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a Cultural Industry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1초

A study on the policy of Korean Cultural Industry

  • Su, Shuai;Zhang, Fan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2호
    • /
    • pp.1-4
    • /
    • 2018
  • Purpose - This research, based on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Korea, especially of Korea government, which, though promulgating laws and making policies, plays an rather pivotal role in Korea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process, in developing cultural industry, explores possibly successful path and pattern that is suitable for China cultural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Korea's 2000-2011 year data. After empirically analyzing the data, we believe that cultural industry in Korea and China will maintain its growth momentum. Results - This study shows that China and Korea are both belong to the only cultural circle of Confucianism and Chinese character, therefore, to research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Korea government in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will do much good to better promoting the optimal development of China cultural industry. China can encourage private flow to take on enterprises. In terms of financing, diversification can be achieved, by the means of cash, land, intangible assets, technology, stock, bond, cultural lottery etc. Conclusions - Besides, to better the degree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allocation of the cultural resources, China government can, under the condition that Chinese laws permit, encourage foreign capital to invest in Chinese cultural industry field.

Inspirations for China's Cultural Industry Development from the Construction of Korea's Cultural Industry Chain

  • Guo, Pingjian;Fang, Haixia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3권2호
    • /
    • pp.88-9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chain in Korea and discover lessons for China to improve its cultural industry. It was concluded that a one-industry development pattern cannot win in market competition and a cultural industry will strengthen its sustainability only through smoothing its relationship with other industries and establishing a cultural industry chain so as to further development and resist crises together.

  • PDF

한·중 문화관광산업 비교 연구 - 지역 문화관광상품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i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local cultural tourism products -)

  • 황균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97-10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한·중 양국의 다양해진 문화관광산업에 대해 개념 정리를 하고 이를 통해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관광산업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중 양국의 문화관광산업의 특징으로 공연, 테마파크, 축제, 박물관 등 유사한 문화관광 형태를 보였으며, 한국은 한류문화관광이라는 특유의 문화관광 형태가 있었고, 중국 또한 한국에서 희소한 문화예술 단지를 세워 문화관광을 발전시켜 왔다. 한국 문화관광산업의 강점은 문화자원이 풍부하며 문화적 내용을 담은 많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중국 문화관광산업의 강점은 풍부한 관광자원과 거대한 경제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유사점이 많은 한·중 양국은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는 문화관광산업에 많은 관심과 가능성이 높은 나라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문화관광산업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양국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부단한 노력과 관심, 그리고 그에 합당한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과 한국의 문화산업의 효율성 비교 (Comparison of Cultural Industry Efficiency between China and Korea)

  • 굴천우;임광혁;김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70-481
    • /
    • 2020
  • 문화산업은 국가경제성장에 있어서 역할이 점차적으로 증대하고 있으며, 타 산업에 미치는 윈도우효과가 크기 때문에 더욱 주목 받고 있는 산업이다. 특히 중국은 2000년대 이후 산업구조고도화 측면에서 문화산업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중국보다는 상대적으로 일찍이 문화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통해 국가경제성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양 국가 간의 문화산업의 효율성을 비교함으로써 문화산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잠재력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의 문화산업의 효율성을 비교할 때 가장 큰 애로점은 비교 가능한 통계자료의 구축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로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를 선정하고 산출변수는 문화산업의 매출액을 선정한다. 그리고 DEA-Malmquist지수를 통해 효율성을 비교 분석한다. 한국의 자료는 지자체 통합DB와 KOSIS에서 기초 자료를 이용하고 있으며, 중국의 자료는 국가통계국의 자료를 이용하고 있다. 분석기간은 2013-2017년으로 설정하고 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Malmquist지수는 1.048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국은 1.041로 나타나고 있다. 즉 한국은 분석 기간 중 4.8%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으며, 중국은 4.1%의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이 기간의 한국은 문화산업이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는 시기이며 중국은 성장기로 진입하는 시기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of Listed Companies in China's Digital Cultural Industry)

  • 동호;배기형;장몽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69-379
    • /
    • 2022
  • 과학기술과 문화산업의 융합이 심화되면서 중국의 디지털 문화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디지털 문화산업은 디지털 경제 시대에 문화소비에 대한 새로운 욕구를 충족시켜 소비자들에게 신선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A주 36개 디지털 문화 상장기업의 2018년~2019년의 공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했다.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하여 36개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상장기업 36곳은 기술혁신 효율성이 낮다. 둘째, 상장기업의 연구개발 자원의 배치가 불합리하다. 셋째, 상장기업 간 기술혁신 효율성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연구개발 자금 투입의 확대, 연구개발 자원의 합리적 배치, 연구개발 인력 도입과 육성 확대, 효과적인 동적 인센티브 메커니즘 구축, '정산학연용(政产学研用)'의 긴밀한 결합 촉진 및 정부 정책의 충분한 발휘 등의 조치를 통해 중국 디지털 문화산업 상장기업의 기술혁신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

중국 문화굴기의 역설 (The Paradox of China's Cultural Rise)

  • 김승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6권
    • /
    • pp.31-60
    • /
    • 2016
  • 중국은 이렇게 말한다. '대국이 우뚝 섰다(대국굴기). 그 파장 효과는 상당하다. 중국의 부상은 특히 한국에 위기이자 기회다. 문화산업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사회주의 대중문화를 생산하여 소비를 촉진하고, 사회의식을 관리하려 한다. 동시에 중국은 국제적으로 문화굴기를 지향한다. 디지털화, 시장화, 지구화를 추진하는 중국은 미디어, 채널, 정보생산을 계속해서 늘려 왔다. 콘텐츠 부족은 필연적이었다. 그래서 중국은 다른 나라의 미디어, 저널리즘, 대중문화, 정보기술 등을 수입하고, 투자를 해서 대중문화 시장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 문화산업이 한국 문화 시장에 진출하여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현상이 예사롭지 않다고 보고 그들의 행태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문화 시장과 미디어 정책을 분석하고, 이들이 한국 문화 시장에서 어떤 행태를 보이는지 살폈다. 논의 결과 중국은 미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문화굴기를 시작하고 있으며, 그중 한국이 중화문화패권주의의 그늘에 갇힐 수도 있다는 점이다.

  • PDF

한중 합작 영화의 문화 할인 분석 (Cultural Discount Analysis of Chinese and Korean Co-production Movies)

  • 양리쥐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03-111
    • /
    • 2019
  • 글로벌한 배경에서 영상언어의 무국경성은 영화를 적재체로 하는 교류를 각 나라의 문화산업 교류차원에서 중요한 내용으로 만든다. 이에 따라 미중, 중일, 한중 등의 영화 합작은 현재 중국 영화 산업의 중요한 구성 부분이 됐다. 이 가운데 한국과 중국은 한옷에 물을 끼고 사는 가까운 이웃으로, 양국 영화 간의 교류도 날로 늘고 있다. 한국 영화는 1990년대부터 되살아나 2000년대 초반 호황을 구가하며 국제 사회에 서독 특한 영향력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범죄, 미스터리, 멜로 등 장르 영화에 자신만의 특색을 이루고 있다. 2000년 한중 합작영화가 등장하고 2014년 한중 합작영화 협약이 체결되면서 한중 합작영화가 급물살을 탔다. 그러나 한중 합작 영화는 전파효과, 시장 평가면에서 기대에 못 미쳤다. 이 글은 한중 합작 영화의 현재 상황에 따라 문화 할인 이론을 활용해 한중 합작 영화의 문화 할인이 발생한 이유와 이를 어떻게 최대한 피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한국 ${\cdot}$ 중국 ${\cdot}$ 일본 식기의 변천과정에서 본 식문화의 문화사적 고찰 (Cultural Discussion for Food-cul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in Historical Transition of Tableware)

  • 정유경;홍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8-317
    • /
    • 2008
  • Throughout history, tableware has attained an important position in human culture, and historical eras are clearly reflected in the shape of tableware items, which are tied to the cultural background of foods. In particular, the distinctive qualities of foods within a food-culture, such as the means for cooking, storing, or eating, have impacted the usage and shape of tableware along with the food behaviors of individuals. Korea, China, and Japan have all played important roles in producing limitless amounts of high quality porcelain products and take pride in being leaders of the world's porcelain production industry. Based on their natural geographical proximity and political and cultural exchanges, these three countries have long influenced one another not only in terms of technical concepts but also in improving quality within the tableware industry. Thus, by comparing Korea, China, and Japan's evolutionary interdependable variance with regard to their tableware, food-culture, and food-behavior, one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historical stream and cultural exchanges relevant to china and porcelain. Ultimate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ableware, the conclusions of this conceptual study offer researcher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stance of food-culture and contribute new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future.

A Study o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dustry and Economic Growth

  • He, Yug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4호
    • /
    • pp.85-94
    • /
    • 2018
  • The cultural industry is treated as the sunrise industry in modern society. It has taken an increasing role in promoting the economic growth. Due to thi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dustry and the economic growth. On the grounds of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he cultural industry is regarded as a determinant such as the labor input and the capital input to impact the economic growth. Meanwhile, the quarterly datum form 2000-Q1 to 2017-Q4 are employed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via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e GDP is trea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input of capital, the input of labor and the total input of cultural industry are treated as dependent variables. Furthermore, a menu of statistical approaches such as the co-integration test and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will be used to testif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industry and economic growth. Via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the results report that the cultural industry has a obviously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Through the vector error correction estimation, the results also report that the cultural industry also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but less than that of the Johansen co-integration test. This paper provides a view that the cultural industry is a kind of a determinant to promote the economic growth. Therefore, the China's government should pay much attention to the cultural industry construction.

중국의 서비스수출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A Study on the Service Export Strategy of China and the Counter Plan of Korea)

  • 김미정
    • 통상정보연구
    • /
    • 제8권3호
    • /
    • pp.323-341
    • /
    • 2006
  • The world industry structure is characterized as service economics concerned with key words of global, information and culture. Developed countries have expanded a value-added of service economics along with rapid growth of service economics. In this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in the world, China have converted their strategy of an economic management into coping with the industrial structure of service in the 11th 5-year plan. The purpose of the paper, therefore, is to find out the new commerce strategy of China, and searching for the counter plan of Korea. Chapter 2 begins with the change of economic strategy in China and their cultural factors using service industry. Chapter3 deals with, from the basis of chapter 2, China's service export strategy to abroad and our counter plan that is able to export and expand Korean service and culture industry into Chin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