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tin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31초

게 껍질로부터 Microcrystalline Chitin 제조와 특성 규명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crystalline Chitin from Crab Shell)

  • 김성배
    • KSBB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481-488
    • /
    • 1996
  • Chitin 유도체의 다양한 응용성에도 불구하고 chi­tin의 강한 내약품성과 적당한 용매부재로 산업적인 용도개발은 매우 부진한 실정 이다. 이와 같은 chitin 의 강한 내약품성을 완화시키는 방법의 하나는 chi­tin을 가수분해하여 MCC를 제조동}는 것이다. 기존의 MCC 제조공정은 주로 강산을 사용하는 공정이어서 사용한 산을 제거하거나 회수하기 위해 많은 후처리가 필요하다. 그래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공정으로 초음파와 과산화수소를 붉은 엽산과 함께 사용하는 공정을 개발하였다. 이 공정의 주요변수로는 산농도, 팽윤시간 및 온도 그리고 초음파 조사시간 및 주파수이고 이들 변수가 분자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CC의 분자량은 chitin 분자량 크기의 약 1/8인 30,000 정도였고, 어떤 일정한 크기에 접 근해 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cellu lose의 분자배열모델을 도입하여 해석하였다. Chitin 과 MCC 모두 섬유형태로 되어 었으며, MCC의 fi bril 크기는 chitin의 fibril 크기보다 훨씬 작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hitin 및 Chitosan에의 고정화 탄닌의 금속이온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sorption Characterics of Metallic Ions by Tannin Immobilized on Chitin and Chitosan)

  • 김창호;장병권;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4권1호
    • /
    • pp.204-215
    • /
    • 1993
  • 게껍질과 같은 수산계 페기물로부터 추출한 chitin과 epichlorohydrin을 반응시켜 epoxy-activated chitin을 합성하였다. 이것을 hexamethylene diamine을 사용하여 aminohexyl chitin을 합성하였고 다시 epichlorohydrin과 반응시켜 epoxy-activated aminohexyl chitin을 합성하였다. 최종적으로 epoxy-activated aminohexyl chitin을 tannin을 고정화시킨 chitin(Resin I)을 합성하였다. 또한 chitosan과 silane coupling agent인 $\gamma$-glycidoxypropyltrimethoxy silane을 반응시켜 tannin을 고정화 시킨 chitosan(Resin II)을 합성하였다. pH를 변화시키면서 $Cu^{+2}$, $Ni^{+2}$, $Cr^{+6}$, $Co^{+2}$, $Pb^{+2}$, $Ba^{+2}$, 및 $UO_2{^{2+}}$와 같은 금속이온들에 대한 고정화 tannin의 흡착은 batch법으로 측정하였다. 금속이온들에 대한 이들 고정화 tannin의 흡착 경향은 pH의 증가와 더불에 흡착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pH의 변화, 접촉시간, 수지의 양 그리고 금속이온의 농도에 따른 Resin(I)과 Resin(II)의 흡착능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chitin과 chitosan에 고정화 시킨 tannin은 uranyl이온에 대해 좋은 흡착능을 보였다.

  • PDF

Carboxymethyl Chitin의 고유점도에 미치는 pH 및 분자량의 영향 (Effects of pH and Molecular Weight on the Intrinsic Viscosity of Carboxymethyl Chitin)

  • 박성민;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7-491
    • /
    • 1995
  • 수용성 chitin 유도체인 CM-chitin의 식품분야 또는 기타 산업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희박용액중에서 CM-chitin의 고유점도에 미치는 pH 및 분자량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hitin으로부터 조제한 CM-chitin을 0.1M NaCl 용액에 녹여 $30^{\circ}C$에서 측정한 CM-chitin의 고유점도는 1.23dl/g이었고, 분자량은 15,500이었으며, CM-chitin과 반응한 NaOH의 당량으로부터 계산한 치환도는 0.62이었다. CM-chitin의 고유점도에 대한 pH의 영향은 pH 7.0이하에서는 pH가 낮을수록 고유점도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pH 7.0이 상에서는 pH가 증가하여도 고유점도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초음파 처리 시간에 따른 고유점도와 분자량의 변화는 처리시간 20분까지는 고유점도와 분자량은 각각 3.1dl/g에서 2.55dl/g, 15,500에서 12,600으로 감소하여 감소속도가 빨랐으나 20분 이후부터는 거의 일정하여 1시간 처리 후의 고유점 도와 분자량은 각각 2.5dㅣ/g, 12,370이었다. 용매를 물로 사용하였을 때 CM-chitin의 고유점도와 분자량과의 관계에 있어서 K는 $3.48\times10^{-4}이었고, v는 0.94이었다.

  • PDF

Chitinolytic Enzyme을 이용한 N-acetyl-$\beta$-D-glucosamine의 최적생산 (Optimal Production of N-acetyl-$\beta$-D-glucosamine Using Chitinolytic Enzyme)

  • 이천우;이은영장상목김광
    • KSBB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696-703
    • /
    • 1996
  • S. marcescens QM 81466 균주는 chitin 분해 효소(1mg/Lmedium)를 선택적으로 높게 생성시킬 수 있는 균주로서, chitin을 N-acetyl-$\beta$-D-glucosa­m mine(NAG)으로 효소적 가수분해를 할 때 chitinase와 chitobiase의 두 가지 가수분해 효소계를 구 성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 균주의 chitinase/chitobiase 생성을 위한 chitin 입자크기에 대한 최적화와, 회분 발효계에서 이 균주의 세포 밀도 배양에 따른 두 효소 생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NAG 생산성의 증대를 시도하였다. 아울러. chitin과 CM­ chitin이 chitinase/chito biase 생성비 와 NAG 생성 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는데, CM-chitin을 colloidal 및 결정성 chitin 대신에 사용했을 때, chitinase 활성을 약 7~10U/mL 증가시켰다. 이 경우에 있어서, chitinase/chitobiase의 비는 9:1로 서 NAG의 생성량이 3.0g/L로서 높게 나타났다.

  • PDF

키틴을 이용한 폴리(L-젖산)(Poly(L-lactic acid)(PLLA)) 전기방사 나노섬유의 기계적 보강 (Mechanical Reinforcement of Electrospun Poly(L-lactic acid)(PLLA) Nanofibers with Chitin)

  • 문현우;최승환;황동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6-4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mechanically improved properties by distinguishing α-chitin and β-chitin for Poly(L-lactic acid)(PLLA). First, dissolution of chitins was established by mixing polar solvents hexafluoroisopropanol (HFIP) and trifluoroacetic acid (TFA) in appropriate proportions. Under these conditions, the dissolved chitin was used for electrospinning with other polymers. The electrospun nanofibers of the PLLA and chitins were successfully produced. Compared to the pristine state, when chitin was added to PLLA, the tensile strength increased 1.41 times (α-chitin), by 1.61 times (β- chitin), respectively. Based on this, it was confirmed that α- and β- chitin could be strategically used for different polymer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chiti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as good reinforcing material as well as electrospinning.

키틴의 염료 흡착에 의한 염액의 색소제거에 관한 연구(제1보) (Decoloration in Dyebath by Dye Absorption of Chitin(Part I))

  • 유혜자;이혜자;이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85-392
    • /
    • 2000
  • The adsorption ability of dyes on chitin, a natural polymer was investigated for decolorization of dye wastewater. Chitin was manufactured in lab by decalcification in dilute aqueous HCI solution and deproteination in dilute aqueous NaOH solution with shrimp shells. Absorbance of residue solution of dyebaths after dye adsorptions of chitin were measured in varieties of dye concentration and dipping periods. Four kinds of dyestuffs were used, C.I.Acid Blue 29. C.I.Direct Blue 6, C.I.Reactive Orange 12 and C.I.Basic Red 18. When chtin 1g was dipped in 0.05% of dyebath with stirring, maximum adsorption ratio of each kind of dyes was exhibited as 91.6% for C.I.Acid Blue 29, 95% for C.I.Direct Blue 6, 58.2% for C.I.Reactive Orange 13 and 75.8% for C.I.Basic Red 19. It shows that chitin has better adsorption abilities of ionic dyes of acid, direct and basic dye than non-ionic reactive dye. And chitin has better adsorption abilities of anionic acid direct dyes than cationic basic dye because of the presence of nitrogen atoms. All kinds of dyestuffs used showed speedy absorption effects by chitin, so chitin can absorb much amount of dyes in 5 mimutes reach to equilibrium of adsorption in 2 hours after dipping. Basic dye was absorbed the most speedily in 5 minutes, although maximum adsorption ratio is not high. That reason can be thought that chitin surface is essentially negatively charged due to polar funtional groups.

  • PDF

Chitin과 Chitosan 처리에 의한 인삼모상근으로부터 Ginsenosides 생산 (The Production of Ginsenosides from Ginseng Hairy Root by Treatment of the Chitin and Chitosan)

  • 오승용;박효진;최경화;맹성주;양계진;양덕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68-73
    • /
    • 2000
  • 인삼모상근의 생장과 glnsenosides 함량 증가에 미치는 chitin 및 chitosan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식물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1/2 MS 배지에 chitin과 chitosan의 농도와 처리시기를 달리하여 인삼모상근을 배양하였다. 인삼모상근 생장은 chitin 1 mg/L의 농도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나 20mg/L 이상 농도에서는 생장이 감소되었다. Ginsenosldes 함량과 생산성은 40 mg/L 첨가시와 배양3주 째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Chitosan 역시 1 mg/L의 농도에서 인삼모상근의 생장이 가장 높았으나 ginsenosides 함량은 30 mg/L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양 후 처리시기는 ginsenosides의 함량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카틴과 셀룰로우스의 복합체로부터 새로운 생체흡수성 봉합사의 개발 (Development of New Biocompatible Fiber form Composite of Chitin and Cellulose)

  • 이충우;홍영근이화섭윤정원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237-242
    • /
    • 1993
  • Chitin 섬유는 인장강도가 기대치 보다 약하며 생 체조직 내에서 흡수도가 너무 빨라 수술 후 2주일 정도의 강도 유지밖에 못하는 단점 등이 었으므로, chitin과 그 구조가 비슷한 cellulose와 혼합하여 인 장력과 유연성이 크게 증대된 Chitulose 섬유를 개 발하였다. 우선 chitin과 cellulose가 잘 용해되어 혼 합펼 수 있는 용매로서 DMAc/LiCl을 탐색하였으며 이 용애계에 용해시킨 Chitulose 용액을 가지고 습 식방사하여 얻은 Chitulose 섬유 중, 용매에 대한 chitin cellulose 함량비가 1.5: 0.2얼 때, Instron 시험결과 강도와 유연성이 가장 좋았으며, 멸균시 autoclave해도 변화되지 않아 열에 매우 안정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 섬유를 가지고 400-500g되는 백서의 피하조직에 매몰시킨 후, 생체 내 분해흡수 도를 관찰한 결과, 매볼 후 14일부터 분해되기 시작 하여 40일 후에는 완전히 분해흡수되였다.

  • PDF

토하(Caridina Japonica) 로부터 추출, 제조한 Chitin , Chitosan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hitin and Chitosan Derived from Caridina japonica)

  • 박원기;김희경;김광윤;범희승;김지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3-357
    • /
    • 1994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tin and chitosan derived from Caridina japonica (CJ) which is using as one of fermented products in the chonnam province of Korea. Percent of chitin produced from CJ was 9.6 $\pm$0.2%. Percent of chitosan derived from chitin was 72.5$\pm$3.6% . Viscosities of chitin and chitosan were 94.4 and 96.7 cps. Molecular weight of them were 4,398,900 and 4,101.100 , respectively. Percents of protein bound to chitin and chitosan were 2.7% and 2.6%, respectively.

  • PDF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Chitin Derivatives and Their Utilization for Waste-water Treatement

  • Aly, Aly Sayed;Jeon, Byeong-Dae;Kim, Young-Jun;Park, Yun-Heum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53-58
    • /
    • 1996
  • The Chitin Thiocarbonate-Fe(II)-H2O2 redox initiator system was investigated for the graft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AN) and acrylic acid(AA) monomers onto chitin powder. The reactions with vinyl monomers onto chitin were carried out under various the graft copolymerization conditions to elucidate the polymerization behavior in terms of graft yield. Reactions of chitin-acrylonitrile graft copolymer with hydroxyl amine hydrochloride and those with sodium hydroxide were conducted in order to obtain chitin-(amidoxime-co-acrylonitrile) and chitin-(acrylate-co-acrylamide) graft copolymers, respectively. The reaction efficiency was observed to depend on the alkali concentration, time, temperature, and the reactant concentrations. The prepared chitin derivatives were evaluated to find potential applications for use in wastewater treatments for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heavy metal ions as well as acidic and basic dy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