 시행 한 출생체중 2,000 gm 미만의 미숙아 66명 가운데 담즙 울체가 발생한 환아 21명을 대상으로 울체가 발생하지 않은 4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TPN 관련 담즙울체의 진단은 혈청 직접 빌리루빈이 2.0 mg/dL 이상이고 간염이나 담도 폐쇄 등의 다른 울체의 원인이 배제된 경우로 하였다. 담즙 울체의 발생시기, 빈도, 지속기간, 임상경과,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위험인자는 대상 환아의 의무기록지를 검토를 통해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TPNAC의 발생빈도는 31.8%였으며, 출생 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낮을수록, TPN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발생시기는 TPN 시작 후 평균 41.7일${\pm}$17.4일이었으며 지속기간은 평균 $33.6{\pm}23.4$일이었다. TPNAC 환아는 대조군보다 생후 3주째의 경구 섭취량이 유의하게 적었으나 TPNAC 환아와 대조군 사이에 감염이나 가사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TPNAC의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되는 혈청 직접 빌리루빈은 4-6주에 증가하였으며 ALT(alanine aminotransferase, SGPT)는 생후 6-8주에 증가하였다. 결 론 : 본 조사에서 TPNAC는 출생체중이 적고 재태주령이 적은 미숙아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TPN 기간이 길수록 호발하 였다. TPNAC 환아들은 TPN 시행 중 병행한 경구 수유량이 생후 3주째 대조군에 비해 적었다. 따라서 고위험 환아들은 TPN 영양 중에도 경구 영양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경구량을 증가시킴으로써 TPNAC 발생을 경감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아 담도폐쇄증 진단에서 Tc-99m DISIDA 간담도주사와 경피간침생검의 의의 (Comparison of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and Percutaneous Needle Biopsy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iliary Atresia and Intrahepatic Cholestasis)

  • 김우석;박우현;최순옥;김상표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3권1호
    • /
    • pp.6-14
    • /
    • 1997
  • 본 저자들은 1992년 3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신생아 울체성 황달의 감별진단, 특히 신생아담도폐쇄증과 신생아 간염의 감별진단에 있어 Tc-99m DISIDA 간담도주사와 경피간침생검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질환별로 볼 때 전체 60예의 환아 중에서 담도패쇄증이 23예, 신생아 감염이 34예였으며 경정맥고영양법으로 인한 황달이 2예, Alagille 증후군이 1예였다. Tc-99m DISIDA 간담도주사는 60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BA 진단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6%와 32%로서 높은 민감도를 보인 반면 특이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진단 정확도는 57%였다. 경피간침생검은 Tc-99m DISIDA 간담도주사를 실시한 60명의 환아중 장관내 방사능이 나타나지 않았던 38명의 환아에서 40회 실시하였는데, 경피간침생검에 BA 진단에 대한 민감도는 88%, 특이도는 96%로 모두 높았으며 전체적인 진단 정확도는 93%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Tc-99m DISIDA 간담도주사는 특이도 32%, 양성예측율 47%로서 Tc-99m DlSIDA 간담도주사에서 장관내 방사능이 배설이 되지 않을 때는 경피간침생검이 반드시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일단 장관내 방사능이 배출되면 BA는 배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경피간침생검은 전체적인 진단율이 93%로 높으나, BA 환아에서 8주전에 경피간침생검시는 NH와 감별이 어려울 수 있으며, 또 일부 NH, 경정맥고영양법 관련 울체성 황달에서는 경피간침생검시 BA와 감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임상경과를 보아서 의심스러우면 재 경피간침생검을 시행하던지 타 진단법을 응용해서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atechol-O-Methyltransferase Activity in Cholestatic Rat's Liver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 Mun, Kyo-Cheol
    • BMB Reports
    • /
    • 제29권2호
    • /
    • pp.142-145
    • /
    • 1996
  • To investigate the cause of increased plasma catecholamine levels in liver disease, catechol-O-methyltransferase (COMT), which provides a major route of catabolism for circulating catecholamines, was studied under the cholestasis induced by mechanical biliary obstruction in rats. Monoamine oxidase (MAO) activity and the $K_m$ and $V_{max}$ values for both enzymes were also measured. Cytosolic, microsomal, and mitochondrial COMT activities in the cholestatic liver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roughout the experiment. Microsomal, and mitochondrial MAO activity in the cholestatic liver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Vmax values of COMT and MAO were lower. Serum COMT and MAO activities were detected after CBD lig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lasma catecholamine levels are increased in liver disease due to decreased hepatic degradation of catecholamines by decreased activities of COMT and MAO. The decreased activity of these enzymes is caused by decreased biosynthesis and by flowage into the blood from the damaged hepatocyte.

  • PDF

Dubin-Johnson 증후군 1예 (A Case of Dubin-Johnson Syndrome)

  • 곽애정;김미정;조민정;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68-72
    • /
    • 2002
  • 저자들은 신생아시기에서부터 담즙정체성을 나타낸 Dubin-Johnson 증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xtrahepatic Cholestasis in a Jindo Dog

  • Bae, Jang-Hoon;Lim, Soo-Ji;An, Ji-Young;Son, Seon-Ho;Chang, Jin-Hwa;Kwon, Young-Hang;Ahn, Se-Joon;Song, Geun-Ho;Lee, Young-Won;Choi, Ho-Jung
    • 한국임상수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임상수의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9-239
    • /
    • 2009
  • PDF

지속되는 신생아 담즙 정체증과 간비비대를 주소로 내원하여 유전자분석으로 확진된 C형 Niemann-Pick병 (Molecular diagnosis of Niemann-Pick type C presenting with neonatal cholestasis and hepatosplenomegaly)

  • 정민희;고정민;김구환;유한욱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2호
    • /
    • pp.200-203
    • /
    • 2007
  • C형 Niemann-Pick병은 NPC1 및 NPC2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신생아 간염과 간비비대, 이후 안구의 수직운동 마비, 조화운동불능, 구음장애, 근육긴장이상, 경련 등 서서히 진행하는 신경학적 이상을 보이게 된다. 환아는 7개월 된 여아로 출생 후부터 황달과 간비비대가 지속되어 리소솜성 축적질환을 의심하였고 시행한 골수검사상 거품형태의 조직구가 관찰되어 Niemann-Pick병을 진단하였다. 신생아 황달, 간비비대 등 환아의 임상양상을 고려했을 때 C형 Nimann-Pick병이 의심되었고 확진을 위해 시행한 NPC1 유전자 검사에서 c.451_452del (p.Ser151TrpfsX18) 및 새로운 돌연변이인 c.1757+3_6del의 이형접합체임을 확인하여 질환을 확진 하였다.

  • PDF

Cyclosporin A를 투여한 랫드 간장의 미세구조적 연구; 담세관을 중심으로 (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liver of rat treated with cyclosporin A;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bile canaliculus)

  • 박창현;김윤정;장병준;임창형;윤화중;이덕윤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59-670
    • /
    • 1995
  • Cyclosporin A extracted from fungus Trichoderma polysporum Rifai and Cyclindrocarpon lucidum Booth serves as an important immunosuppressive drug in transplantation surgery. Systemic treatment with cyclosporin A induces an impairment of the biliary excretion of the bile salts and cholestas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Ultrastural changes of the hepatocytes and the bile canaliculi in cyclosporin A-induced intrahepatic cholestasis in rats. Cyclosporin A was injected into male Wistar rats intraperitoneally 50mg per kg body weight and rats were necropsied at 1, 3, 6, 9, 12, 24 hours. The liver tissues were observed with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fter cyclosporin A injection, SER and lysosomes were increased in the hepatocytes until 9 hours. At 12 hours after injection of cyclosporin A, RER with dilated cistern were increased, and SER, lysosomes in the cytoplasm were decreased. From 1 hour to 24 hours after injection of cyclosporin A, there were dilation of bile canalliculi and decreased or lost microvilli. At 24 hours the dilation of bile canaliculi were decreased. Scanning electron microsocopy: After cyclosporin A injection, the bile canaliculi were dilated and the microvilli were shortened, decreased or lost according to the sites. At 24 hours, the microvilli packing the bile canaliculi were observed.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cyclosporin A-induced cholestasis is associated with the dilation of bile canaliculi, increased microfilaments of the pericanalicular region and decreased or lost microvilli.

  • PDF

정맥영양 극소저체중출생아의 간담도 기능 이상 (Hepatobiliary Dysfun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Supported with Parenteral Nutrition)

  • 이윤희;빈중현;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97-204
    • /
    • 2009
  • 목 적 : 동일 병원에서 같은 기준에 의하여 정맥영양을 받는 미숙아들 중에도 간기능 검사 결과는 쓸개즙정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간효소의 수치만 오르고 쓸개즙정체의 증상이 없는 경우, 쓸개즙정체 및 간효소 수치의 이상이 없는 경우 등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저자들은 출생 직후부터 정맥영양을 받은 미숙아 및 극소저출생체중아들을 대상으로 간기능 검사 결과의 양상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4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가톨릭의대 부천 성모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출생체중 1,500 gm 미만의 미숙아들 중 2주 이상 TPN을 시행한 9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정맥영양 시행 2주 이후부터 관찰기간 동안 시행된 대상아 각각의 간기능 검사 전체를 분석하였으며 검사 결과 혈청 직접빌리루빈(direct bilirubin, DB) 2 mg/dL 이상이 측정되었고 담도폐쇄나 쓸개즙정체를 초래할 다른 원인이 배제된 경우 쓸개즙정체 그룹으로,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 (ALT)가 각각 60 IU/L 이상으로 측정되었고 측정시기에 상기의 제외기준을 비롯하여 뚜렷한 간손상의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경우 간세포손상 그룹으로 하였다. DB 2 mg/dL 이상인 쓸개즙정체그룹을 I군, DB 2 mg/dL 미만이나 AST 및 ALT가 각각 60 IU/L 이상인 간효소치 이상군을 II군, 각각에 이상이 없었던 정상군을 III군으로 하였다. 각 대상아들의 출생체중, 재태주령, 분만방법, 당뇨병 및 전자간증 등의 산모질환,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계면활성제 사용, 장관영양 시작 시기, 정맥영양기간, 적혈구수혈 횟수, 패혈증, 괴사성장염, 만성호흡곤란증, 동맥관개존증 발생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아들 중 쓸개즙정체 그룹이 36명(39.1%), 간세포손상 그룹이 51명(55.4%) 이었으며, I군 36명(39.1%), II군 19명(20.7%), III군 37명(40.2%) 이었다. 쓸개즙정체그룹과 간세포손상 그룹 각각에 대한 T검정 및 교차분석 결과 재태일령, 출생체중,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정맥영양기간, 적혈구수혈 횟수, 계면활성제 사용, BPD 진단, PDA 진단 유무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쓸개즙정체 그룹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재태주령, 계면활성제 사용, 패혈증, 적혈구수혈 횟수, 동맥관 개존증과의 관계가 유의했다(P<0.05). 결 론 : 정맥영양을 받고 있는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쓸개즙정체증에 대하여 정맥영양 이외에 출생체중, 재태주령,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계면활성제사용, 적혈구수혈 횟수, 만성호흡곤란증, 동맥관개존증 등 요인들에 대한 고민이 동반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