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Relationship Satisfaction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8초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s of Midlife Men)

  • 정연강;이재온;한경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3-522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stress and the extent of climacteric symptoms in mid-life men, and examined their relationship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 experiences of mid-life men, and thereby attempted to offer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 improvement program that may help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mid-life men. Three hundred mid-life men whose ages were between 40 and 59 and resided in the Seoul area were subject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C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o analyz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of stress and the extent of climacteric symptoms of the su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s were examined b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ress and the extent of climacteric symptoms in relation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Th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6 and 47.0% of them reported ages between 40 and 45. Of the subjects, 98% were married. In marriage satisfaction, those who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married life comprised 62.0% of the subjects. In terms of level of education, 95.7% were educated above the high school level. In occupational background, 59.7% had occupations related to technologies. As for religion, 42.7% had no religion. In number of children, 67.3% had 2 children. In residential status, 79,3% were living in their own homes. In terms of living arrangements, 87.7% of the subjects were living in the form of nuclear families. 2. Stress and the extent of climacteric symptoms The level of stress was scored as $2.94{\pm}0.74$, and considering that the overall examination score is $27.16{\pm}1.32$, the subjects' stress level was not viewed as particularly high. The average score of the extent of climacteric symptoms was $35.37{\pm}0.27$. The extent of sub-domains of climacteric symptoms included skeleton symptoms ($39.37{\pm}2.81$), joint pain ($39.16{\pm}3.66$), vasomotor symptoms ($35.39{\pm}3.01$), other symptoms ($36.99{\pm}3.02$), psychological symptoms ($34.68{\pm}3.01$), urogenic symptoms ($35.03{\pm}3.27$), and cardiovascular symptoms ($33.70{\pm}2.78$). 3. Gener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stress level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stress were marriage status (F=4.38, p=.001), marriage satisfaction (F=4.56, p=.001), educational background (F=2.68, p=.012), and age (F=2.48, p=.033). 4. Gener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level of climacteric symptoms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climacteric symptoms were educational background (F=3.26, p=.007), age (F=2.58, p=.027), marriage status (F=2.62, p=.025), and marriage satisfaction (F=2.78. p=.032). 5.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s The subjects' level of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each other (r=0.578, p=0.000). The subjects' level of stress was correlated with sub-domains of the climacteric symptoms including psychological symptoms (r=0.579, p=0.000), joint pain (r=0.479, p=0.000), skeleton symptoms (r=0.477, p=0.000), other symptoms (r=0.467, p=0.000), vasomotor symptoms (r=0.4615, p=0.000), cardiovascular symptoms (r=0.458, p=0.000), urogenic symptoms (r=0.401. p=0.000). In summary, the climacteric symptoms suffered by mid-life me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level of stress. In addition, the climacteric symptoms were affected by the level of stress.

  • PDF

남녀 척수장애인의 성적관심, 성적적응과 관련요인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the Sexual Concerns of Men and Women with Spinal Cord Injuries)

  • 강현숙;서연옥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8-20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exual concerns and adjustment between men and women with spinal cord injuries. A total of 108 persons (67 men and 41 women), registered to the Spinal Cord Injury Organization or admitted at rehabilitation unit from February 1999 to February 2000,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concerning importance of life events, sexual concern, sexual adjustment, relationship with a sex partner, and dep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xcept sexual dysfunction. 2) With respect to eleven different life areas, sex life ranked the fifth among men, whereas it occupied the lowest position for women among the 11 areas. However economic status was the most highly-ranked for both sex. 3) Men took much interest in the "methods and techniques for achieving sexual satisfaction", "Helping a partner cope emotionally with limitations on sexual activity", whereas women were interested in "Helping a partner cope emotionally with limitations on sexual activity" and "Ability to have children". 4) The means of sexual adjustment, relationship with a sex partner, and depression among men were higher than wom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men and women with spinal cord injuries except sexual dysfunction. Men evaluated the sexual events highly compared to women, and differences were also shown in terms of sexual concerns between men and women. Therefore differential approaches to sexual rehabilitation are required; in both socio-psychological and physical aspects for men and particularly in socio-psychological respect for women.

  • PDF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uccessful Aging' Scale for Korean Elderly)

  • 김미혜;신경림
    • 한국노년학
    • /
    • 제25권2호
    • /
    • pp.35-52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후의 성취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성공적 노후 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1)선행연구를 통한 문항 개발, (2)1차 조사를 통한 문항 내용 확인, (3)전문가 집단과 노인 포커스 그룹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4)2차 조사를 통한 성공적 노후의 구성요인 확인, 그리고 (5)3차 조사를 통한 구성타당도와 동시타당도 확인까지의 5단계 척도개발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는 총 30문항으로서 '자기 효능감을 느끼는 삶' '자녀 성공을 통해 만족하는 삶' '부부간의 동반자적 삶' 그리고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삶'의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공적 노후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a값 0.94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여 요인구조에 대한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척도는 삶의 만족도와 0.69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동시타당도도 입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척도의 개발은 노인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측정도구로 활용되는데 기여할 것이다.

만족도와 재구매 간 관계에 있어서 상황적 영향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인지 종결 욕구와 일시적 자아 해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Moderating Role of Need for Cognitive Closure and Temporal Self-Construal i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Consistency)

  • 이민훈;하영원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95-119
    • /
    • 2010
  • 최근 들어 소비자의 만족과 재구매 행동 간 불일치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 탐색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주로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에 치중하여 소비자 내면의 심리 관점에서 만족과 구매 후 행동 간 상응성을 설명해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족과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상황적 요인으로서 인지 종결 욕구와 일시적 자아 해석의 역할을 가정하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 이를 규명했다. 우선 소비자의 일시적인 심리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상황적 요인으로서 최근 심리학계에서 많은 학자들로부터 주목받고 있는 인지 종결 욕구의 개념을 구매의사결정에 직면한 소비자 입장에 새롭게 적용하여 그 역할을 입증했다. 구체적으로 인지 종결 욕구가 높은 상황에서는 가능한 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고자 하므로 새로운 대안 탐색을 회피하고 기존 대안을 반복 선택할 가능성이 증가했다. 또한 소비자에게 일시적으로 유발된 자아 해석을 만족과 재구매 행동 관계의 주요 조절변수로 가정하고 이를 규명했다. 즉, 일시적으로 독립적 자아 해석 상황에 처하게 되면 상호의존적 자아해석 상황에 처했을 때보다 재구매 행동이 강화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독립적 자아 해석 상황에서는 자신의 만족 경험과 판단을 신뢰하여 기존 대안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상호의존적 자아 해석 상황에서는 내집단과의 우호적 관계를 자기 자신의 판단 이상으로 중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의미있는 주변인의 추천에 동조하여 전환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객 만족을 넘어 충성 고객화를 위해 고심 중인 기업들에게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단순한 만족이 충성도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원인을 규명해낸다면 이를 진정한 충성도 배양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 PDF

중년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 김정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3-12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elf concept and depression of middle-age women.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from June 23 to July 3, 1997.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138 women between 40-60 years of age living in Seoul and Incheo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self concept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and Choi, Jung-Hun and the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Rockliff and the investigator.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ean score of self concept was 3.58, in minimum score 2.86 to maximum score 3.99. 2. Mean score of depression scale was 1.95, in a minimum score 1.50 to maximum score 2.61. 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cept and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0.5121, p<0.001). 4.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self concept were marital status(t=-3.22, p<0.01), experience of disease in a year(t=2.76, p<0.01), child problem(t=-2.59, p<0.05), marital satisfaction(F=6.80, p<0.05). 5.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depression were possession of house(t=-2.42, p<0.01), experience of disease in a year(t=-4.32, p<0.001), child problem(t=3.12, p<0.05), husband problem(t=5.29, p<0.001), marital satisfaction (F=8.36, p<0.001). 6. Obstetric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self concept was times of pregnancy(F=3.54, p<0.05). 7. Obstetric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depression were age of menarche(F=3.87, p<0.05), times of abortion(F=2.49, p<0.01) number of children(F=3.36, p<0.01). 8.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influencing variables on depression of middle aged women were self concept($R^2$=.26, p<0.001), husband problem ($R^2$=.37, p<0.001), experience of disease in a year($R^2$=.41, p<0.001) and possession of house($R^2$=.44, p<0.001).

  • PDF

$\cdot$$\cdot$고 학생의 아침식사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이보숙;양일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8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breakfas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surveyed by questionnaires and data was analyzed by SPSS program. Exploratory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ree school student groups (elementary childr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1,886 school students (female 893, male 959) of 51 schools in the nationwide region.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was elementary school children 544, middle school students 661 and high school students 681.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nly sixty percent of the subjects had breakfast regularly. About one fourth of the subjects had the habit of skipping breakfast or eating it 2$\sim$3 times per week.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and reasions of skipping breakfas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chool student groups (p < 0.001 respectively).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was $14.4\%$ in elementary school, $16.1\%$ in middle school, and $25.0\%$ in high school. The main reason for skipping breakfast was 'not delicious or poor appetite' in elementary school ($42.5\%$), but 'busy' in middle ($50.2\%$) and high school ($61.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according to living areas (rural and urban).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and BMI and degree of satisfaction on body weight.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according to economical status (p < 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gree of school performance according to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p < 0.001)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attending school and the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Bu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frequency of having breakfast and time of risin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time of rising was controlled by having enough time that students eat breakfast. And mother (or person who prepares meals) must have more concerns about preparing breakfast for children and students.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urses' working stress, child-rear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

  • 오재우;문영숙;박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69-481
    • /
    • 2013
  • 본 연구는 학령전기의 자녀가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의 정도와 이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양육태도의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피어슨 상관 계수로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평균 평점이 3.48점이었으며,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는 평균 평점 2.47점이었다. 간호사의 양육태도 평균 평점은 3.61점 이었다. 업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근무장소, 월별 주말 근무횟수였으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는 아내연령, 남편연령, 총수입, 남편과의 관계 만족, 근무경력 및 자녀수, 자녀 돌보는 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r = .32, 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양육태도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노인의 비동거 자녀와의 결속력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idarity with Non-Cohabiting Children of the Elderly on Successful Aging)

  • 이수진;홍소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47-56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2018년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의 노인 중 비동거 자녀가 1인 이상이고 연구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4,1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 수준, 주거 형태, 주관적 건강, 운동, 음주, 비동거 자녀와의 비대면 접촉 빈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4.1%였다. 자녀 결속을 중심으로 노인이 성공적 노화를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녀가 가까이 살고 자주 만나는 것보다 노인의 삶의 위로가 되고 관계의 연속으로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비대면 연락 빈도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COVID-19) 감염 우려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보육보조금의 효과 분석: 영아기본보조금을 중심으로 (An Evaluation of a Basic Subsidy Program for Infants)

  • 조윤영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9권3호
    • /
    • pp.29-73
    • /
    • 2007
  • 보육보조금은 일반적으로 여성의 노동시장참여를 용이하게 해주려는 것과 아동이 양질의 보육 및 교육 환경에서 돌보아지는 것을 돕는 목표로 지급된다. 본 연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아가구에 보육료를 지원하는 영아기본보조금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영아기본보조금이 그 정책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기본보조금이 2006년 민간보육시설에만 도입되었고 유아는 제외하고 영아에게만 지급된다는 준실험적(Quasi-Experiment) 설정을 이용하여 시설 측면과 가구 측면의 효과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보조금으로 인해 영아의 이용비중이 높은 보육시설에서는 교사의 처우 및 시설환경이 개선되는 등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여성의 노동공급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수요자의 보육만족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for Marriage-based Migrant Women)

  • 신혜정;노충래;허성희;김정화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3호
    • /
    • pp.5-29
    • /
    • 2015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변인들을 개인, 가족, 사회적 지지 요인에 따라 메타분석하여 사회복지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37편의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관련 연구들을 최종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개인, 가족 및 사회적 지지 요인들 간의 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각 요인들은 모두 '중간 효과'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크기의 우선 순위는 결혼만족, 사회적 지지 순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다음으로 생활만족도, 가족 관계 기능,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 우울 순으로 '큰 효과'에 가까운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개인요인에서는 한국어능력, 경제적 어려움, 우울, 자아존중감이, 가족 및 사회적 지지 요인에서는 결혼만족, 부부관계, 사회적 지지 요인이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효과크기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