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ultural Industry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9초

A study on the policy of Korean Cultural Industry

  • Su, Shuai;Zhang, Fan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2호
    • /
    • pp.1-4
    • /
    • 2018
  • Purpose - This research, based on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Korea, especially of Korea government, which, though promulgating laws and making policies, plays an rather pivotal role in Korea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process, in developing cultural industry, explores possibly successful path and pattern that is suitable for China cultura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Korea's 2000-2011 year data. After empirically analyzing the data, we believe that cultural industry in Korea and China will maintain its growth momentum. Results - This study shows that China and Korea are both belong to the only cultural circle of Confucianism and Chinese character, therefore, to research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Korea government in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will do much good to better promoting the optimal development of China cultural industry. China can encourage private flow to take on enterprises. In terms of financing, diversification can be achieved, by the means of cash, land, intangible assets, technology, stock, bond, cultural lottery etc. Conclusions - Besides, to better the degree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allocation of the cultural resources, China government can, under the condition that Chinese laws permit, encourage foreign capital to invest in Chinese cultural industry field.

Research on Core Competence of Cultural Industry in Korea

  • Li, Yu;Li, Hao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7권2호
    • /
    • pp.17-20
    • /
    • 2017
  • Purpose - This paper will go deep into the analysis of Korean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ultural value of cultural product, competitive product lines and mature Market Mechanism are core competences of Korean Cultura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a case study in the era of knowledge based economy, Cultural industry has become a new increasing point of economic development. Cultural industry, commonly regarded as an industry with high-ended value, is occupying more important role in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welfare promotion process. Results - Moreover the increasingly important role of cultural industry will hopefully help to promote industrial upgrading process and finally become a driving force for economic growth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During the process of cultural development, improving core competence of Cultural industry is a key consideration to help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in a positive way. Conclusions - From the study above, we find that in order to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y, emphasis should be put on finding and improving core competence. Core competence of Korean Cultural industry is important and inspiring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and regional integration in the East Asian area.

정부 보조금과 과학 기술 혁신 투입이 중국 문화산업 기업의 경영 실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Government Subsidies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vestmen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Enterprises)

  • 원 도;왕 콘;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50-26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 보조금과 과학 기술 혁신 투입이 중국 문화산업 기업의 경영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문화산업 기업의 경영 실적은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2015년~2020년 중국 238개 문화산업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1,175개 표본을 추출하여 Stata 16 소프트웨어로 실증 분석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보조금은 중국 문화산업 기업의 경영 실적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부 보조금은 중국 문화산업 기업의 과학 기술 혁신 투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과학 기술 혁신 투입은 중국 문화산업 기업의 경영 실적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과학 기술 혁신 투입은 정부 보조금과 중국 문화산업 기업의 경영 실적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과학 기술 혁신 투입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산업 기업의 경영 실적 향상을 위한 대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화된 문화산업 시장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둘째, 정부는 문화산업 기업에 대한 금융,세무 지원을 확대한다.셋째, 문화산업과 과학 기술 혁신의 융합을 촉진한다.

IP무술무대극 선검기협전(仙剑奇侠传)에 나타난 중국문화산업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Shown in an IP Martial Arts Stage Play 'Seongeomgihyeopjeon')

  • 지아오샨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1-45
    • /
    • 2020
  • 본 연구는 무술을 중국전통문화로서 적용하여 성공한 IP무술무대극 '선검기협전(仙剑奇侠传)' 분석을 통해 나타난 중국문화산업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국의 문화산업은 1979년 개혁개방실시이후 관련 법제들을 수정하여 왔고, 2008년 처음 중국법령에 지적재산권(IP)용어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문화가 그동안의 체제유지를 위한 도구적 범위를 초월하여, 경제이익산업으로서 인식과 전통문화소프트파워 강화를 위한 대표 산업으로 간주되기 시작하였다. 무대극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문화산업은 국가주도의 관련법제 정비를 통한 중국특색의 전통문화소프트파워 강화와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정책으로 인해 발전해왔다. 둘째, 중국문화산업은 고유한 전통문화요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명도가 높고 많은 팬들을 확보하고 있을 때 성공적인 마케팅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작품 광고를 통한 관객들의 유입을 위해 기존의 TV, 라디오, 신문 등의 광고보다는 팬들과의 적극적인 SNS소통을 통해 이들의 다양한 의견을 분석과 동시에 국가문화산업정책과 제작자 의견들이 반영되는 활동이 우선되어야 한다.

한중 합작 영화의 문화 할인 분석 (Cultural Discount Analysis of Chinese and Korean Co-production Movies)

  • 양리쥐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03-111
    • /
    • 2019
  • 글로벌한 배경에서 영상언어의 무국경성은 영화를 적재체로 하는 교류를 각 나라의 문화산업 교류차원에서 중요한 내용으로 만든다. 이에 따라 미중, 중일, 한중 등의 영화 합작은 현재 중국 영화 산업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됐다. 이 가운데 한국과 중국은 한옷에 물을 끼고 사는 가까운 이웃으로, 양국 영화 간의 교류도 날로 늘고 있다. 한국 영화는 1990년대부터 되살아나 2000년대 초반 호황을 구가하며 국제 사회에 서독 특한 영향력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범죄, 미스터리, 멜로 등 장르 영화에 자신만의 특색을 이루고 있다. 2000년 한중 합작영화가 등장하고 2014년 한중 합작영화 협약이 체결되면서 한중 합작영화가 급물살을 탔다. 그러나 한중 합작 영화는 전파효과, 시장 평가면에서 기대에 못 미쳤다. 이 글은 한중 합작 영화의 현재 상황에 따라 문화 할인 이론을 활용해 한중 합작 영화의 문화 할인이 발생한 이유와 이를 어떻게 최대한 피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중국 문화굴기의 역설 (The Paradox of China's Cultural Rise)

  • 김승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6권
    • /
    • pp.31-60
    • /
    • 2016
  • 중국은 이렇게 말한다. '대국이 우뚝 섰다(대국굴기). 그 파장 효과는 상당하다. 중국의 부상은 특히 한국에 위기이자 기회다. 문화산업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사회주의 대중문화를 생산하여 소비를 촉진하고, 사회의식을 관리하려 한다. 동시에 중국은 국제적으로 문화굴기를 지향한다. 디지털화, 시장화, 지구화를 추진하는 중국은 미디어, 채널, 정보생산을 계속해서 늘려 왔다. 콘텐츠 부족은 필연적이었다. 그래서 중국은 다른 나라의 미디어, 저널리즘, 대중문화, 정보기술 등을 수입하고, 투자를 해서 대중문화 시장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 문화산업이 한국 문화 시장에 진출하여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현상이 예사롭지 않다고 보고 그들의 행태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문화 시장과 미디어 정책을 분석하고, 이들이 한국 문화 시장에서 어떤 행태를 보이는지 살폈다. 논의 결과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문화굴기를 시작하고 있으며, 그중 한국이 중화문화패권주의의 그늘에 갇힐 수도 있다는 점이다.

  • PDF

IP곡예 무대극 '몽지려(梦之旅)'를 통해 본 중국문화산업의 함의 (The Implications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in the Stage of an IP Acrobatic Stage Drama 'Mongjiryeo')

  • 초산;방수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5-48
    • /
    • 2020
  •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곡예를 현대사회 흐름에 부합하는 무대극으로 창작하여 대내외적 공연을 통해 호평을 얻은 IP곡예무대극 '몽지려'의 성공적인 요인을 인문콘텐츠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중국문화산업이 갖는 함의를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문화산업은 정부의 적극적 진흥정책과 거대 내수시장을 토대로 양적 및 질적으로 성장 발전하였다. 둘째, 전통 문화인 곡예 및 의상에 대한 도전과 변화를 통해 현대 무대극으로서 창작적 표준제시 및 실용적 경험공유를 시도하였다. 셋째, 전통문화의 개혁 및 혁신적인 변화 속에서 동양적 인문사상과 감정을 투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문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자유로운 해석과 확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중국전통문화원형에 대한 분석과 접근 방법을 활용한 신문화 창조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억으로서의 영상매체와 기억산업의 문화콘텐츠 - 중국 6세대 영화의 대항기억을 중심으로 - (Cultural Contents of Image Texts and Memory Industry as the Memory - Focused on the Counter Memory of the Sixth Generation Chinese Movies -)

  • 김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3-172
    • /
    • 2009
  • 문화콘텐츠가 문화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콘텐츠와 이를 활용한 문화산업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높다. 문화는 기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기억을 배제한 문화란 존재할 수 없다. 기억은 개인의 차원을 넘어 집단적, 사회적 기억으로 작용한다. 또한 문화는 기억을 담지할 매체를 필연적으로 요구하는데, 최근의 영상텍스트는 새로운 기억매체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사회 문화적 기억으로서 '기억'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 중국 6세대 영화를 중심으로 사회 문화적 기억과 그것을 담지해내는 영상텍스트의 기억복원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대항기억'으로서 '개인기억'의 문화적 의의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기억산업과 콘텐츠의 접합 가능성을 찾아보는 시도를 모색했다. 6세대 영화를 주목한 이유는 중국 당국이 제시하는 '공식기억'에 대항하며 '지하'에서 만들어졌던 이들 영화가 국제적인 영화제에서 괄목한 만한 성과를 획득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방송 콘텐츠의 발전 배경과 현황 (The Background and Present Situation of the Chinese Broadcasting Content)

  • 요우원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49-155
    • /
    • 2019
  • 문화방송을 통해 민족문화의 특질을 유지하고, 시대의 추구를 면밀히 관찰하며, 세계 선진문화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우수한 민족문화 부티크를 널리 보급하여 찬란한 중화문명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다. TV는 사람들로 하여금 시사 뉴스와 사회적 이슈에 대해 실시간으로 알게 해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생활과 오락을 제공한다. 오락화된 방식으로 문화 프로그램을 전파하는 것은 일종의 혁신이다. 방송 프로그램은 다양한 형식으로 해당 문화 콘텐츠를 시청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시청자의 문화적 소양과 사회적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이 글은 중국 TV 문화의 발전 배경과 현황을 요약하고, 현재 문화 프로그램의 발전에 대해 생각해보며, 중국 문화류 방송의 전파 발전에 대한 참고가 될 수 있다.

CROSS-BORDER INNOVATION: THE EFFECT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 Jiang, Taijun;Jin, Shanyue;Jin, Xuehu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1-9
    • /
    • 2021
  • Focusing on China's profound historical/cultural heritage, as well as its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expansion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CCIs), this paper considers the unique attributes of Chinese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MCCPs) from the angle of cross-border development, and summarizes the main forms and effects of cross-border innovation in relation to Chinese MCCPs. It also examines the chief problems of Chinese MCCPs' cross-border growth at three levels - the national policy system,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and marketing - to explore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for cross-border novelties and the advancement of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