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a's Politics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5초

South Korea's Strategic Directions in the Context of the US-China Trade War: An Application of the ABCD Model

  • Dilong HUANG;Hwy-Chang MOON;Guy Major NGAYO FOTSO
    • 융합경영연구
    • /
    • 제12권2호
    • /
    • pp.73-81
    • /
    • 2024
  • Purpose: South Korea is a close ally of the US and an important partner of China. Caught between the two most powerful countries, South Korea's strategic directions are critical.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he deeper core of the US-China trade war is to improve the business environment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o boost the economy, rather than engaging in the trade wa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this issue, this article applies a systematic analytical tool, the ABCD (Agility, Benchmarking, Convergence, and Dedication) model, to provide strategic guidance for inducing investments into South Korea in the context of the ongoing US-China trade war. Results: Specifically, South Korea needs to provide a more attractive business environment along the four points: expedite commercial activities through deregulation (Agility); adopt global standards of the flexible labor market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Benchmarking); integrate various industries and connect them to global value chains (Convergence); and create more economy-friendly policies rather than politics-oriented ones such as protectionism (Ded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stands out not just by utilizing the ABCD model but, also by providing more systematic analysis and practical implications,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the escalating US-China competition. Unlike many existing studies that analyze the broader impacts of this geopolitical rivalry, this research delves into specific strategic guidelines for South Korea to attract FDI. The findings also provide implications f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in choosing the locations for their overseas operations, particularly in South Korea.

중국의 민족식별과 민족자치구역 설정 :공간적 전략과 그 효과 (The Identification of Nationa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Minority Nationality Autonomous Region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Spatial Strategy and Its Effects)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5-92
    • /
    • 2002
  • 이 논문은 중국 민족정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민족식별과 민족자치구역 설정에 내재된 공간적 전략과 그 효과에 대해 검토한다. 중국의 민족식별과 자치구역의 설정은, 전통적인 정체성의 기초를 약화시키고 민족을 지역화시킴으로써, 소수민족들을 중국 내의 확고한 인민으로 전환시키는 국가통합과정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민족 식별에 있어서 기준의 자의성, 국가에 의한 인구의 재배치 그리고 민족자치구역의 설정 및 영역 조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보다 상위의 개념으로서 '중국민족' 혹은 '중화민족'이라는 정체성을 구성하려는 국가의 의도와 맞물려 있었지만, 그렇게 식별된 민족과 구획된 영역을 따라서 새로운 개별 민족적 정체성을 창출하게 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1955-1962 기간의 중국 대외정책에 관한 연구 - 반둥회의와 아시아-아프리카 인민연대회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1955 to 1962 China's Policies toward Africa Region -focusing on the Bandung Conference and the Afro-Asian People's Solidarity -)

  • 김동환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3호
    • /
    • pp.873-896
    • /
    • 2009
  • 중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자원 외교는 성공적인 결과를 이루어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1990년대 이후 뚜렷하게 나타났던 '에너지 확보를 위한 원조 정책(aid-for-energy strategy)'처럼 단기간의 경제협력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중국은 1955년 반둥회의에서 아프리카와 첫 공식적인 외교 접촉을 가진 후 다양한 후원을 반세기 이상 지속하였다. 중국과 아프리카의 관계를 다룬 지금까지의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중국의 석유 및 천연자원 분야, 자원민족주의, 자원패권주의를 다루는 것에 편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념으로 시작된 국제관계가 어떤 과정을 통해 정치 경제 분야로 파급되었는지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1955년 '반둥회의'와 1957년 '아시아-아프리카 인민연대회의'를 중심으로 중국과 아프리카의 최초 공식 접촉과 그에 이어지는 관계의 발전을 고찰함으로써 중국의 대(對) 아프리카 정책의 초기단계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국의 도련선(島摙線) 전략에 대한 지정학적 해석 (Geopolitical Interpretation of China's Island Chain Strategy)

  • 이영형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2권1호
    • /
    • pp.137-162
    • /
    • 2018
  • 본 논문은 해양력이 동아시아 해양공간에 미치는 지정학적 파장과 그 성격의 문제를 다룬다. 마한의 도서국가지배론에서 강조되고 있는 해양력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해양력의 지정학적 성격을 파악한다. 이러한 인식과 함께, 21세기 현재 중국이 도련선 전략을 통해 태평양으로 진출하고 있는 지정전략적 성격과 그 파장의 문제를 조사한다. 지난 20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일본이 해양력에 기초해서 동아시아 해양공간에서 세력권 확장을 기획하는 대동아공영권 정책을 구체화했고, 21세기에는 중국이 도련선 개념을 구체화하면서 동아시아 해양공간을 관리하려는 지정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중국의 도련선 전략이 미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의 반발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한국외교의 해양세력 의존정책이 21세기 현재에도 유용한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미중관계의 전개와 현안문제 및 시사점 (The Development of the U.S.-China Relationship, Pending Issues and Implications)

  • 김강녕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2권2호
    • /
    • pp.89-130
    • /
    • 2018
  • 본 논문은 '미중관계의 전개와 현안문제 및 시사점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초기 및 적대적 대결기의 미중관계, 미중접근 관계정상화기 및 1980~90년대 미중관계, G2시대 개막후 2010년대 중반까지의 미중관계, 트럼프-시진핑시대의 미중관계와 주요현안과 시사점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지난 30여 년간의 중국의 급속한 성장은 기존의 미국중심의 단극적 국제질서를 변화시키며 양국간의 경쟁을 촉발시키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전략 경제대화'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유일한 국가가 되었고, 주제 역시 양자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글로벌 이슈까지 논의하는 나라로 발전해왔다. 미중협력 갈등의 현안문제는 양국관계는 물론 글로벌 이슈를 망라하고 있다. 예컨대 남중국해, 북핵과 사드, 통상 금융질서, 대만문제 등이 바로 그것이다. 미중갈등은 남의 일이 아니라 한국의 외교 안보 경제에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우리는 미중관계에 있어서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이 나오지 않도록 튼튼한 한 미 안보공조관계를 유지 강화해 나가는 한편, 한 중 경제협력관계도 조화롭게 추진해 나가는 헤징전략이 요구된다.

삼국시대의 견문화의 연구 -고구려와 백제를 중심으로- (A Study of Silk-Culture in the Period of Three-Nation -On point of the relation of Goguryo & Bakje dynasty-)

  • 박일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7-226
    • /
    • 1994
  • Cloth culture is one of the basic unit of constructing man's culture in a life of human being.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s to construct cloth culture is the silk-fabric from the ancient time-Sam Han period B.C 2∼4 Korea. This study is to survey the growing aspects of the silk-fabric influence Goguryo & Bakje dynasty. It is an attempt to manifest that how silk-fabric influence through a trade or as means of currency between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through a trade or as means of currency between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To certify I use material such as San guo zhi, Hou Han han shu from China Samkuksaki Dong-kuk-tong-gam from Korea and NiHon Shoki from Japen and I concerned the cultural relations of politics economics and socity of the two dynastics so as to prove a relations of politics economics and socity of the two dynastics so as to prove a relative relation between the two. It is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silk fabric had been a constituent role at cloth culture at that time of Goguryo & Bakje. It is pointed out that silk-fabric had been an important role to construct the culture of social economic and politic through a trade and as a precious currency.

  • PDF

한국, 중국, 일본의 학교 수학 용어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y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 박경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4호
    • /
    • pp.337-347
    • /
    • 2004
  • Korea and China have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since the ancient times along with Japan, which also shares the common Chinese culture. The three major players in Northeast Asia have been recognizing their increasing importance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Considering thos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countries, it's necessary to compare and investigate their mathematics termi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erminology of school mathematic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he mathematics terms included in the junior high school of Korea were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terms in Chinese and Japanese were identified. Among 133 Korean terms, 72 were shared by three countries, 9 Korean terms were common with China, and the remaining 52 Korean terms were the same as Japanese terms. Korea had more common terms with Japan than China,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influences of the Japanese education during its rule of Korea in the past. The survey with 14 terms which show the discrepancy among 3 countries were conducted for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preferred mathematics terms are different from one group to the other, yet the Korean mathematics terms were more preferred in general. However some terms in Chinese and Japanese were favored in certain degree. This result ma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revise the school mathematics terms in the future.

  • PDF

Teaism in the Sinophone World and Beyond: Spiritual, Political and Material Explorations

  • SHMUSHKO, Kai
    • 대순사상과 동아시아종교
    • /
    • 제2권1호
    • /
    • pp.133-155
    • /
    • 2022
  • Throughout the Chinese sphere, that i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aiwan, tea houses, tea stores, and tea meditation groups often without a particular religious orientation have appeared in the past decades. Tea lovers groups with various philosophical discussions appear throughout cyberspace, where people show their appreciation for tea as a drinkable delicious product and a spiritual tool. The question to be asked here is whether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religious or spiritual practice agent in and of itself? Should we then talk about the present-day movement of teaism? If we do recognize this as a spiritual phenomenon, should it then be labeled as a New Religious Movement? The trajectory of tea in China is intrinsically connected to religious traditions. This connection is historical, yet it plays a part in the contemporary religious and spiritual sphere. The article explores the continuation and developments of tea culture in the context of the religious sphere of China, looking at practices connected to tea of communities, religiou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he author explores how tea drinking, commercializing and tea related practices intersect with politics, materiality, and spirituality in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context it is then argued that tea is a cultural element, religious self-refinement tool, and an active material agent with social-political capacities. The study includes historical narratives, ethnographic data, and literary sources about tea, making up a genealogy of tea which encompasses ritualistic aspects, economic aspects, and power relations related to tea in Chinese society.

다산의 『서경(書經)』인식 (Dasan Cheong Yagyong's perspectives on The Shoo King(『書經』))

  • 임헌규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297-324
    • /
    • 2015
  • 이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경학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서경" 인식을 고찰,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산의 과제는 요순(堯舜)-주공(周公)-공자지도(孔子之道)라고 하는 본원유학의 원형과 정신을 복명(復命)하고, 그를 통해 질곡된 현실을 극복하는 데에 있었고, 그의 "서경"에 대한 관심과 해석 역시 여기에서 유래한다고 할 수 있다. 육서오경에 대한 방대한 식견과 청나라의 고증학적 경향, 심지어 일본의 유학연구에도 정통했던 다산은 "서경"에 대한 단순한 의문제기를 넘어, 체계 전반을 문제로 삼았다. 그래서 그는 후대 위작으로 간주된 고문(古文)의 유출경위를 증명하고, 방대한 자료를 검토하여 원 자료의 수집과 채록을 통해 "서경"의 본모습을 회복하려고 시도했다. 이 글은 다산의 이러한 시도에서 드러난 "서경"에 대한 인식과 그 특징을 제시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우선 "서경"이란 어떤 책이며, 왜 다른 어떤 경전보다 유독 판본과 진위 문제가 항상 발생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 다음 다산의 "서경" 연구과정을 서술하고, 거기서 나타난 다산의 관점과 특징을 대표작인 "매씨서평" 및 그 뒤의 저술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다산은 "서경"을 정치의 표준이 제시되어 있는 옛 성인의 정사를 알려주는 역사책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표준을 제대로 알아 소통하기만 하면 곧바로 현실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런데 그는 "서경"을 알기 위해서는 당연히 자구에 대한 훈고(訓?)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자구에 대한 훈고를 이루려 하면 우선 경문(經文)이 정립되어 있어야 하는데, "서경"은 잔결(殘缺)이 가장 많은 경전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그는 당시 통행되고 있던 "상서" 중에서 후대에 위조된 부분을 변별한 다음, 그 본 모습을 회복하려고 시도한다. 다산이 회복하려고 했던 원형 "상서"란 공자가 직접 산정하고 서(序)를 썼다고 말한 100편("우서(虞書)" 20편, "하서(夏書)" 40편, "주서(周書)" 40편)이었다. 그러나 그는 공자가 편집했던 "상서" 100편의 원형회복이란 진본이 망실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그는 우선 방대한 문헌적 지식을 원용하여 한대 이전의 경전 가운데 신뢰할 수 있는 것을 채록 배열한 다음 여러 학설을 모으고("상서고훈수략(尙書古訓蒐略)"), 수집된 고훈들의 동이(同異)를 대비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합본한다("상서고훈(尙書古訓)") 다산은 이런 시도의 목표는 "상서"를 해석하기 보다는 옛 원형을 보존하여(존고(存古)), "상서"의 본래 모습 혹은 대체(大體)을 알게 해 주는 단서를 제시하려는 것이었다.

Вступление Китая в новую фазу развития на фоне "торговой войны" с США: взгляд из России (A New Phase of China's Development Against the Background of "Trade War" with the US: View from Russia)

  • Lukonin, Sergey;Ignatev, Sergei
    • 분석과 대안
    • /
    • 제2권2호
    • /
    • pp.111-141
    • /
    • 2018
  • By the middle of 2018 there are signs of China's entry into a new period of development, characterized by a change in the old model: "market reforms-inner-party democratization - moderate foreign policy" to another: "market reforms - Xi Jinping personality cult - offensive foreign policy." This model contains the risks of arising of the contradiction between economic freedom and political-ideological rigidity which can lead to destabilization of the political life. However, in the current positive economic dynamics, these risks may come out, rather,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oday, the political situation in China remains stable - despite growing dissatisfaction in scientific expert and educational circles due to increased control over the intellectual sphere by the authorities. The need for a new redistribution of power between central and provincial authorities could potentially disrupt political stability in the medium term, but, at the moment, is not a critical negative factor. The economic situation is positive-stable. Forecasts indicate a possible increase in China's GDP in 2018 at 6.5%. At the same time, there are negative expectations in connection with the Sino-US and potentially Sino-European "trade war". In the Chinese foreign policy, as a response to Western pressure, China increasingly uses the Russian direction of its diplomacy in the expanded version of Russia + SCO. The nuance here is seen in China's adjusted approach to the SCO: first of all, not as a mechanism for cooperation with Russia, but as an organization that allows using Russia's potential for pressure on the US in the Sino-US strategic rivalry. In the second half of 2018, the Chinese economy will continue to develop steadily, albeit with unresolved traditional problems (debts of provinces and state-owned enterprises, ineffective state sector, risks on the financial and real estate market). In politics, discontent with the cult of Xi will accumulate, but without real threats to its power. Weakening in economic opposition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s possible due to Beijing's search for compromises on tariffs, intellectual property, trade deficit. To find such trade-offs, Xi will use the so-called. "Personal diplomacy" of direct contacts with Trum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