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ne Control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41초

이산화염소 및 저온 플라즈마 가스 살균 및 MAP 처리가 파프리카의 저장 중 품질과 미생물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ine Dioxide, Cold Plasma Gas Sterilization and MAP Treatment on the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Paprika During Storage)

  • 최인이;이주환;권용범;노유한;강호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3-229
    • /
    • 2022
  • 파프리카 저장 및 유통 전 처리와 포장방법이 저장성 및 미생물 제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산화염소 가스 3, 6, 12시간과 저온 플라즈마 가스 1, 3, 6시간 처리 후 골판지 박스로 포장하여 8±1℃ 챔버에서 7일간 저장 하였을 때, 이산화염소 12시간 처리와 플라즈마 6시간 처리가 대장균과 곰팡이 발현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무처리 대조구와 이산화염소 12시간, 플라즈마 6시간 처리한 후 골판지 박스 포장과 MAP 처리를 하여 8±1℃ 챔버에서 20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는 MAP 처리구가 1% 미만의 수치를 보였고, 외관상 품질은 MAP 처리구가 저장 종료일까지 상품성 한계점 이상이었다. 필름 내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 농도는 처리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도의 경우 이산화염소 처리구가 낮았고, 색도를 나타낸 Hunter a* 값은 MAP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이취는 MAP 처리구에서 측정되었지만 매우 낮았다. 파프리카 과경의 곰팡이 발생률은 이산화염소 처리 박스 포장 처리구가 가장 빠르고 높게 발생하였고, 이산화염소 처리 MAP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저장 종료일 과육의 총 세균수는 플라즈마 처리 박스 포장 처리구, 대장균수는 이산화염소 처리 MAP 처리구, 곰팡이는 이산화염소 처리 박스 포장 처리구가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파프리카 저장 중 미생물 억제를 위해 포장 방법과 관계없이 저장 전 플라즈마를 6시간 처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Effects of a Pre-Filter and Electrolysis Systems on the Reuse of Brine in the Chinese Cabbage Salting Process

  • Kim, Dong-Ho;Yoo, Jae Yeol;Jang, Keum-I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147-154
    • /
    • 2016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a pre-filter system and electrolysis system on the safe and efficient reuse of brine in the cabbage salting process were investigated. First, sediment filter-electrolyzed brine (SF-EB) was selected as brine for reuse. Then, we evaluated the qualit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SF-EB and Chinese cabbage salted with SF-EB. The salinity (9.4%) and pH (4.63) of SF-EB were similar to those of control brine (CB). SF-EB turbidity was decreased (from 0.112 to 0.062) and SF-EB residual chlorine (15.86 ppm) was higher than CB residual chlorine (0.31 ppm), and bacteria were not detected. Salinity (2.0%), pH (6.21), residual chlorine (0.39 ppm), chromaticity, hardness, and chewiness of cabbage salted with SF-EB were similar to those of cabbage salted with CB. The total bacterial count in cabbage salted with CB was increased as the number of reuses increased (from 6.55 to 8.30 log CFU/g), whereas bacteria in cabbage salted with SF-EB was decreased (from 6.55 to 5.21 log CFU/g). These results show that SF-EB improved the reusability of brine by removing contaminated materials and by sterilization.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Improves the Shelf Life of Panax ginseng C.A. Meyer

  • Chun, Ho-Hyun;Song, Kyu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2권4호
    • /
    • pp.284-288
    • /
    • 2007
  • Effec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treatment on the quality change of fresh ginseng during storage was examined. Fresh ginseng samples were treated with 0, 50, and 100 ppm of $ClO_2$ solution, respectively, and stored at $4^{\circ}C$. Microbiological data of the fresh ginseng after $ClO_2$ treatment revealed that the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yeast and mold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ClO_2$ concentration. In particular, the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and yeast and mold in the fresh ginseng decreased by 2.1 and 1.2 log CFU/g at 100 ppm $ClO_2$ treatment, respectively. Aqueous $ClO_2$ treatment improved the color of the fresh ginseng during stor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loss during storage among treatments. Sensory evaluation results represented that the qualities of the fresh ginseng treated with aqueous $ClO_2$ during storage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aqueous $ClO_2$ treatment could be useful in decreasing the microbial growth and extending the shelf life of fresh ginseng.

박력분의 리올로지 특성에 대한 염소처리의 영향 (Effect of Chlorine Treatment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Soft Wheat Flour)

  • 한명규;장영상;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27-331
    • /
    • 1989
  • 염소 처리량에 따른 박력분의 백도 및 pH 그리고 리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하였다. 염소 처리한 것과 무처리한 박력분의 표백의 정도는 처리량이 2 oz./cwt.까지 표백효과가 있었으나 그 이상부터는 표백효과가 없었고, pH는 처리량 증가에 따라 점차적으로 낮아졌다. Farinogram 특성에서 염소처리량 증가에 따라 흡수율과 반죽의 안정도가 높아진 반면에 MTI값은 감소하였으며, valorimeter value는 일정하지 않았다. Extensogram 특성에서 저항도, 최대저항도 및 신장저항도는 90분과 135분 동안 방치했을때 무처리한 것이 가장 컸으며, 처리량 1 os./cwt.인 것이 가장 낮았으나 2 oz./cwt. 처리의 경우 그 값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Amylogram의 최고점도와 최고점도시 온도는 처리량 증가에 따라 점증적으로 상승하였으며, 특히 4 oz./cwt. 처리의 경우 최고 점도가 1,160BU로 급격히 상승하였다.

  • PDF

정수장 전염소 공정제어를 위한 침전지 잔류염소농도 예측 머신러닝 모형 (Machine learning model for residual chlorine prediction in sediment basin to control pre-chlorination in water treatment plant)

  • 김주환;이경혁;김수전;김경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spc1호
    • /
    • pp.1283-1293
    • /
    • 2022
  • 본 연구는 정수장의 수처리 공정에서 계측되고 있는 수량 및 수질데이터의 활용과 수처리 공정제어의 지능화를 위한 것으로 정수장에서 전염소 공정이 수반되는 처리공정에서 침전지 유출수 잔류염소농도 안정화를 위하여 이를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정수장 침전지 유출수의 잔류염소농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중회귀모형과 인공지능 알고리즘 중 다층퍼셉트론 신경망, 랜덤포레스트 및 장단기기억(Long Short Term Memory; LSTM) 모형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모형의 입력변수로는 전염소 공정이 도입된 정수장에서의 잔류염소농도, 수온, 탁도, pH, 전기전도도, 유량, 알칼리도 등이 사용되었고 전염소에 따른 침전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침전지 잔류염소농도를 출력변수로 구성하였다. 적용 결과에서는 랜덤포레스트 모형이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다음으로 LSTM, 다층퍼셈트론 신경망 순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모형인 중회귀모형은 적합도 측면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 주었는데, 이는 수량과 수질데이터의 수치적인 규모나 차원의 차이뿐만 아니라 계절별 수질특성에 따라 염소소비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반응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수장 수처리 공정에서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적용을 위해서는 랜덤포레스트와 같이 의사결정 트리구조의 도입과 적용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전염소 공정이 도입된 정수장 수처리 공정에서 염소주입량을 실시간으로 예측 가능하게 함으로써 침전지 유출수에서 잔류염소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Vitro and In Vivo Inhibitory Effects of Gaseous Chlorine Dioxide against Fusarium oxysporum f. sp. batatas Isolated from Stored Sweetpotato: Study II

  • Lee, Ye Ji;Jeong, Jin-Ju;Jin, Hyunjung;Kim, Wook;Jeun, Young Chull;Yu, Gyeong-Dan;Kim, Ki D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5호
    • /
    • pp.437-444
    • /
    • 2019
  • Chlorine dioxide ($ClO_2$) has been widely used as an effective disinfectant to control fungal contamination during postharvest crop storage. In this study, Fusarium oxysporum f. sp. batatas SP-f6 from the black rot symptom of sweetpotato was isolated and identified using phylogenetic analysis of elongation factor 1-${\alpha}$ gene; we further examined the in vitro and in vivo inhibitory activities of $ClO_2$ gas against the fungus. In the in vitro medium tests, fungal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up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 In in vivo tests, spore suspensions were drop-inoculated onto sweetpotato slices, followed by treatment using various $ClO_2$ concentrations and treatment times to assess fungus-induced disease development in the slices. Lesion diameters decreased at the tested $ClO_2$ concentrations over time. When sweetpotato roots were dip-inoculated in spore suspensions prior to treatment with 20 and 40 ppm of $ClO_2$ for 0-60 min, fungal popula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tested concentrations for 30-60 mi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ed that $ClO_2$ gas can effectively inhibit fungal growth and disease development caused by F. oxysporum f. sp. batatas on sweetpotato. Therefore, $ClO_2$ gas may be used as a sanitizer to control this fungus during postharvest storage of sweetpotato.

서방형 이산화염소 가스 젤팩을 이용한 병풀의 저장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Centella asiatica by Slow-released ClO2 Gas Gel-pack during Storage)

  • 이경행;유광원;배윤정;한기정;장다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47-252
    • /
    • 2022
  • To improve the shelf-life of Centella asiatica, Centella asiatica was treated with gel packs containing slow-released chlorine dioxide (ClO2) gas at 3-5 ppm for 20 days at 4℃. The weight loss rate, as well as the changes in pH, color, and texture of the treated samples, were investigated. The weight of the control and ClO2 gas-treated samples was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change in weight of the control was slightly faster than that of the samples treated with 3 and 4 ppm ClO2 gas. The pH of the control and the ClO2 gas treated samples were de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ClO2 gas treated samples. Concerning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changes of Centella asiatica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ClO2 gas treated samples. The change in shear force in the leaf and stem of Centella asiatica during the storage period was slightly lower in the 4 ppm ClO2 gas treated samples (in the leaf) compared to the control and 3 and 4 ppm ClO2 gas treated samples (in the stem) compared to the control and 5 ppm ClO2 gas treated sample.

상수도 배관망에서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수질악화의 영향인자 분석과 잔류염소 모델링) (A study on Water Quality Changes in Distribution System (Factor analysis of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 Modelling of free chlorine))

  • 이현동;정원식;문숙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9-66
    • /
    • 1997
  • Although it produces well-treated water in water treatment plant, water quality at the tap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tate of pipes. It is because water quality deteriorates as plant water passes through pipeline network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not only water treatment technology but also O & M of water pipelines is required to supply good water to consumer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data of control technology for water quality in pipes through investigating water quality in distribution system. We selected 11 sampling sites and investigated water quality from plant to endpoint of distribution system. we also simulated decreasing tendency of free chlorine through pipeline network. As the result of water quality test, all parameters were below allowable levels, but some parameters had the possibility of being over levels. So there must be more work to set up proper countermeasure for violable parameters.

  • PDF

살균소독수로 세척한 후 냉풍건조한 꽁치과메기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wamegi (Semi-dried Coloabis saira) During Cold Air Drying after Washing with Various Washing Solutions)

  • 강상모;이원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4-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꽁치를 냉풍건조방법으로 생산한 과메기의 성분 변화와 세척수 처리에 따른 미생물 제어효과를 조사하였다. 건조를 하기 전 시료의 수분 함량은 56.62%였으나 초기 수분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완만해지는 결과를 보였다. 건조 처리 전의 과메기의 색도차는 42.40이었으나 온도와 건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색도차의 값이 감소하였다. 건조를 하지 않은 대조구의 TBA 값은 0.219였고, 모든 온도 조건에서 건조가 진행될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다. 과메기의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25^{\circ}C$에서 36시간을 건조시킨 처리구에서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40^{\circ}C$에서 12시간을 건조시킨 처리구가 총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낮았다. 건조온도와 시간에 따른 과메기의 지방산 분석 결과, 주요 지방산은 14:0, 16:0, 18:1 등이 각각 18.15~20.96%, 28.06~32.51%, 17.06~19.81%로 분포하였다. Chlorine dioxide 100 ppm에서 60초 동안 세척한 구에서 미생물제어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과메기의 위해미생물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sp.와 Pseudomonas putida 로 두 균주가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