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ild-Pugh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o changes in inflammatory markers predict hepatocellular carcinoma recurrence and survival after liver transplantation?

  • Lucas Jose Caram;Francisco Calderon;Esteban Masino;Victoria Ardiles;Ezequiel Mauro;Leila Haddad;Juan Pekolj;Jimena Vicens;Adrian Gadano;Eduardo de Santibanes;Martin de Santibanes
    • Annals of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 /
    • v.26 no.1
    • /
    • pp.40-46
    • /
    • 2022
  • Backgrounds/Aims: The role of inflammation in malignant cell proliferation has been well described. High values of platelet-to-lymphocyte ratio (PLR) and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NLR) as markers of systemic inflammation have shown associations with unfavorable long-term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values of NLR and PLR evaluated prior to and after surgery and their associations with mortality and recurrence rates of liver transplant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Methods: A total of 105 patients with HCC who underwent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OL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NLR and PLR values were obtained from complete blood counts prior to and after surgery. Overall survival (OS) and recurrence-free survival (RFS) in relation with delta NLR and PLR were estimated. Results: Serum alpha-fetoprotein levels > 100 ng/mL (p = 0.014) and lymphovascular emboli in the specimen (p = 0.048) we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RFS. Child-Pugh score (p = 0.016) was found to be an independent factor associated with poorer OS. An increasing delta PLR was associated with worse RFS, although it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S. Conclusions: The analysis of PLR as a continuous variable may predict recurrence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OLT for HCC. It is more representative than isolated values.

Dose Response Relationship in Local Radio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원발성 간암의 국소 방사선치료 시 선량반응 관계)

  • Park Hee Chul;Seong Jinsil;Han Kwang Hyub;Chon Chae Yoon;Moon Young Myoung;Song Jae Seok;Suh Chang O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9 no.2
    • /
    • pp.118-126
    • /
    • 2001
  • Purpose :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dose response relation existed or not in local radiotherapy for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1992 to March 2000, 158 patients were included in present study. Exclusion criteria included the presence of extrahepatic metastasis, liver cirrhosis of Child's class C, tumors occupying more than two thirds of the entire liver, and performance status on the ECOG scale of more than 3. Radiotherapy was given to the field including tumor with generous margin using 6, 10-MV X-ray. Mean tumor dose was $48.2{\pm}7.9\;Gy$ in daily 1.8 Gy fractions. Tumor response was based on diagnostic radiologic examinations such as CT scan, MR imaging, hepatic artery angiography at $4\~8$ weeks following completion of treatment.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dose response relationship of local radiotherapy when it was applied to the treatment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Results : An objective response was observed in 106 of 158 patients, giving a response rate of $67.1\%$.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otal dos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relation to tumor response when local radiotherapy was applied to the treatment of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Only $29.2\%$ showed objective response in patients treated with dose less than 40 Gy, while $68.6\%\;and\;77.1\%$ showed major response in patients with $40\~50\;Gy$ and more than 50 Gy, respectively. Child-Pugh classification was signific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ascites, overt radiation induced liver disease and gastroenteritis. Radiation dose was an important factor for development of radiation induced gastroduodenal ulcer. Conclusion : Present study showed the existence of dose response relationship in local radiotherapy for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Only radiotherapy dose was a significant factor to predict the objective response.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predict the maximal tolerance dose in consideration of liver function and non-irradiated liver volume.

  • PDF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Portal Vein Thrombosis from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진행된 간세포암에서의 간문맥 혈전증에 대한 방사선치료 효과)

  • Kim, Jung-Hoon;Choi, Eun-Kyung;Ahn, Seung-Do;Lee, Sang-Wook;Shin, Seong-Soo;Choi, Won-Sik;Lim, Young-Suk;Kim, Kang-Mo;Suh, Dong-Jin;Chung, Young-Wha;Lee, Young-Sang;Won, Hyung-Jin;Kim, Jong-H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5 no.3
    • /
    • pp.170-176
    • /
    • 2007
  • Purpose: To determine the role of 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ortal vein thrombosis (PVT) from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Material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70 patients that had been diagnosed with HCC and were treated with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for the PVT. The radiation dose ranged from 40 Gy to 60 Gy (median dose: 48 Gy) and the biological effective dose (BED) ranged from 31.3 Gy to 78.0 $Gy_{10}$ (median dose: 61.6 $Gy_{10}$). Respons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extent of the PVT on a CT image at 0, 1 and 3 months after completion of the radiotherapy.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9 months.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47.1% (33 patients), with two patients (2.9%) showing a complete response, 31 patients (44.3%) showing a partial response, and 35 patients (50%) showing stable disease or no response. The 1-year progression-free survival rate was 60%, and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time was 17 month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time was 11 months, the median survival time in the responders was 15 months and in the nonresponders was 8 months (p=0.032). Four patients (5.7%) had transient liver function impairment during treatment. Radiation induced liver disease (RILD) was observed in only one patient (1.4%). Conclusion: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VT from advanced HCC was a relatively effective and safe method.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 Jung, Kyoungwon;Park, Moo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6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