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ophyll Content

검색결과 1,208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Korean Evening Primrose Oil)

  • 표영희;김인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4
    • /
    • 1989
  • In the present study, the oxidative stability of Korean evening primrose oil (EPO) stored in various conditions, i.e., dark, cool, fluorescent light and daylight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sitional content of gamma-linolenic acid (GLA) of EPO and that of alpha-linolenic acid of soybean oil (SOY) undergoing various modes of oxidation was observ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More rapid autoxidative reations of EPO than that of SOY in vairous conditions increased in order of daylight, fluorescent light, cool and dark. Espectially, autoxidative rates of EPO increased rapidly on exposure to daylight and fluorescent light. This probably was due to chlorophyll functioned as a photosensitizer resulting in rapid oxidation of the EPO during irrdadiation of ligh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mpositional content of GLA in EPO and alpha-linolenic acid in SOY undergoing various modes of oxidation. Therefore, theripid oxidative rate of EPO could be due to the catalytic effect of the chlorophyll on the photoxidation and the free radical reaction of PUFA.

  • PDF

세균성 점무늬병에 감염된 콩의 광합성 관련 특성 변화 (Changes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Photosynthesis in Soybean Leaves Infected with 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 류경열;허훈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65
    • /
    • 1995
  •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soybean leaves infected with 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were investigated for 8 days. The difference in photosynthesis rate between healthy and diseased soybean leaves decreased for 2 to 4 days after inoculation and then increased. In respiration rate, healthy and diseased leaves showed the same tendency as photosynthetic rate. The stomatal resistance increased following 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infection.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the infected leaf was less than that of the uninfected. Pseudomonas syringae pv. glycinea infection induced the malformation of stacked grana in chloroplast. Dry matter production declined after infection.

  • PDF

알루미늄용액 처리가 개나리삽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uminum Solution Treatment on the Growth of Forsythia koreana Cuttings)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11
    • /
    • 1992
  • 목본식물에 대한 Al독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Al농도별(1.0, 2.5및 5.0mM)수용액과 지하수에 수경삽목한 개나리삽수의 생장관련형질(신초의 생장, 엽수, 엽피해율 및 엽록소함량)을 처리간 비교하였다. 모든 생장관련형질들(신초의 생장, 엽수, 엽피해율 및 엽록소함량)에서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1.0mM 정도의 Al수용액도 개나리삽수의 생장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 PDF

NaCl처리에 따른 벼 유묘기의 엽록소 및 유리 Proline의 함량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Chlorophyll and Free Proline as Affected by NaCl in Rice Seedling)

  • 이강수;이종신;최선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8-184
    • /
    • 1992
  • 벼의 내염성 검정 방법을 개선하고자 주요 품종을 수경재배하여 염분처리하고 유묘기에 엽의 엽록소 및 유리 proline의 함량을 조사하여 달관조사에 의한 내염성정도와의 관계를 검사하였다. 1. 염해정도는 0.6%의 염분처리에서 약 25일이 경과되어야 품종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2. 염분처리농도별 엽록소의 함량은 처리후 14일에 가야벼와 태백벼에서 모두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는데 그 감소경향은 0.4% 이상부터 가야벼보다 태백벼에서 크게 나타났다. 3. 0.6%의 염처리에서 염록소의 함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야벼에서는 감소정도가 완만하였는데 태백벼에서는 감소정도가 컸으며 처리 20일 후에는 무처리에 비하여 가야벼는 약 16%, 태백벼에서는 약 67%가 각각 감소되었다. 4. 0.6% 염처리에서는 처리후 10일에 품종별 엽록소함량과 염해정도(1-9)와의 사이에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5. 염처리농도에 따라 유리 proline의 함량은 처리 후 14일에 가야벼에서는 염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태백벼에서는 0.6%까지 급증하였다가 0.8%에서는 감소되었는데 특히 0.4%와 0.6%에서는 태백벼가 가야벼보다 월등히 높았다. 6. 0.6%의 염처리에서 시기별 유리 proline의 함량은 가야벼에서는 처리 15일 후부터 증가하였으나 태백벼에서는 처리 5일 후부터 급증하다가 처리 20일 후에는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처리 10일 후에는 태백벼가 가야벼에 비하여 6배 이상이나 높았다. 7. 0.6% 염처리 10일 후에 유리 proline의 함량과 염해정도와의 사이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다. 8.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벼 유묘기의 염처리에 따른 엽록소 및 유리 proline함량은 품종간 내염성정도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엽면적지수의 최고점이 조기에 오고 만생종은 늦게 최고점에 달하였다. 최고점의 엽면적지수는 6.4~6.8이었고 측정시기별 엽면적지수합계치는 최근품종이 24.6~28.8범위인데 과거품종은 이보다 훨씬 많았다. 8. 조숙다수성인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의 엽록소함량은 월동후 4월 21일까지 높았고 출수후(5월 12일~26일)의 엽록소함량도 높았으며 과거품종인 영광, 장광, 진광, 원광, 신광은 엽록소함량이 낮았다. 9. 순동화율은 다수성품종일수록, 초성이 좋을수록 높았고 장간인 과거품종은 순동화율이 낮았다. 10. 수당립중은 만생종보다 조생종이 낮으며 입모중 1일당 수분감소율은 평균 1.2%, 영광, 진광, 남광, 원광, 신광은 1.5%이었고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 올밀, 청계밀, 중국8001는 9~1.1이었다. 11. 과거품종에 비하여 최근품종은 다수품종이 많으며 수량의 증가는 직선적으로 증가되고 조광, 내밀, 그루밀, 새밀이 가장 다수성품종이었다.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수원 육성품종은 m$^2$ 당수수와 천립중의 증가에 의하여, 밀양육성품종은 m$^2$당수수의 증가에 의하여 수량이 높아졌으며 앞으로 수원에서는 수당립수, 밀양에서는 수당립수와 천립중의 증가에 주력해야겠다.적용 및 임상실무적 차원에서 간호에 대한 제언을 하지 않았다.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Gauss-Newton 방법을 이용한 Bar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서울 구로구 시흥동 산사태 발생 지역의 산사면에 대하여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예제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수 흐름 모델이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분석 연구를 통하여, 변수 a값은 작은 변화에 대하여 목적함수값에 큰 변화를 일으키므로

  • PDF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옥상녹화 식물의 생리적 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Green Roof Plants to Drought Stress)

  • 박성식;최재혁;박봉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1-59
    • /
    • 2017
  • 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위해 맥문동, 울릉국화, 비비추, 돌나물, 잔디의 내건성을 평가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평가를 위해 용적수분함량, 엽과 토양의 수분포텐셜, 엽록소 a와 b함량, 엽록소형광,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증산속도, 항산화물질을 측정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측정결과, 무관수 일수가 경과하면서 용적수분함량 부족에 따라 식물은 점차 고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울릉국화가 가장 먼저 고사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잔디, 비비추, 맥문동 순이었으며, 돌나물은 고사하지 않았다. 비비추, 맥문동, 돌나물은 3주 이상 생존하여 내건성이 높은 식물로 판단되었다. 엽록소 a와 b는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났는데, 초기부터 중기까지 일정한 함량을 유지 후, 급격히 감소하는 I유형에는 비비추, 잔디와 초기에는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중기 때 급격히 증가 후, 감소하는 II유형에는 울릉국화, 맥문동, 돌나물로 구분되었다. 용적수분함량과 증발산량은 모든 식물 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엽록소형광 측정결과, 내건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돌나물이 가장 늦게 감소하였고, 잔디와 돌나물은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 후 고사하였다. 광합성, 기공전도도, 증산속도는 초기에 높은 활성도가 나타났으나, 용적수분함량의 감소로 인하여 식물체가 기공을 닫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물질 측정결과, 건조스트레스가 증가하면 항산화물질의 양 또한 증가하나, 높은 스트레스가 유지되면 이러한 화합물이 지속적으로 소비되므로, 항산화물질의 증감은 내건성 평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Silicon on Growth and Temperature Stress Tolerance of Nephrolepis exaltata 'Corditas'

  • Sivanesan, Iyyakkannu;Son, Moon Sook;Soundararajan, Prabhakaran;Jeong, Byoung Ry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2호
    • /
    • pp.142-148
    • /
    • 2014
  • Effect of silicon (Si) nutrition on growth and temperature stress tolerance of Nephrolepis exaltata 'Corditas' grown in a soilless substrate was examined. In vitro-grown acclimatized plantlets were transplanted into the pots containing a coir-based substrate. A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0, 50, or $100mg{\cdot}L^{-1}$ Si was supplied through a drip-irrigation system. After 5 months of cultiv ation, S i-treated and -untreated p lants were grown at 10, 25, or $40{\pm}1^{\circ}C$ under a 12 h photoperiod with $530{\mu}mol{\cdot}m^{-2}{\cdot}s^{-1}$ PPFD and 60% RH. After 7 days,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were measured. Silicon nutri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N. exaltata 'Corditas'. However, Si-treated plants had more tolerance to temperature stress than the control plants. The Fv/Fm valu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the plants were exposed to $25^{\circ}C$.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in Fv/Fm was recorded when plants were exposed to 10 or $40^{\circ}C$. Thus, Fv/Fm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of low and high temperature tolerance in ferns.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s that application of Si may be used to enhance temperature tolerance of ferns.

다른 광도에서 생육한 죽절초의 광합성 기구, 엽록소 함량차이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Chloranthus glaber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 제선미;손석규;우수영;변광옥;김찬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4-60
    • /
    • 2006
  • 내음성이 강한 죽절초 유묘를 대상으로 죽절초의 생육환경 변화에 따른 반응을 보기 위하여 서로 다른 광조건의 비음처리 I, II, III 그리고 자연조건(full sunlight)을 구분하여 각 처리구별 죽절초의 생리적 반응을 비교하였다. 생리적 반응의 비교를 위한 측정요소로 엽록소 함량,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엽육 세포내 $CO_2$농도를 조사하였다. 비음처리구간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연조건과 비음 처리구와의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자연조건(full sunlight)일 때, 죽절초는 비음 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율, 기공전도도를 나타냈으며, 엽육 세포내 $CO_2$농도와 수분이용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죽절초의 광합성기구에 광저해 현상이 일어나 광반응 기구에 피해를 준것으로 보여지며, 적은 양의 빛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순화된 죽절초는 높은 광조건하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고, 높은 광이 스트레스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시설의 잠재적 누출 판단을 위한 DGCI(Dark Green Color Index) 적용 가능성 평가 (Applicability of DGCI (Dark Green Color Index) to Assess Potential Impacts of CO2 Leakage from the Geological Storage Site)

  • 유신이;송윤진;오희주;김유진;유가영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1-356
    • /
    • 2016
  • The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which collects and stores carbon dioxide in a geological site, is a promising option to mitigate climate change. However, there is the possibility of carbon dioxide leakage from the soil in the steps of collecting, transporting, and storing. To ensure the feasibility of this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leakage of carbon dioxide and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s. As plants are sensitive to the changes in carbon dioxide in the soil environment, we can utilize plant parameter to detect the carbon dioxide leakage. Currently, chlorophyll a content is a conventional index indicating the changes in plants, however, this method is labor intensive and it only utilizes a small portion of leaves. To overcome its limitations, a simple spectroscopic parameter, DGCI (dark green color index), was suggested as an easy and quick indicator.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values of chlorophyll a contents with DGCI from the experiment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high underground $CO_2$ on grape plants. Results suggest that DGCI had high correlation with chlorophyll a contents and it has high potential to be utilized as an easy indicator to monitor plants' responses to $CO_2$ treatment.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f heat stress responsiveness between two contrasting ginseng cultivars

  • Jayakodi, Murukarthick;Lee, Sang-Choon;Yang, Tae-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572-579
    • /
    • 2019
  • Background: Panax ginseng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strengthen the body and mental well-being of humans for thousands of years. Many elite ginseng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and ginseng cultivation has become well established during the last century. However, heat stress poses an important threat to the growth and sustainable production of ginseng. Efforts have been made to study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n ginseng physiology, but knowledge of the molecular responses to heat stress is still limited. Methods: We sequenced the transcriptomes (RNA-Seq) of two ginseng cultivars, Chunpoong (CP) and Yunpoong (YP), which are sensitive and resistant to heat stress, respectively, after 1- and 3-week heat treatments.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and gene ontology enrichment along with profiled chlorophyll contents were performed. Results: CP is more sensitive to heat stress than YP and exhibited a lower chlorophyll content than YP. Moreover, heat stress reduced the chlorophyll content more rapidly in CP than in YP. A total of 329 heat-responsive genes were identified. Intriguingly, genes encoding chlorophyll a/b-binding proteins, WRKY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desaturase were predominantly responsive during heat stress and appeared to regulate photosynthesis. In addition, a genome-wide scan of photosynthetic and sugar metabolic genes revealed reduced transcription levels for ribulose 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under heat stress, especially in CP, possibly attributable to elevated levels of soluble sugars. Conclusion: Our comprehensive genomic analysis reveals candidate loci/gene targets for breeding and functional studies related to developing high temperature-tolerant ginseng varieties.

Decursinol 처리에 따른 보리 유식물의 전자전달 활성과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변화에 대하여 (Changes of Chloroplast-Mediated Electron Transport Activity and Chlorophyll-Protein Complexes in Barley Seedlings by Decursinol)

  • 이현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1권2호
    • /
    • pp.131-141
    • /
    • 1988
  • The effects of decursinol and decursin on chloroplast-mediated electron transport and phosphorylation in barley seedlings we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coumarin in the dark or light. The changes of CP-complexes were also studied. Decursinol, decursin and coumarin caused marked inhibitory effects on germination of seed and electron transport and phosphorylation activity of seedlings. The following order of inhibitory effectiveness was exhibited; decursinol>coumarin>decursin. Loss of chlorophyll and decrease of electron transport activity were retarded in the dark, but were reversely accelerated in the light by these three chemicals. The changes of CP-complex patterns were also similar to effects on chlorophyll content and the electron transport activity. These opposite effect in the dark and light suggest that these three chemicals act as natural growth retardants rather than cytokinins or growth inhibi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