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 Sehe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의 해시함수 충돌쌍 공격 동향

  • 백승준;조세희;김종성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7-63
    • /
    • 2022
  • 공개키 암호에 치명적인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 양자 컴퓨터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암호학계에서는 공개키 암호를 대체하기 위한 양자 내성 암호 개발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이와 더불어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의 대칭키 암호 및 구조의 안전성에 관해서도 많은 연구가 제안됐다. 하지만, 해시함수에 대한 분석은 2020년 Hosoyamada와 Sasaki가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해시함수의 충돌쌍 공격을 제안하면서 비로소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그들의 연구는 양자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공격자가 고전 컴퓨터만을 이용할 수 있는 공격자보다 해시함수의 더 많은 라운드를 공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해시함수의 충돌쌍을 찾는 문제는 해시함수 자체의 안전성에도 영향이 있지만, 양자 내성 암호의 안전성에도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시함수 충돌쌍 공격이 수행되는 양자 환경과 기 제안된 양자 충돌쌍 공격을 제시한다.

A Finite Thin Circular Beam Element for In-Plane Vibration Analysis of Curved Beams

  • Kim Chang-Boo;Park Jung-Woo;Kim Sehee;Cho Chongdu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12호
    • /
    • pp.2187-2196
    • /
    • 2005
  • In this paper, the stiffness and the mass matrices for the in-plane motion of a thin circular beam element are derived respectively from the strain energy and the kinetic energy by using the natural shape functions of the exact in-plane displacements which are obtained from an integration of the differential equations of a thin circular beam element in static equilibrium. The matrices are formulated in the local polar coordinate system and in the global Cartesian coordinate system with the effects of shear deformation and rotary inertia. Some numerical example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element formulation and its analysis capability. The comparison of the FEM results with the theoretical ones shows that the element can describe quite efficiently and accurately the in-plane motion of thin circular beams. The stiffness and the mass matrices with respect to the coefficient vector of shape functions are presented in appendix to be utilized directly in applications without any numerical integration for their formulation.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의 Ascon-Hash에 대한 Free-Start 충돌 공격 (A Quantum Free-Start Collision Attack on the Ascon-Hash)

  • 조세희;백승준;김종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617-628
    • /
    • 2022
  • Ascon은 2015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NIST 경량암호 공모사업의 최종 라운드 후보 중 하나이며, 해시 모드 Ascon-Hash와 Ascon-Xof를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Ascon-Hash의 충돌 공격을 위한 MILP 모델을 개발하고, 해당 모델을 통해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차분 경로를 탐색한다. 또한, 탐색한 차분 경로를 이용하여 양자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공격자가 3-라운드 Ascon-Hash의 양자 free-start 충돌쌍을 찾을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공격은 Ascon-Hash에 대한 충돌 공격을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 최초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이버보안 위협과 취약점 분석 (Analysis of Cybersecurity Threats and Vulnerabilities in Metaverse Environment)

  • 최진원;권재우;이세희;박원형;조태경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9-24
    • /
    • 2022
  • 메타버스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영어 단어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가리킨다. 메타버스는 가상현실(VR,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람이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기술)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으로, 아바타를 활용해 단지 게임이나 가상현실을 즐기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보안 이슈가 많아 발생하고 있어 사이버보안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메타버스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의 위협과 취약점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확인 한다.

Optical Sensing for Evaluating the Severity of Disease Caused by Cladosporium sp. in Barley under Warmer Conditions

  • Oh, Dohyeok;Ryu, Jae-Hyun;Oh, Sehee;Jeong, Hoejeong;Park, Jisung;Jeong, Rae-Dong;Kim, Wonsik;Cho, Jaei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3호
    • /
    • pp.236-240
    • /
    • 2018
  • Crop yield is critically related to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disease resistance of the crop, which could be strongly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We observed the changes in the growth of barley under higher than ambient air-temperature conditions using a temperature gradient field chamber (TGFC) during winter and spring. Before the stem extension stage of barley growth, Cladosporium sp. spontaneously appeared in the TGFC. The severity of disease became serious under warmer temperature conditions. Further, the stomata closed as the severity of the disease increased; however, stomatal conductance at the initial stage of disea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leaves. This was likely due to the Iwanov effect, which explains that stressed plants rapidly and transiently open their stomata before longer-term closure. In this study, we tested three optical methods: soil-plant analysis development (SPAD) chlorophyll index, photochemical reflectance index (PRI), and maximum quantum yield (Fv/Fm). These rapid evaluation methods have not been used in studies focusing on disease stress, although some studies have used these methods to monitor other stresses. These three indicative parameters revealed that diseased barley exhibited lower values of these parameters than normal, and with the increase in disease severity, these values declined further. Our results will be useful in efficient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crop diseases under future warming conditions.

국내 5만톤/일 이상 대규모 정수장 원수에서 크립토스포리디움 및 지아디아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Raw Water of Large Water Treatment Facility in Korea)

  • 박상정;김종민;김태승;정동일;이목영;남세희;윤종호;정종문;조은주;전현숙;장은숙;정미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1-267
    • /
    • 2010
  • In order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level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n drinking water resources, distribution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was studied in intake water of main water treatment facility with treatment capacity over 50,000 ton/day in Korea. 10 L samples from each study sites were collected quarterly for 2 years between Oct. '04 and Dec. '07. Cryptosporidium and Giardia were filtered and concentrated by capsule filter and centrifugation, and analyzed by immunomagnetic separation process and fluorescent assay. Cryptosporidium oocysts and Giardia cysts were detected in 7.0% and 9.3%, respectively, of a total 776 samples from 97 study sites. And mean detection number of Cryptosporidium oocysts and Giardia cysts in total 776 samples was 0.11/10 L, 0.16/10 L, detection range of Cryptosporidium oocysts and Giardia cysts was 0~7/10 L, 0~4/10 L, respectively. In seasonal distribution, Cryptosporidium was more frequent in spring as 9.2% than other season, Giardia was more frequent in winter as 14.6% than other season, but there was not shown significant seasonal characteristics. In correlation analysis with total 776 data, Cryptosporidium had significant correlation to total coliforms at the 0.05 level, but correlation value was too low as 0.07 (r=0.07). In case of Giardia, wha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at the 0.05 level was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but correlation value was too low as 0.26, 0.27 respectively.

온대활엽수림 생태수문계의 과정망: 복잡계 관점 (Process Networks of Ecohydrological Systems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A Complex Systems Perspective)

  • 윤주열;김세희;강민석;조천호;천정화;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7-168
    • /
    • 2014
  • 본 총설에서는 산림생태계의 생태수문시스템을 복잡계의 관점에서 바라 보았을 때, (1) 생태수문계의 구성 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망을 형성하고 집단적인 반응을 하며, (2) 복잡정교한 정보 처리를 수행하고, (3) 자기-조직화 과정을 통해 적응해 가는 복잡계의 특징들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제시된 과정망 그리기의 결과는 생태수문계에 관여하는 다양한 시공간 규모의 과정들이 실제로 관련 변수들 간의 되먹임과 정보 흐름의 망을 형성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또한 구성 변수들이 독특한 형태(즉, 차별화된 결합 형태, 방향성 및 시간 지연 규모)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망 안에 또 다른 망을 형성하며 일관되게 조직화되어 특정한 하부계들을 구성하는 계층적(hierarchical) 구조를 잘 나타낸다. 이러한 하부계들이 종관 하부계(SS), 대기경계층 하부계(ABLS), 생물리 하부계(BPS), 생물리화학 하부계(BPCS)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하부계들이 서로 되먹임 고리들을 맺거나 끊음으로써 지역하부계(RS)와 같은 새로운 하부계의 집합체를 생성하거나, 또는 분리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바로 복잡계의 특성인 자기-조직화 과정의 증거로서, 생태계가 계층적으로 조직화되어 성장하고 발전하면서, 자연적/인위적 교란 속에서도 자기-조직화를 통해 동적 평형을 유지하며,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진화해 나감을 함축적으로 의미한다. 생태계의 건전성은 시스템의 자기-조직화 과정들이 유지될 때에 비로소 보존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에서 과정망 연구방법은 의미있고 이치에 닿는다.

배 검은별무늬병 감염과 저항성 방어반응 연관 전사체 프로파일 (Transcriptomic Profile in Pear Leave with Resistance Against Venturia nashicola Infection)

  • 신일섭;천재안;김세희;조강희;원경호;정해원;김금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36
    • /
    • 2022
  • The molecular understanding of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of host plants to scab, a most threatful disease to pome fruit production worldwide, is very limited. Comparing resistant line '93-3-98' to susceptible one 'Sweet Skin' at seven time points of 0, 0.5, 1, 2, 3, 4, 8 days post inoculation, RNA-sequencing data derived from infected and mock-inoculated young leave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tolerant response and to mine candidate genes of pear to the scab pathogen Venturia nashicola. Analysis of the mapped reads showed that the infection of V. nashicola led to significant differential expression of 17,827 transcripts with more than 3-fold change in the seven pairs of libraries, of which 9,672 (54%) are up- and 8,155(46%) are down-regulated. These included mainly receptor (NB-ARC domains-containing, CC-NBS-LRR, TIR-NBS-LRR, seven transmembrane MLO family protein) and transcription factor (ethylene responsive element binding, WRKY DNA-binding protein) related gene. An arsenal of defense response of highly resistant pear accessions derived from European pear was probably supposed no sooner had V. nashicola infected its host than host genes related to disease suppression like Polyketide cyclase/dehydrase and lipid transport protein, WRKY family transcription factor, lectin protein kinase, cystein-rich RLK, calcium-dependent phospholipid-binding copine protein were greatly boosted and eradicated cascade reaction induced by pathogen within 24 hours. To identify transcripts specifically expressed in response to V. nashicola, RT-PCRs were conducted and compare to the expression patterns of seven cultivars with a range of highly resistant to highly susceptible symptom. A DEG belonging to the PR protein family genes that were higher expressed in response to V. nashicola suggesting extraordinary role in the resistance response were led to the identification.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transcriptional profile by RNA-seq of the host plant during scab disease and insights into the response of tolerant pear plants to V. nashicola.

  • PDF

개가시나무(Quercus gilva)와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의 건조 내성에 따른 생리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 along with Drought Tolerance of Quercus gilva and Quercus glauca)

  • 최윤경;이정민;김의주;박지원;김윤서;조경미;김세희;김규리;이주선;유영한;설아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41
    • /
    • 2022
  • 제주 내 크게 6개 지역에 흩어져 분포하고 있는 곶자왈은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제주 산림생물자원의 46%가 분포하여 생물종다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곶자왈은 자갈과 바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양이 적게 발달하여 건조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곶자왈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이자 산림청에서 희귀식물로 지정한 개가시나무(Quercus gilva)와 같은 속이면서 공존하고 있는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의 건조 내성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고자 실내에서 생리 반응을 연구하였다. 온도(22±2.94℃)와 토양 양분(10%)은 자생지의 값을 기준으로 처리하였으며 수분 처리는 토양을 채운 화분에 물이 화분 밑으로 새어나가기 직전까지 포장용수량 700mL를 공급한 후 27일간 단수하였다. 단수기간에 수분함량의 변화는 토양수분함량측정기(Watch Dog)를 설치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항목은 토양수분함량에 따른 광합성률, 증산률, 수분이용효율, 기공전도도, Fv/Fm, Fo, Fm, 엽록소함량을 측정하였다. 토양수분함량은 25, 27일째를 제외한 기간에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높았다. 광합성률은 27일째를 제외한 기간에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높았다. 증산률은 4, 5, 11, 14, 25, 27일째에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낮았다. 수분이용효율은 13일째를 제외한 기간에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높았다. 기공전도도는 3, 9일째에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높았다. Fv/Fm은 22, 27일째를 제외한 기간에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높았다. Fo은 3, 14일째를 제외한 기간에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높았다. Fm과 엽록소함량은 기간에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높았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 보았을 때 개가시나무가 종가시나무보다 건조 내성에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산약에서 분리한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의 RAW 264.7 세포와 TK-1 세포에서의 면역 활성 조절 효능 (Immunomodulatory Effects of β-sitosterol and Daucosterol Isolated from Dioscorea batatas on LPS-stimulated RAW 264.7 and TK-1 Cells)

  • 박민경;조세희;안태규;김도현;김소연;이진욱;김지인;서을원;손건호;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9-369
    • /
    • 2020
  • 많은 면역 소재 연구에서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결과는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T 세포 유래 TK-1 세포를 활용한 연구결과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식물 유래 성분인 β-sitosterol의 효능 연구에 비하여 그 유사체인 daucosterol의 면역 활성 조절 기능에 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약, D. batatas, 에서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을 추출하여 분리하고 NMR 방법으로 동정하였다. 이후 분리된 phytosterols의 면역 증강 또는 억제 효능을 규명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와 TK-1 세포에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을 각각 농도별로 12시간 동안 처리한 후에 염증관련 유전자인 COX-2, TNF-α, IL-6, iNOS의 상대적인 발현양을 RT-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대식세포주인 RAW 264.7에 β-sitosterol을 처리하였을 때, LPS만을 처리한 대조군의 발현 증가량과 비교하여 TNF-α와 iNOS의 상대적인 발현양이 3 fold 이상 증가하였다. TK-1 세포의 경우에서는 β-sitosterol의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TNF-α의 발현양은 감소하고 iNOS의 발현양은 증가하였다. Daucosterol을 RAW 264.7 세포에 처리한 경우 COX-2, TNF-α, IL-6의 발현양이 0.7~1.2 fold 정도로 변화하였으며 iNOS의 경우는 특이하게 0.8~0.18 fold로 발현양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K-1 세포에 daucosterol을 처리한 경우에는, 놀랍게도 LPS만 처리된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TNF-α, IL-6, iNOS의 발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β-sitosterol의 처리는 RAW 264.7 세포에서 TNF-α, iNOS의 발현증가를 유도하여 면역 상승 효과에 관여하였다. TK-1 세포에서는, iNOS 발현 수준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TNF-α 발현수준은 감소하여, β-sitosterol의 면역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Daucosterol은 RAW 264.7 세포의 iNOS 발현양을 억제하고 TK-1 세포에서 TNF-α, IL-6, iNOS의 발현을 크게 억제함으로써, 대식세포와 T 세포주에서 모두 면역 억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