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a / Chlorophyll b ratio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4초

Greening에 따른 유채 자엽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 (Formation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in Greening Rape Cotyledons)

  • 이진범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6권2호
    • /
    • pp.91-99
    • /
    • 1983
  • The formation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CP-complexes) during the greening of rape cotyledons (Brassica napus cv. Yongdang) was investigated by the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and Chl a/b ratio were also determin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dark treatment on the CP-complex patterns during greening have been examined with respect to their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Greening has brought about the increasein total chlorophyll content and the decrease in Chl a/b ratio, but there have been no changes in Chl a/b ratio after 24 hrs of greening. The light-harvesting chlorophyll a/b-protein complex (LHCP-complex0 was predominant during the initial greening period. Thereafter, the amout of chlorophyll a-protein complex (CP I-complex) was gradually increased. Twenty-four-hr dark treatment immediately after illumination for 6 hrs and 12 hr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Chl a/b ration and the CP I complex, otherwise the decrease of the LHCP-complex. The LHCP/CP I ratio was gradually decreased with further greening, and appeared no change after 48 hrs illumination. The investigation of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activity indicated that photosystem (PS) II activity (H2Olongrightarrowp-PD*+FeCy**) did not change, but the activity of PS I was increased suddenly due to the dark treatment. The data suggests that the increase of CP I-complex may result in that of P-700, that is, the increase of PS I activity.

  • PDF

오존에 노출된 덩굴식물류, 쇠뜨기, 쑥의 광색소 함량과 SOD 활성 변화 (Photosynthetic Pigment Concentrations and Changes of SOD Activities on Liana, Equisetum Arvense and Artemisia Princeps Exposured to Ozone)

  • 박은희;김종갑;이재천;한심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59-163
    • /
    • 2002
  • 덩굴식물 개머루, 계요등, 까마귀머루, 담쟁이덩굴, 댕댕이덩굴, 인동덩굴, 하늘타리 등 7수종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 등 2수종을 이용하여 광색소 함량과 SOD활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 ppb 처리구에서 볼 때 엽록소 a, 엽록소 b, 총 엽록소 함량, 카로테노이드에서 담쟁이덩굴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b와 a의 비에서는 쇠뜨기, 카로테노이드와 총 엽록소의 비에서는 계요 등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덩굴식물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의 비교에서는 엽록소 b와 엽록소 a의 비에서 확실한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a와 b의 비에서보면 엽록소 b보다 엽록소 a가 더 민감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종에서는 담쟁이덩굴, 덩굴식물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의 비교에서는 덩굴식물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SOD 활성에서는 100 ppb 처리구에서 덩굴식물류 7수종과 쇠뜨기, 쑥의 처리전과 처리후의 차이는 쑥에서 3535.7 unit/g로 매우 크게 증가하였으며, 계요 등이 109.3 unit/g로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개머루 한 수종에서 131.7 unit/g로 감소했다.

열무김치 숙성에 따른 chloropyll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up chlorophyll due to the fermentation of Kim chi)

  • 오승희
    • 기술사
    • /
    • 제18권4호
    • /
    • pp.12-22
    • /
    • 1985
  • This investigation was attempted to determine changes in chlorophyll. Pheophytin content PH and titratable acidity during young redish Kim chi fermentation. Young redishes divied in to leaf and vein and fermented in dark room for 35 days at 10$^{\circ}C$ after pickling each group. Samples were collected at 5 days interval for the chemical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Chlorophyll content in young redish was decreased by decreasing PH during fermentation periods. Chlorophyll content decreased from 11.60mg/g to 7.62mg/g in leaf, from 0.48mg/g to 0.33mg/g in vein respectively during 35 days fermentation periods. In contrast to chlorophyll. pheophytin content increased as chlorophyll content decreased during the period. The ratio of chlorophyll a and b content in young redish about 3 : 1 in leaf and vein and decreased nearly the same ratio during fermentation periods. In case of pheophytin a and b it was increased without any relation with the ratio chlorophyll a and b. In generally, the optimum PH for eating was known 4.3 to 5.0. Young redish Kim chi was reached the optimun PH at 15 to 25 days of fermentation at 10$^{\circ}C$. At this periods. Chlorophyll content varied from 11.32mg/g to 9.30mg/g for leaf and from 0.43mg/g to 3.37mg/g for vein, respectively. 2. Titratable acidity(as lactic acid) was increased to 0.54% in leaf at 20 days fermentation period during Kim chi fermentation. and nearly unchanged until 30days. At the end of fermentation period the titratable acidity was about 0.30%. Titratable acidity was increased as decreasing pH.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0.92 in leaf and -0.77 in Vien. 3. Correlation between titratable acidity and chlorophll, pheophyt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 PDF

무에서 니켈 독성검정을 위한 생육 및 생리반응 비교 -II. 니켈에 의한 무의 생리반응- (Comparison of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n Radish for Assay of Nickel Toxicity -II. Effect of Ni on Physiological Responses in Radish-)

  • 한강완;조재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293-296
    • /
    • 1996
  • 니켈독성의 생물검정에 있어서 지표식물로 무를 이용하였고 수경재배 조건하에서 니켈용액의 농도에 따른 무종자의 발아율, 세포신장, ${\alpha}-amylase$ 활성도, 엽록소, 단백질함량을 조사한 결과 니켈처리농도를 증가시키면 종자의 발아초기에는 농도의존적으로 ${\alpha}-amylase$의 활성도가 크게 저해를 받기 시작하였으며, 발아후 생장단계에서는 엽록소 b와 a의 함량이 크게 저해를 받았다.

  • PDF

Chlorophyll과 Silicon-Pyridine 중합체의 착물에 대한 형광연구 (제3보) (The Fluorescence Study on the Chlorophyll Complexes of Silicon-Pyridine Polymers (III))

  • 정우태;이근설;김대웅;박면용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04-309
    • /
    • 1982
  • Chlorophyll-a(chl-a)와 chlorophyll-b(chl-b)를 pyridine을 포함한 실리콘의 dimer, hexamer에 결합시킨 물질은 중합체의 pyridine 농도와 chl-a의 농도의 비가 1:1일 때 가장 큰 에너지 전이를 나타냈으며 chl-b와 실리콘 중합체는 가장 큰 들뜬 에너지를 나타냈다.

  • PDF

녹화중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효과 (The Effect of Light on the Formation of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in Oat Seedlings during Greening)

  • 이동희;문연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643-656
    • /
    • 1996
  • 백색광 및 여러 파장의 광선 (적색, 청색, 그리고 녹색광)이 녹화중인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 함량 변화 및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높은 광도의 백색광은 낮은 광도의 백색광에 비하여 귀리 유식물의 전체 엽록소 함량 및 엽록소 a/b 비율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에 있어서 높은 광도의 백색광은 낮은 광도의 백색광에 비하여 PSI, CCI, 및 CCII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하였다. 한편, 여러 파장의 광선하에서 생장한 귀리 유식물은 유사한 광도를 가진 백색 광하에서 생장한 유식물에 비하여 엽록소의 축적 및 엽록소 a/b 비율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적색광은 귀리 유식물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에 있어서 백색광에 비하여 LHCII trimer형성에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나, 청색광은 백색광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청색광과 적색광을 비교하였을 때, 청색광은 적색광보다 LHCII monomer의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엽록체의 발달과정동안 광도의 효과가 광질의 효과보다 엽록소 축적 및 엽록소 a/b비율의 증가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여러 파장의 광선은 엽록체-단백질 복합체의 조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주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 특징과 엽록소 함량 비교 (Comparisons in Pattern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Major Foliages with Variegated Leaves)

  • 박인숙;신용길;오욱;김규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47-45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반입 관엽식물의 무늬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하여 이용 및 육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반입의 형태 및 색, 면적비, 그리고 잎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주요 관엽식물 중에서 국내 시장에서 확보할 수 있는 반입식물 6개과, 18속, 54종 또는 품종을 선정하여 재료로 사용하였다. 반입의 형태는 계단, 복륜, 복륜붕괴, 모래복륜, 절반, 비단, 별, 엽맥, 장작, 장작복륜, 중심, 초심, 잎, 불규칙, 그물, 수박, 참외무늬 등 20종류였다. 반입의 색깔은 암록, 적, 암적, 적백, 적황, 백, 은, 은백, 황백, 황색 등이었다. 반입 면적비는 5.8%에서 100%까지 종에 따라 다양하였는데, 초심의 반입 면적비율이 98.6%로 가장 높았고, 계단무늬도 60.8%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복륜, 별, 장작무늬 등은 33.6-36.4%로 비율이 낮았고, 절반 및 엽맥 무늬도 43% 정도로 낮았다. 반입의 엽록소 함량은 일반식물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나, 엽록소 a와 b의 비율은 일반식물에 비해 b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특히 Stromanthe sanguinea 'Triostar', Dracaena fragrans 'Massangeana Compacta'의 복륜붕괴 무늬종, D. reflexa 'Song of India' 및 Tradescantia spathacea의 엽록소 b함량이 a보다 많았다.

엽록소 농도 결정을 위하여 측정한 흡광도 값의 신뢰도 검정 지표로서 엽록소 a/b 비례치 (Chlorophyll a/b Ratio as a Criterion for the Reliability of Absorbance Values Measured for the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Concentration)

  • 오광석;이춘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09-513
    • /
    • 2019
  • 비어 람버트 법칙에 의하면 충분히 묽은 용액에서 주어진 파장에서 측정한 흡광도는 용질의 농도에 비례한다. 반대로 충분히 묽은 용액이란 측정한 흡광도 값이 용질의 농도에 비례관계를 가지는 범위에 있는 용액을 말하지만 실제 확신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벼 잎에서 추출한 엽록소 80% 아세톤 용액을 사용하여, 측정한 흡광도 값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 엽록소 a/b 비례치의 사용 가능성을 4가지 다른 흡광분광분석기(Cary4E, UV-1650PC, Versamax, NanoDrop 100)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0.2{\mu}g/ml$의 매우 저농도에서 $200{\mu}g/ml$까지의 다양하게 희석한 엽록소 용액을 사용하여, 645 nm와 663 nm에서 측정한 흡광도 값을 측정한 후, 흡광도 값과 엽록소 농도의 비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 비례관계로 판단한 측정치의 신뢰 범위에서 흡광도로부터 계산한 용액에서의 엽록소 농도와 이미 알고 있는 엽록소 농도 비교적 일치하였다. 그러나, 비례관계의 한계치 안에 있어 신뢰도가 인정된 일부 고농도와 저농도에서의 일부 값이 엽록소 a/b 비례치가 용액의 희석에 변화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기준에 있어 신뢰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는 엽록소 농도결정을 위하여 측정한 흡광도 값의 신뢰 여부는 대상 용액을 희석하여 측정한 흡광도의 비례관계로 본 비어-램버트 법칙의 기준 보다는 엽록소 a/b 비례치가 변하지 않는다는 기준으로 측정치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 Light Harvesting Chlorophyll Protein의 특성 및 엽소병에서 Singlet Oxygen($^1O_2$) Quenching (Characteristics of Light Harvesting Chlorophyll-Protein Complex and Singlet Oxygen ($^1O_2$) Quenching in Leaf-burning Disease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 양덕조;이성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8-164
    • /
    • 1989
  • 인삼엽소병(leaf-burning disease) 원인과 light-harvesting chlorophyll-protein(LHCP) complex의 solar energy 분배능력과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인삼 thylakoid의 chlorophyll-protein(CP) complex의 조성 및 특징을 조사하였다. 인삼의 CP-complex는 non-denaturing SDS-PAGE 방법에 의해 4개 bands로 분리되었으며 각 band는 Bassi와 Dunahay의 결과에 따라 CPI(PSI의 reaction center와 LHCP I antennae), CP I(PSI reaction center), LHCP II(LHCP II)의 oligoform), 그리고 LHCP II(PS II antennae; CP29, CP26)로 확인되었다. 인삼의 LHCP II 는 양지식물인 spinach, soybean과 비교해 볼 때 오히려 인삼의 band intensity가 더 높았으며, CP I band는 인삼에서만 분리되었다. 인삼 CP-complex band의 absorption 및 fluorescence spectra, chlorophyll a.b ratio 에서도 비교식물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Thylakoid membrane의 polypeptide 함량은 인삼에서 비교식물에 비해 현저히 낮은 polypeptide 함량은을 나타내었다. SDS-PAGE에 의한 polypeptide pattern은 band의 수나 band intensity에서 비교식물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29-35 kD, 55 kD과 60 kD 근치에서 현저한 band intensity 차이를 확인하였다. Specific $^1O_2$에 의해 chl. a가 60%, chl.b는 90%, 그리고 carotenoid는 70%가 파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자연광기상실에서 인삼생육에 대한 광질의 영향 (Effect of Light Quality on the Growth of Panax ginseng in a Phytotron With Natural Light)

  • 박훈;이미경;안상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65-168
    • /
    • 1989
  • 묘삼을 분재배하여 인공기상실 $15^{\circ}C$ 자연광실에서 여러가지 색의 셀로판지를 차광재로로 5~10%의 투광율로 재배하였다. 상대근중9최종생근 중/최초 생근 중)은 청>녹>백>황>적의 순서였다. 지상부 생육 특히 경장은 청색 광하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상대근중은 경장과 부상관을 보였으며 이 관계에서 각 광질은 특수한 영역을 보여 청과 녹이 한 군, 적과 황이 다른 한 군으로 분리되었다. 경장은 주당엽 면적과 전체 또는 각개의 광질내에서 정상관을 보였는데 적색 광에서만 유의성이 없었다. 잎중의 엽록소 a 및 b의 함량 또는 엽록소 a/b 비율은 백>청>녹>적>황의 순이었으며 엽록소 a와 b간, 전엽록소와 a/b 비율간 a/b 비율과 엽록소 a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 정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사실들은 청색 차광자재가 인삼생산에 유리할 것임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