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Museum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7초

과학관에서의 대중 시연을 통한 인간크기 이족보행 휴머노이드 로봇의 평가 연구 (Evaluation Study of a Human-sized Bipedal Humanoid Robot Through a Public Demonstration in a Science Museum)

  • 안태범;강이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849-857
    • /
    • 2015
  • Although human-sized bipedal humanoid robots have been developed as the ideal form of human-friendly robots, studies of humanoid robots from the user perspective and of actual interaction between humanoid robots and the public in daily environments are few. This paper presents a long-term public demonstration that encouraged interaction between a humanoid robot and unspecified individuals. We have collected a significant amount of subjective evaluation data from the public by performing a storytelling demonstration that enhanced people's empathy towards the robot. The evaluation model consists of the robot's human friendliness, which involves its impression on humans, interaction with humans, and imitation of human motions and the robot's human appearance which involves gender, age, height, and body type.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uman-friendliness between gender groups (male and female), whil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children and adults). In human appearance, it appear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ither gender groups or age groups, except for the case of the robot's height.

근대 아동한복 연구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Clothes in Modern Times)

  • 조효숙;최은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3-73
    • /
    • 2007
  • Korean children's clothes have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other countries'. Our folk beliefs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lways contained fortune - seeking thoughts and particularly mothers' earnest wishes for the happiness of their children were sublimated into the symbolic beauty of their children's cloth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children's clothes in the royal family and among the people for 50 years of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modern times, by classifying them into ritual dress for new-born babies, festival dress and everyday dress. Male children's clothes included caps such as Bokgeon(복건), Hogeon(호건) and Gulle(굴레) topcoats such as Durumagi(두루마기), Sagyusam(사규삼) Koija(쾌자) and Jeonbok(전복) and others such as Magoja(마고자), Baeja(배자), Joggi(조끼) and Bajijeogori(바지저고리), Female children's clothes included caps and head ornaments such as Gulle, Jobawi(조바위) and Daenggi(댕기) and others such as Durumagi, Jegori and Chima(치마). What is interesting is that old clothes handed down to the present are mostly boys' and few of them are girls'. This is probably because of the strong preference for boys rather than girls that continued until the end of the 20th century. Ordinary people dressed their new - born babies with simple white clothes until Samchilil (the 21st day) or Baekil (the 100thday) but, for these occasions, the royal family prepared clothes as formal as those for the $1^{st}$ birthday among the public. Rainbow-striped garments were more popular among the public than in the royal family. As rainbow colors were known to Korean people to dispel evil power and bring in fortunes, rainbow - striped garments were essential for the $1^{st}$ birthday and festive days. However, they were seldom used in ordinarytimes, and most boys and girls wore plain jackets and plain topcoats. When children's clothes in noble families were compared with royal family's ones, either handed down to the present or found in old literatu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asic composition of everyday dres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ndong Kim's family had dressed their children with very formal dress such as Dopo and Sagyusam. Among children's clothes, the most gorgeous one was that worn on the $1^{st}$ birthday, and those for other occasions or festive days were similar or simpler. Colors, patterns and designs used in decorating children's clothes mostly had the meanings of seeking fortunes for children such as long life, wealth and prosperity.

과학관 '소리 빛' 전시공간, 체험형 인터랙션 전시 콘텐츠 연구 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nteractive Exhibition Contents for 'Sound Light' Exhibition Space in Science Museum)

  • 김태욱;박남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7-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과학박물관의 기본 개념과 역할을 바탕으로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 있는 과학 원리의 전시, 교육, 체험의 제공을 목표로 한 '소리 빛' 인터랙션 전시 콘텐츠와 체험 전시공간을 연구 개발해 국립광주과학관의 '소리 빛' 전시 공간에 구현한다. 연구의 범위는 기존 과학관의 체험형 콘텐츠 선행 연구 사례와 현황을 살펴, 과학관 체험형 전시의 조건과 요소를 정의하고 그를 바탕으로 체험형 전시 시나리오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를 연구 개발했다. 본 연구 개발 콘텐츠의 성과는 첫째, 빛과 소리를 테마로 인터랙티브 홀로그램 체험 콘텐츠를 개발한다. 둘째, 다수의 프로젝터에 의한 프로젝션 매핑을 통해 미디어 파사드 면을 다면화해 시각적으로 넓고 스펙터클한 화면 구성과 애니메이션을 실현한다. 셋째, 다양한 컬러와 소리를 함께 움직이며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관람객 중심의 전시, 체험을 실현한다. 마지막으로 홀로 스크린을 통한 홀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제공하여 전시 정보의 단순한 전달이 아닌 관람에 대한 다수 관람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며 전시 재방문을 증진한다. 일련의 연구를 통해 최근 과학관의 추세인 테마파크적 성격을 지닌 콘텐츠 및 체험 전시공간 연구 개발이 가능했다.

조선말기 백선도(百扇圖)의 새로운 제작경향 - 독일 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 초본(草本)>을 중심으로 - (New Trends in the Production of One Hundred Fans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One Hundred Fans Painting in the Museum am Rothenbaum Kulturen und Künste der Welt in Germany and Its Original Drawing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권혜은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239-260
    • /
    • 2019
  • 본 논고는 19세기 이후 형성된 서화(書畫)의 유통과 확산의 양상을 당시 활발히 제작된 장식병풍 중 하나인 <백선도(百扇圖)>의 예를 통해 살펴본 글이다. 백선도는 화면에 다양한 형태의 부채를 겹쳐서 배치하고 각각의 선면(扇面) 안에 여러 종류의 화제(畫題)를 그린 것을 말한다. 부채와 선면화(扇面畫)라는 소재는 이전부터 존재하였지만 장식용 회화의 소재로 등장한 것은 19세기 이후로, 호사취미 경향을 반영하여 주로 병풍(屛風)으로 활발히 제작되었다. 지난 2016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에서 독일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가 새로이 소개된 바 있다. 6폭으로 구성된 이 병풍에는 한 폭 당 5개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부채들이 등장하고 각 부채 면에는 단순히 채색한 것 뿐 아니라 다양한 화목(畫目)의 그림들이 남아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을 주목해야 하는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동일한 초본(草本)이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이전의 왕실이나 사대부들이 사적인 공간에서 향유하였던 서화(書畫)는 민간으로 확산되었고 시장을 통한 유통의 단계로 넓어졌다. 집안을 꾸미고 장식하는 풍조에 따라 화려한 장식그림들이 선호되었고, 한 폭에 다양한 형태의 화면과 다채로운 畫目(화목)의 그림을 그려 완성하는 백납도병풍 제작이 성행하였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한국 컬렉션의 상당수는 독일 주재 조선국 총영사이자 독일의 사업가였던 하인리히 콘스탄틴 에두아르 마이어(Heinrich Constantin Eduard Meyer, 1841~1926)의 수집품이다. 그는 1890년대 후반부터 1905년까지 조선과 독일을 오가며 다양한 유물들을 수집하여 독일에 돌아가 1909년까지 순차적으로 수집품을 로텐바움박물관에 전달하였으며, <백선도>도 그 중 하나이다. 새롭고 장식미가 돋보이는 <백선도>는 조선에 들어와 있던 외국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납도>는 제2폭의 뒷면에 "동현(銅峴)"이라는 지명이 적힌 종이조각이 거꾸로 붙어있어 흥미를 끈다. 동현은 지금의 서울 을지로 1가와 을지로2가 사이에 위치했던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도화서(圖畫署)를 비롯한 혜민서(惠民署)·장악원(掌樂院) 등의 관청과 시전(市廛)이 있어 가내수공업이 성하던 지역이었다. 실제로 1900년대 초 이곳에는 서화를 유통하는 상점들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마이어가 수집했던 서화들의 구입처가 동현에 위치했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하겠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는 총 6폭의 병풍으로, 1980년대에 한국 서화 소장품들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모습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 초본>은 1945년부터 1950년 사이 국립민족박물관에 입수된 작품이다. <백선도 초본>은 총 7점으로, 7점 중 6면 화면의 여백에 화면의 순서까지 정해져 있어 본래 총 8폭 병풍용 초본임을 알 수 있다. 한 화면에는 5개 이상의 다양한 접선(摺扇)과 단선(團扇)들이 배열해있는데, 작은 장식에서부터 부챗살의 문양까지 초본부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석간주(石間朱)', '홍(紅)', '묵(墨)', '청(靑)' 등과 같이 부채에 들어갈 색 대부분을 지정하고, 빈 부채에는 '유(油)'라고 적거나 비워두었으며 이 중 10개의 부채에는 화훼초충도(花卉草蟲圖)나 고사인물도의 밑그림이 남아있다. 이를 실제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와 비교하면 화면의 크기와 비례까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어, 초본의 매뉴얼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의 펼쳐진 부채 면에는 산수, 고사인물, 화조, 영모, 초충, 어해 등 다양한 장르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화접도(花蝶圖)나 어해도(魚蟹圖) 등은 19세기 유행하였던 소재로 당시 화단의 경향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것은 김홍도(金弘道)의 전형적인 화풍을 연상시키는 장면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백선도나 백납도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징이다.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작은 화면에 그려야 하는 백납도나 백선도의 특성상 잘 다루지 않는 소재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서원아집도>병풍과 화면의 구성이나 화풍 모두 매우 흡사하다. 더구나 <백선도>병풍의 몇몇 장면은 김홍도의 작품 중에서도 1796년작 《병진년화첩(丙辰年畫帖)》과 유사한 화면들을 다수 발견할 수 있어 흥미롭다. <사인암(舍人巖)>과 흡사한 산수도(山水圖)를 비롯하여 <서원아집도>, <쌍치도(雙雉圖)> 등에서 김홍도 화풍을 연상시킨다. 따라서 부채 속 그림을 그린 인물은 김홍도 화풍의 영향을 받은 직업화가일 것으로 보이며, 작가는 《병진년화첩》을 직접 감상한 적이 있거나, 서화시장에 《병진년화첩》을 베껴 그린 부본(副本)이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까지 알려진 병풍으로 된 백선도는 10점 내외인 것으로 파악되며, 이 작품들을 비교해보면 화면의 구성이 부채 1개 정도 차이가 있거나 비례와 좌우가 바뀌었을 뿐 화면구성이 매우 유사함을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일정한 패턴의 화면구성은 같은 시기 민간에서 성행한 책가도(冊架圖)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으로, 19세기 서화의 수요층이 넓어짐에 따라 세밀한 표현과 화려한 장식성이 요구되는 회화들의 대량 제작을 위한 초본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도안이 복잡하여 범본이 필요한 곽분양행락도나 요지연도, 백동자도, 해학반도도 등의 규모가 큰 장식병풍에서 적극 활용되었으며, 실제 남아있는 작품에서 몇 가지의 도상들이 반복하여 등장하고 있어 초본을 참고했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대량 제작할 수 있는 초본 활용이 성행했던 당시의 경향은 화면을 다채로운 부채들로 채우고 그 부채 면에 각기 다른 그림을 그려야하는 백선도 제작에 있어서도, 초본을 요긴하게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더구나 테두리를 그은 후 다양한 화목의 그림을 담는 백납도에 비해 백선도는 다양한 형태의 부채들을 먼저 그려야하는 공정을 거쳐야 했기 때문에, 대량 제작이 어렵고 그만큼 남아있는 작품이 상대적으로 적은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 병풍과 국립중앙박물관 <백선도 초본>은 새로운 화풍이 수용되어 시도되었던 조선 말기 화단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다수의 백선도들이 박기준의 작품과 유사한 화풍과 화면 구성 보이는 것에 비해, 김홍도의 영향이 분명히 드러나는 매우 이례적인 예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더욱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는 작품이다.

소리곤충을 이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의 학습효과 (Effects of experience-based learning program using singing insects)

  • 김소윤;김성현;정종철;이광범;김남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4-1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리곤충인 왕귀뚜라미를 이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에게 적용함으로써 학습성취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 운영 중인 교육프로그램을 신청한 초등학교 2-3학년생 123명이었다. 총 7회에 걸쳐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사전 및 사후 학습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 성취도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결과에서 평균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대응표본 t-test 결과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리곤충을 이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 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육현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체험학습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가능해져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제강점기 대만(臺灣)의 문화재 제도화 과정과 조선 비교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aiwan and Comparison of Joseon)

  • 오춘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254-275
    • /
    • 2018
  • 대만과 한국은 일본에 의한 식민지 지배라는 공통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지 시기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이 두 나라는 좋은 비교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만과 조선의 문화재 제도 분야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법제도적 측면으로 보면 대만에서는 일본의 내지연장주의가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대만의"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은 일본의 법에 종속적이었고, 조선의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이하 보존령)"은 대만보다는 독립적이었다. 그러나 이 두 차이를 일본의 압제 수준의 차별로 등치시키기는 어렵다. 둘째, 조선의 "보존령"제정에는 일본에서 공포되었던 관련 법령들이 참고되었으나, 대만의 "시행규칙"도 참고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조선의 "보존령"을 제정할 때에는 일본과 대만의 문화재에 관련된 모든 법령을 참고하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문화재 지정 수량과 내용에서 대만과 조선의 차이가 컸다. 대만과 조선의 지정 수량 차이는 두 지역 간의 전통문화자원의 차이가 가장 크며, 이에 따라 조선에서 지정된 문화재가 대만보다 14배 정도 많았다. 그리고 대만의 사적 중 절반 가까이는 일본 지배세력의 흔적들이었던데 비해, 조선에서 지정된 고적 중에는 일본 지배세력들의 흔적이 거의 없었다. 이는 두 지역 통치세력이 문화재에 대해 가졌던 시각의 차이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명대(明代) 황실 관례(冠禮)의 행례(行禮) 특성 및 신분별 관례복(冠禮服) 연구 -조선(朝鮮)의 '익선관강사포(翼善冠絳紗袍)'에 대한 논의를 겸하여- (A Study on the Ritual Process and Costume for a Coming-of-age Ceremony of Imperial Court in the Ming Dynasty -Incidentally Mentioning about 'Yishanguan-Jiangshapao' of Joseon Dynasty-)

  • 溫少華;최연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3-252
    • /
    • 2021
  • The Gwan ceremony (冠禮) is a coming-of-age ceremony that takes place through traditional Gwan (冠: the hat) and clothes in the traditional era. The rite is performed by wearing hats and clothes three consecutive times (三加禮). It was an important rite which meant that underage children were formally recognized as members of society. This study examined costumes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various coming-of-age ceremony rites in the Ming dynasty imperial court of China. For the research data, this study mainly used authentic chronicles (正史), codes of law and books on Ming dynasty rituals. This study examined the costumes used in the coming-of-age ceremony for the emperor, Prince Imperial, Emperor's eldest grandson, and emperor's 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an analysis of the document structure, institutional changes by time, characteristics of costum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ite. Of particular note in their ceremony, the emperor is presupposed to be a 'human already full-equipped with virtue', which means that the costume is worn only once. It is a case in which the emperor's absolute identity is revealed through the rite and costume.

발해의 복식에 관한 연구(II) -러시아 연해주에서 발견된 청동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tume of Balhae Dynasty(II) -Focused on the costume of a bronze state excavated in the Maritime Provinces of Russia-)

  • 김민지
    • 복식
    • /
    • 제22권
    • /
    • pp.97-118
    • /
    • 1994
  • This stud is my second trial to examine the costume of Balhae Dyanst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costume of a bronze statue excavated in the Maritime Provinces of Russia. The bronze statue is in the custody of Vladivostok Museum E.V. Shavkunov a Russian archelogist reported it a statue of-ficial of balhae dynasty in the 7-8th century. Judged his report lack of basis I suggest new opinion on sex, age, married or unmarried. social position manufactured time of the statue by comparative study on the costume hair-style and appearance of the statue with around nations' antiquities. hair-style of the statue is basically included in Ssangge and complexed style of Sage Ssangsuhuange, and Guange, Generally, Ssangge is a hair style of children, unmarried women, court ladies, dancing girls, and instrument player (lady)s'. The statue wears round-necked blouse long skirt broad fabric belt at high waist broad sleeve and confront collar coat cloud shaped shawl and risen tip shoes. The figure of statue is de-scribed plump. The statue shows straight sil-houette and high waist typical style of Tang, Uddai, The most characteristic facto is cloud shaped shawl Cloud shaped shawl was originally one of the northern race's shoulder ornaments. From the view of Comparative study the antiquities of NamDang and JunChock are simi-lar to this statue. Besides Tsukanovka river where the statue was excavated is Kraskino ruins of a castle formed single cultural layer of Balhae Dynasty and are relics of the layer of Balhae Dynasty and are relics of the latter period of Balhae Dynasty. Therefore this statue is assumed to have been manufactured at the last years of Balhae Dynasty and to be a figure of unmarried woman not official.

  • PDF

일제강점기 창경원의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 (The Image of Changgyeongwon and Culture of Pleasure Gro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정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15
    • /
    • 2015
  • 창경원은 일제강점기 창경궁에 박물관과 동 식물원이 계획되면서 조성된 유원지다. 오락거리를 갖추고 즐거움을 주는 공간인 유원지는 현실에서 벗어난 낙원의 이미지를 재현해왔다. 본 연구는 창경원의 조성 과정과 공간 변화를 고찰하고, 그 결과 조성된 낙원으로서 유원지의 경관과 문화적 특성을 도출했다. 창경원의 조성 의도와 과정을 문헌으로 고찰한 결과, 창경원은 조선의 식민지화 과정에서 순종의 즐거움을 위한 '어원'이자, '대중을 위한 오락장'으로 조성되었으며, 개원과 동시에 일반인들에게 개방되면서 누구나 입장료만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는 공중을 위한 공간이 되었다. 창경원의 공간 구성은 근대 도면과 사진을 비교 분석해 파악했다. 창경원의 배치를 살펴보면, 중앙에는 박물관 영역, 북쪽에는 식물원 영역, 남쪽에는 동물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식물원 지구에는 대온실을 중심으로 한 식물배양실 등 열대 식물의 전시 및 관리 기능이 집약되었으며, 동물원 영역의 연못은 수금방양소로 만들고, 이 주변으로 각종 동물사와 동물 온실을 신축했다. 박물관 시설은 본관 건물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각들을 전시 시설로 흡수했으며, 전각 사이에는 서양식 정원을 조성해 꽃을 계획적으로 재배하기도 했다. 1930년대에 이르면 아동운동장이나 말운동장과 같이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 공간이 만들어졌다. 다음으로 창경원의 낙원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를 고찰했다. 그 결과, 첫째, 창경원은 동 식물원을 통해 희귀한 동물과 식물들을 대중적으로 접할 수 있는 낙원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이는 꽃관상이나 동물 구경과 같은 새로운 대중오락을 만들어냈다. 둘째, 창경원은 도시의 일상에서 탈출할 수 있는 '도시 안에서 도시 밖 자연을 간직한 낙원'을 상징하며, 도시민의 여가 공간이 되었다. 셋째, 벚꽃의 개화기에 야간 개방이 시작되면서 창경원에서는 조명 효과를 중심으로 '환상적인 밤 경관'이 연출되었다. 이러한 밤벚꽃놀이는 각종 공연, 음주 등과 결합되면서 선정적으로 변해갔고, 그 결과 창경원은 일탈의 낙원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창경원은 다양한 성격의 시설이 혼재되면서 유원지라는 새로운 유형의 공간을 만들어내는데 기여했으며, 사람들은 유원지에서의 경험을 통해 새로운 오락 문화를 수용했다.

재난과 미술적 대응: 헤르만 조셉 하크(Hermann Josef Hack)의 기후난민 프로젝트 (Disaster and Artistic Measures: Hermann Josef Hack's Project of World Climate Refugee Camp)

  • 김향숙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4호
    • /
    • pp.53-83
    • /
    • 2012
  • This thesis is a study of artistic measures and climate refugees, based on Hack's World Climate Refugee Camp project. According to Hack, climate refugees appeared with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Hack claimed that the people who put climate refugees in danger are the industrialized nations, and therefore, their rejection of refugees is nonsense. He also stated that the fundamental solution would b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uch nations. Thus, he travels around the world, encouraging participants and globalizing his project. Interestingly, the practical participation method of his climate calamity project is divided into four methods, which are all related to realizing the danger and presenting various solutions. First, the aesthetic of survival: the reason Hack focused on the warming trend and claimed that we have to accept the climate refugees as refugees comes from the thought that we are all potential refugees, and the anxiety that climate refugees may cause war in the end. The solution Hack found for surviving in such a world is to create "refugee camps" to notify people about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nd to put the "aesthetic for survival" in action. Second, a relation-oriented relationship: communication between Hack and the participants was done in various ways. They are experiencing a bond and emotions of an interrelationship through their actions in the experimental field, experiencing a new form of art, which they were not able to experience in a museum. Third, a utopian measure: Hack's utopian measure started from the fear of dystopia but Hack still believes that it is not only a dream, but that it can be realized. He claims that even though the start may be feeble, it is possible to rescue children from starvation and to treat climate refugees as proper human in the end, whe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s done the right way and properly. Fourth, the aesthetic of global relation, the internet: the new solution Hack is trying on the internet is to make more people participate in his project. It is fate that "human are the wrongdoer and the victim at the same time", but according to Hack's opinion, social disaster can be avoided through effort and it is optimistic that we can give form to the culture revolution we are experiencing now. Hack's project illustrated the importance of daily life, compared to art inside a museum,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opened up a new method of art through realistic responses to disasters. This is distinctive from the past exhibitions, where artists gave shape and form to ideals and an imaginary world, in that it shows that the artist and audience aim for creating a community-like structure, just like Bourriaud's art method. Hack's project of climate calamity illustrates that installation and action art is not only an art genre which shows installation and activities, but that it can includ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and that it can be completed with the help of participants, consequently becoming a genre of modern art. Hack raises a question about art's identity through various descriptions. Artists as planners, who base their artworks on their subjectivity or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period, the people as participants, the duet of art work and play, human and human, and further, human and nature. The practical participation method, as a measure for "disaster", reveals the new art of the 21st century within Hack's artworks.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Hack's usage of art as a measure for disaster, it will actively open up a new page for the 21st century's art with the theme of disas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