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a content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독도의 담수환경 (물골)과 부착조류 생물량 (Freshwater Ecosystem (Mulkol) and Periphytic Algal Biomass in the Tok Island, Korea)

  • 김미경;강창근;황순진;정미희;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63-466
    • /
    • 2003
  • 본 연구는 독도에서 식수원으로 이용되었던 담수 환경인 물골 생태계를 소개하고자 하였다. 물골 유출수의 염분도는 2.0 psu 이하이었고, 부착조류 생물량이 25.9 ${\mu}g$ chl-a/$cm^2$수준으로 대량 번성하여 과영양 환경을 유지하였다. 수중 영양염 중에서 질소는 $NH_4$의 농도가 비교적 높았고, SRP는 117.3 ${\mu}g$ P/l SRSi는 4,104.6 ${\mu}g$ Si/l로서 N성분에 비해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그 결과, N/P비는 1.0이하로서 강한 N 제한 상태를 나타냈다. 물골에서 높은 무기 영양염 농도와 부착조류 생물량은 교란이 적은 생태계로서 자연적 오염의 영향으로 볼 수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완전한 규명은 어려웠으며, 향후 이에 대한 학술적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분무건조를 이용한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Encapsulation of Avocado Oil Using Spray Drying)

  • 배은경;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03-310
    • /
    • 2008
  • 아보카도 오일의 산업적인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무건조기술을 이용하여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캡슐화된 샘플내의 오일과 오일자체만을 4, 25, $60^{\circ}C$ 온도의 암조건에서 8주 동안 저장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캡슐 속의 오일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산화에 더 안정하였다. 대조군의 TBA 형성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고 5주째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캡슐화된 샘플 내에서의 TBA 값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캡슐화된 샘플의 TBA 값은 아보카도 오일내의 MDA형성을 저지시켜 산화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분무 건조된 분말의 가운데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커질수록 그 안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안정성을 60oC의 저장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캡슐화된 시료 내에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저장된 샘플 내 오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L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TBA 값 및 클로로필 함량, 색도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가 산화를 억제하고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임을 나타낸다.아보카도 오일의 산업적인 이용성을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분무건조기술을 이용하여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캡슐화된 샘플내의 오일과 오일자체만을 4, 25, 60oC 온도의 암조건에서 8주 동안 저장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캡슐 속의 오일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산화에 더 안정하였다. 대조군의 TBA 형성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고 5주째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캡슐화된 샘플 내에서의 TBA 값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캡슐화된 샘플의 TBA 값은 아보카도 오일내의 MDA형성을 저지시켜 산화작용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분무 건조된 분말의 가운데서는 단백질의 함량이 커질수록 그 안정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클로로필 안정성을 $60^{\circ}C$의 저장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캡슐화된 시료 내에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저장된 샘플 내 오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관찰할 수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L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며,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TBA 값 및 클로로필 함량, 색도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아보카도 오일의 캡슐화가 산화를 억제하고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수단임을 나타낸다.

해창만의 수질환경변동 및 담수방류의 영향평가 (Effect of the Freshwater Discharge on Water Quality Variation and in Haechang Bay, Korea)

  • 이대인;조현서;이문옥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5호
    • /
    • pp.341-348
    • /
    • 2003
  • Seas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effect of the freshwater discharge during open the tide embankment in Haechang Bay were evaluated. In the freshwater, where interior of the tide embankment, COD and Chl-a exceeded about 4mg/L and $10mg/m^3$, respectively, independent of season, while in the seawater they showed high values in April and July in contrast to the other period due to input of freshwater and increase of phytoplankton, respectively. The content of seawater inorganic nitrogen maintained a relatively high level at inner part of the bay, whereas high values of inorganic phosphorus content was distributed at all over the bay. The limiting factor for algal growth was nitrogen with respect to the N/P ratio. The compass of influence by the freshwater discharge in April was quite different with water pollutants. As a result of the salinity variation with time, the freshwater extended strongly to offshore from the surface layer without mixing with depth when open the tide embankment, and reached within about one hour at a station which is 3.5km from the tide embankment. To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Haechang Bay, discharge rate and pollutant loads should be controlled.

Performance of Chlorella vulgaris for the Removal of Ammonia-Nitrogen from Wastewater

  • Choi, Hee-Jeong;Lee, Seung-Mo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235-239
    • /
    • 2013
  •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he efficiency of Chlorella vulgaris (C. vulgaris) was evaluated for the removal of ammonia-nitrogen from wastewater. Eight different wastewater samples were prepared with varied amounts of $NH_4-N$ concentrations from 15.22 to 205.29 mg/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pH $7.5{\pm}0.3$, temperature $25^{\circ}C{\pm}1^{\circ}C$, light intensity $100{\mu}E/m^2/s$, and dark-light cycles of 8-16 hr continuously for 8 day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NH_4-N$ was completely removed by C. vulgaris, when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between 5.22-25.24 mg/L. However, only 50% removal was obtained when the $NH_4-N$ concentration was 85.52 mg/L, which further decreased to less than 32% when the $NH_4-N$ concentration exceeded 105.43 mg/L. The further influence of nitrogen on chlorophyll was studied by various $NH_4-N$ concentrations. The maximal value of chlorophyll a (Chl a) content was found to be 19.21 mg/L for 65.79 mg/L $NH_4-N$ concentration, and the maximum specific $NH_4-N$ removal rate of 1.79 mg/mg Chl a/day was recorded at an $NH_4-N$ concentration of 85.52 mg/L.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 vulgaris could potentially be employed for the removal of $NH_4-N$ from wastewater.

Synergistic effects of elevated carbon dioxide and sodium hypochlorite on survival and impairment of three phytoplankton species

  • Kim, Keunyong;Kim, Kwang Young;Kim, Ju-Hyoung;Kang, Eun Ju;Jeong, Hae Jin;Lee, Kitack
    • ALGAE
    • /
    • 제28권2호
    • /
    • pp.173-183
    • /
    • 2013
  • Sodium hypochlorite (NaOCl) is widely used to disinfect seawater in power plant cooling systems in order to reduce biofouling, and i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s to prevent transport of exotic marine species. While the toxicity of NaOCl is expected to increase by ongoing ocean acidification, and many experimental studies have shown how algal calcification, photosynthesis and growth respond to ocean acidification,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aOCl toxicity and increased $CO_2$.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mpacts of NaOCl on survival, chlorophyll a (Chl-a), and effective quantum yield in three marine phytoplankton belonging to different taxonomic classes are increased under high $CO_2$ levels. Our results show that all biological parameters of the three species decreased under increasing NaOCl concentration, but increasing $CO_2$ concentration alone (from 450 to 715 ${\mu}atm$) had no effect on any of these parameters in the organisms. However,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s between NaOCl and $CO_2$, the survival and Chl-a content in two of the species, Thalassiosira eccentrica and Heterosigma akashiwo, were significantly reduced under high $CO_2$ when NaOCl was also elevated. The results show that combined exposure to high $CO_2$ and NaOCl results in increasing toxicity of NaOCl in some marine phytoplankton. Consequently, greater caution with use of NaOCl will be required, as its use is widespread in coastal waters.

한국 변산반도 암반생물막의 생물량과 군집구조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s of Epilithic Biofilm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at Byeonsan Peninsula, Korea)

  • 김보연;박서경;이정록;최한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09-1021
    • /
    • 2016
  • 암반생물막의 군집구조와 생물량의 시, 공간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도에 대한 노출이 다른 고사포와 격포에서 1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격월로 암반조각을 채집하였다. 군집구조는 채집된 암반조각을 칫솔로 긁어 광학현미경하에서 미세조류의 분류군별 개체수를 계수하여 분석하였고, 생물량은 NDVI, VI, 엽록소 a 농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고사포와 격포의 조간대 암반생물막에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은 Aphanotece spp., Lyngbya spp.를 포함하는 남조류였으며, 환경스트레스가 적은 조간대 하부에서는 규조류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암반생물막에서 우점하는 규조류는 Navicula spp., Achnanthes spp.와 Licmophora spp.로 확인되었다. 식생지수와 엽록소 a 농도는 격포에 비해 고사포 생물막에서 높게 나타났다. 식생지수인 NDVI와 VI는 고사포에서 각각 0.49-0.40(평균 0.43), 2.64-3.22(평균 2.90)였으며, 격포의 암반생물막은 NDVI와 VI가 각각 0.32-0.41(평균 0.38), 2.03-2.86(평균 2.48)으로 확인되었다. 엽록소 a의 농도는 고사포에서 $12.79-32.87{\mu}g/cm^2$(평균 $22.84{\mu}g/cm^2$)였고, 격포에서는 $11.14-18.25{\mu}g/cm^2$(평균 $15.48{\mu}g/cm^2$)로 식생지수와 마찬가지로 1월(겨울)에 최대, 3월(봄)에 최소인 계절 변화를 보였다. 엽록소 a 농도는 NDVI, VI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비파괴적인 식생지수 측정방법이 파괴적인 엽록소 a 추출 방법을 대체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결론적으로 암반생물막은 여름보다 겨울에, 조간대 상부보다 중부와 하부에서, 파도에 보호된 해안보다 노출된 해안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A comparison of photosynthesis measurements by O2 evolution, 14C assimilation, and variable chlorophyll fluorescence during light acclimatization of the diatom Coscinodiscus granii

  • Trampe, Erik;Hansen, Per Juel;Kuhl, Michael
    • ALGAE
    • /
    • 제30권2호
    • /
    • pp.103-119
    • /
    • 2015
  • Photosynthetic rates of the large centric diatom Coscinodiscus granii were measured by means of multicolor variable chlorophyll fluorescence imaging, single cell $^{14}C$ assimilation, and optical $O_2$ sensor measurements during light acclimatization of cultures grown at five different irradiances: 50, 150, 235, 332, and $450{\mu}mol$ photons $m^{-2}\;s^{-1}$. Photo-acclimatization was evident from changes of cellular chlorophyll a content, growth rates, and light response curves. Each of the applied methods evaluates different parts and reactions in the photosynthetic apparatus, which makes a direct quantitative comparison of rates difficult, although a different degree of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all three methods. However, when used in combination, the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relationship of photosynthetic pathways as well as the variation in photosynthetic capacity between individual cells within a single algal culture.

재식밀도와 재배광도가 인삼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light and Planting Density on Yield and Quality of Panax ginseng C. A. Meyer)

  • 박훈;윤종혁;변정수;조병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6-391
    • /
    • 1987
  • 재배광도와 재식밀도(40, 56, 90주/칸)가 인삼의 수량과 홍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양토산지삼포에서 수행하였다. 1. 20%의 광도는 수량이나 홍삼품질에서 5% 관행광도에 이하여 유의차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2. 고광도는 줄기를 줄이고 엽면적을 적게 했으며 비엽중을 증대시켰으나 경직경이 적은 것으로 보아 조기낙엽의 피해 가능성이 있다. 3. 고광도는 엽록소함량을 적게 하였으나 Chl a /b값은 차이가 없었고 잎의 수분함량에 차이가 없었다(6 월 15일). 4 최대수량과 최대천지삼율을 나타내는 재식밀도는 칸당 64본으로 일치하였다. 5. 외관천지삼율은 천지삼율과 유의(P=0.01) 정 상관을 보였다. 6. 내백은 56 주구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백피는 90본에서만 유의성 있게 낮았다 7. 내공은 재식밀도와 유의성 있는 관계가 없어 밀식이 내공방지에 유효하다는 일반의 믿음과 일치하지 아니하였다.

  • PDF

염화칼슘 농도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 및 생리적 반응 특성 (The responses of Growth and Physiological traits of Acer triflorum on Calcium Chloride ($CaCl_2$) Concentration)

  • 권민영;김선희;성주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00-509
    • /
    • 2014
  • 겨울철 눈이 내린 도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제설제로 사용하는데 이것은 용해되어 도로주변의 수목에 피해를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겨울철 제설제로 이용되는 염화칼슘 처리에 따른 복자기의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생장 특성, 광색소함량, 광합성 효율, 엽록소형광반응을 측정하고 식물체 및 토양 분석을 하였다. 실험구는 무처리(대조구), 9mM(0.5%), 18mM(1.0%), 54mM(3.0%)의 총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용해액을 신초가 나기 전, 일주일 간격으로 2회 500ml씩 살포하였다. 염화칼슘 처리 결과, 처리 후 30일째 염화칼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5% 처리구부터 총엽록소함량, 광합성율, 증산율, 기공전도도, 광계 II활성이 감소하였고 특히 3.0% 처리구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엽록소a/b는 염화칼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분이용효율은 1.0% 처리구에서부터 증가하였다. 처리 후 50일째 3.0% 처리구는 고사하여 측정할 수 없었고,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엽록소a, 엽록소b, 총엽록소함량, 광계II활성, 광계II광화학효율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a^{2+}$$Cl^-$이 잎과 토양에 축적되어 수분의 흡수와 전자전달의 방해에 기인한 것으로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수고생장율의 50% 이상 저하를 가져왔다. 염화칼슘의 처리 농도와 시기에 따른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염화칼슘 처리구에서 생장율은 감소하고 생리적 활성은 둔화되었고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심해졌다.

인삼생육의 최적광량에 관한 연구 제1보. 광도가 인삼의 지상부생육 및 근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Punux ginseng ( I )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of Shoots and Roots of Ginseng Plants)

  • 이종화;이종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38-45
    • /
    • 1982
  • To determine the optimum light intensity for growth of ginseng plants, change of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in son, occurrence alternaria blight, defoliation rate, chlorophyll contents, and growth of shoots and roots were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light intensity such as 5%, 10%, 20% and 30% light transmittance rare(L.T.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aximum temperature under the shading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whereas soil moisture content decreased 2.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stem and Peduncle length, leaf area, and chlorophyll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 but length and width of the leaf was not significant, while stem diameter, special leaf weight and chlorophyll a/chl. b ratio increased 3. Stem color was shown dark purp!e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4. Photosynthesis during the day was highest at 9 A.M. and decreased as time passed in all plots. The means of photouynthesis during the day showed in the order of 20%, 10%, 30%, 5% L.T.R., and optimum light intensity for highest photosxthesis was 18.4% L.T.R. by theoritical equation. 5. It was showed a tendency that alternaria leaf blight of ginseng plants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6. Defoliation rate of ginseng plants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especially all plants were defoliated by late June without shading. 7. Yield percentage of the rear line was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light intensity. Root weight per plant showed in the order of 20%, 10%, 30%, 5% L.T.R., and optimum light intensity for the best yield was 18.5% L.T.R. by theeritical eq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