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tosan oligosaccharid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PREPARATION OF CHITO-OLIGOSACCHARIDE AS AN ANTIMICROBIAL AGENT AND ITS EFFECT ON COTTON FABRICS

  • Seong, Ha-Soo;Kim, Jae-Pil;Ko, Sohk-Won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9-333
    • /
    • 1998
  • The major classes of antimicrobial agents for textiles include organo-metallics, phenols, quaternary ammonium salts, and organo-silicones. These finishes should be durable, have selective activity towards undesirable organisms, be compatible with other finishes and dyes, and be nontoxic to man [1]. Chitosan, as a deacetylated derivative of chitin, is a natural, non-toxic and biodegradable polymer. Chitosan is also known as an antimicrobial polysaccharide due to antimicrobial action of the amino group at the C-2 position of the glucosamine residue.(omitted)

  • PDF

키토산이 식빵의 Shelf-Lif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Addition on the Shelf-Life of Bread)

  • 김정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8-392
    • /
    • 2004
  •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을 첨가한 식빵의 저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제빵시 키토산을 3%, 1%, 0.1%, 그리고 키토올리고당 1%를 첨가하여 저장 중 수분의 변화, pH의 변화, 미생물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저장 중 수분의 변화는 첨가농도의 영향에 따라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수분이 감소하였는데, 그 폭은 대조구에 비해 완만하였다. 또 pH의 변화는 제빵 후 1일에는 키토산의 첨가량(3%, 1%, 0.1%)이 많을수록 pH가 높았으며, 저장 4일 이후부터 약간씩 낮아졌다. 그리고 키토올리고당 첨가구와 대조구는 처음부터 비교적 낮았으며 저장 기간에 따라 변화도 완만하였다. 그리고 생균수의 변화에 있어서는 키토산 0.1%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가 없는 반면, 키토산 1%, 3% 첨가구에서는 농도에 따라 1∼2일 정도 생성이 늦었으며, 특히 키토올리고당 1%의 경우 3일 정도 느렸다. 또한 곰팡이 생성에 대한 육안 관찰에서도 대조구에서는 저장 3일째부터 곰팡이의 생성이 확인되었으나, 키토산 0.1% 첨가구에서는 4일째에 확인되었고, 키토산 1%와 3% 첨가구에서는 5일째에, 그리고 키토올리고당 1% 첨가구에서는 6일째에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식빵 제조시 키토산 및 키토올리고당을 첨가할 경우 식빵의 shelf-life 연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hanced antibacterial activity of tilmicosin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mall colony variants by chitosan oligosaccharide-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omposite nanogels

  • Luo, Wanhe;Liu, Jinhuan;Zhang, Shanling;Song, Wei;Algharib, Samah Attia;Chen, Wei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1.1-1.11
    • /
    • 2022
  • Background: The poor bioadhesion capacity of tilmicosin resulting in treatment failure for Staphylococcus aureus small colony variants (SASCVs) mastiti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crease the bioadhesion capacity of tilmicosin for the SASCVs strain and improv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ilmicosin against cow mastitis caused by the SASCVs strain. Methods: Tilmicosin-loaded chitosan oligosaccharide (COS)-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MC) composite nanogels were formulated by an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COS (positive charge) and CMC (negative charge) using sodium tripolyphosphate (TPP) (ionic crosslinkers). The formation mechanism, structural characteristics, bioadhes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ilmicosin composite nanogels were studied systematically. Results: The optimized formulation was comprised of 50 mg/mL (COS), 32 mg/mL (CMC), and 0.25 mg/mL (TPP). The size, encapsulation efficiency, loading capacity, polydispersity index, and zeta potential of the optimized tilmicosin composite nanogels were 357.4 ± 2.6 nm, 65.4 ± 0.4%, 21.9 ± 0.4%, 0.11 ± 0.01, and -37.1 ± 0.4 mV, respectively; the sedimentation rate was on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tilmicosin might be incorporated in nano-sized crosslinked polymeric networks. Moreover, adhesive studies suggested that tilmicosin composite nanogels could enhance the bioadhesion capacity of tilmicosin for the SASCVs strain. The inhibition zone of native tilmicosin, tilmicosin standard, and tilmicosin composite nanogels were 2.13 ± 0.07, 3.35 ± 0.11, and 1.46 ± 0.04 cm, respectivel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native tilmicosin, tilmicosin standard, and tilmicosin composite nanogels against the SASCVs strain were 2, 1, and 1 ㎍/mL, respectively. The in vitro time-killing curves showed that the tilmicosin composite nanogels increas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SASCVs strain.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a potential strategy for developing tilmicosin composite nanogels to treat cow mastitis caused by the SASCVs strain.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있어 키토산 올리고당이 체내 콜레스테롤농도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on Cholesterol Level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

  • 김길남;주은숙;김규일;김세권;양현필;전유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6-41
    • /
    • 2005
  •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흰쥐 에 키토산 올리고당의 첨가 수준을 달리한 식이가 흰쥐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체중이 174.7$\pm$6.3 g인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에게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시키기 위하여 콜레스테롤을 식 이 무게의 0.5%를 급여하고 키토산 올리고당을 식이 무게의 1.0%와 2.0%로 하여 총 3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은 식이에 의한 영향이 없었다.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2.0% 키 토산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그 농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 비는 키토산 올리고당 첨가에 의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간 조직 중 TBARS 함량은 키토산 올리고당을 첨가하였을 경우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SOD와 catalase의 활성은 키토산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키토산 올리고당은 체내 지방대사에 있어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TBARS 함량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비는 높이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또한 생체내 고콜레스테롤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외여과막 효소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키토산 올리고당의 칼슘흡수 촉진효과 (Calcium Absorption Accelerating Effect of Chitosnn Oligosaccharides prepared by Ultrafiltration Membrane Enzymatic Reactor)

  • 전유진;김규형;박표잠;김세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7-251
    • /
    • 1999
  • 최근 다양한 기능성의 발현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는 키토산 올리고당을 이용하여 칼슘의 체내 흡수율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및 랫트를 이용한 in vivo에 의해 검토하였다. 1. 제조된 키토산 올리고당은 3당류$\~$5당류가 주로 분포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총 함량은 $70\%$ 이상이었다. 그리고 강력한 항종양활성 및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6당류와 7당류도 각각 $14.2\%$$11.3\%$로 비교적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2. in vitro에서, 키토산 올리고당의 첨가는 무첨가에 비해 칼슘의 흡수율을 약 $50\%$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3. 키토산 올리고당 $1\%$만을 염화칼슘과 함께 랫트에 섭취시켰을 경우, 분으로 배출되는 칼슘량은 약 $75\%$ 감소하였으며, 대퇴골의 뼈골절강도는 대조군보다 약 $20\%$, 올리고당 무첨가군보다 약 $15\%$ 증가하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키토산 올리고당은 칼슘의 체내 흡수율을 명확히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Chitosan-oligosaccharides가 병원성 대장균의 소수성(疎水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oligosaccharides on hydrophobicity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 최현성;한호재;김희경;김희선;강문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54-55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of chitosan-oligosaccharides (CHIOL) on hydrophobicity of pathogenic E coli including a field isolate from suckling piglet with diarrhea, E coli-O157 : H7, and E coli-O149 : K88ac. E coli field isolate appeared adhesion of 100% to n-hexadecane between 0.00125% and 0.05% CHIOL. E coli-O157 : H7 occurred adhesion of 69% and 64% under the level of 0.00125% and 0.025% CHIOL, respectively. E coli-O149 : K88ac showed adhesion of 100% in higher than 0.025% CHIOL. For cationic action, the adhesion of E coli isolate and E coli-O149 : K88ac to n-hexadecane were inhibited at level of higher than 10mM $Ca^{2+}$ but did not induce any difference among the concentrations used(p < 0.01). However, the adhesion of E coli-O157 : H7 to n-hexadecane was inhibited at level of higher than 50mM $Ca^{2+}$. In a field trial, control piglets showed average mortality of up to 58% during 3 days after the onset of diarrhea. In contrast, the prevalence of E coli-induced diarrhea in CHIOL-treated groups without mortality was dropped down to average 34% on the 1st day after the treatment of CHIOL, and average 2% on the 4th day. After then, piglets with diarrhea was not present. In conclusion, the low concentrations of CHIOL were most likely to associate with the enhancement of hydrophobicity to pathogenic E coli. Calcium inhibited the hydrophobicity of E coli by CHI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HIOL could be played an efficient and reliable role in treating enteric colibacillosis of piglets.

  • PDF

생체재료로서의 고순도 수용성 키토산 올리고당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ly Pured Water-soluble Chitosan Oligosaccharides as Biomaterials)

  • 박준규;최창용;남정표;박성철;박영훈;장미경;나재운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85-9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전달체로 응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자량의 고순도 수용성 키토산 올리고당을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급화 하였다. 분급화한 고순도 수용성 키토산 올리고당의 평균분자량과 분포를 측정하였고, 매우 좁은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순도 수용성 키토산 올리고당의 분자량은 한외여과막에 따라 1에서 10 kDa의 범위를 가진다는 것을 젤크로마토그래피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분급화된 키토산의 구조는 $^1H$ NMR과 FTIR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하였고, UV를 통하여 탈아세틸화도를 측정한 결과 90% 이상의 높은 탈아세틸화도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조된 고순도 키토산 올리고당은 세포독성이 없고 아주 좁은 분자량 분포와 높은 순도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양유 단백질 분해물/키토올리고당 나노 전달체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Hydrolyzed Goat Milk Protein/Chitosan Oligosaccharide Nano-Delivery System)

  • 하호경;김진욱;한경식;윤숭섭;이미령;이원재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3호
    • /
    • pp.208-2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양유 단백질 분해물과 키토올리고당을 이용하여 약 138~225 nm 크기를 지니는 구형의 나노 전달체를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 전달체는 소수성 건강기능성 물질인 DHA와 레스베라트롤을 각각 ~22 mg/100 mL와 ~4.5 mg/100 mL 씩 포집가능하며, 제조 공정요인(예, TPP 농도, 산양유 단백질 분해물 농도, 키토올리고당 농도) 조절을 통해 입자 크기, 표면전하등과 같은 나노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소수성 건강기능성 물질의 포집 효율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양유 단백질 분해물/키토올리고당 나노 전달체는 동결건조를 통해 분말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식품 적용성이 뛰어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food-grade 물질인 산양유 단백질 분해물과 키토올리고당을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 전달체는 저지방 및 무지방 유식품에 적용 가능한 무지방 기반(non-fat based)의 소수성 건강기능성 물질 전달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itosan Oligosaccharides Inhibit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 Cho, Eun-Jae;Rahman, Atiar;Kim, Sang-Woo;Baek, Yu-Mi;Hwang, Hye-Jin;Oh, Jung-Young;Hwang, Hee-Sun;Lee, Sung-Hak;Yun, Jong-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80-87
    • /
    • 2008
  • The 3T3-L1 cell line is a well-established and commonly used in vitro model to assess adipocyte differentiation. Over the course of several days, confluent 3T3-L1 cells can be converted to adipocytes in the presence of an adipogenic cocktail.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CO)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were studied. The CO significantly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a marker of adipogen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low molecular mass CO (1-3 kDa) were the most effective at inhibi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Moreover, mRNA expression levels of both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 ${\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gamma}$, the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were markedly decreased by CO treatments. CO also significantly down regulated adipogenic marker proteins such as leptin, adiponectin, and resistin. Our results suggest a role for CO as antiobesity agents by inhibi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mediated through the down regulated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other specific ge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