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raising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4초

Reading Against the Grain: Whiteness, Class, and Space in William Faulkner's As I Lay Dying

  • Sa, Mi Ok
    • 영어영문학
    • /
    • 제64권2호
    • /
    • pp.239-252
    • /
    • 2018
  • Many critics on William Faulkner's As I Lay Dying have read Addie Bundren as the disrupter of patriarchal power. By raising a question about the usefulness of language, which is the symbolic power of patriarchy and having an affair with the preacher Whitfield outside her wedlock, Addie directly challenges patriarchal power. From a quite different vantage point, however, we can read Addie as the faithful protector of the norm of whiteness in the South in light of the social hierarchy. As a former school teacher, Addie is from middle class before her marriage. By her marriage to Anse, who is a lower-class white, Addie has class anxiety that her social status in the stratum of whiteness could be degraded from a middle to a lower-class white, "white trash," which means that she is not white enough to be considered as the normative whiteness. Especially, Addie's anxiety increases due to the fact that her lazy husband is reluctant to work and relies on her neighbors, causing her family to be entrapped at the bottom in the stratum of whiteness. Therefore, she decides to take revenge on her husband after giving birth to her second child Darl by asking Anse to bury her dead body in her familial burial site in Jefferson. By rendering her family to suffer the hardship during her funeral procession, not only does she succeed in taking revenge on Anse on the surface, she regains her social status as a middle-class white by being buried in Jefferson fundamentally.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 양일호;최현;임성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0
    • /
    • 2014
  •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 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손자녀 양육이 조부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on the Association between Grandparenting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Grandparents)

  • 송시영;전혜정;주수산나
    • 한국노년학
    • /
    • 제40권3호
    • /
    • pp.459-475
    • /
    • 2020
  • 본 연구는 손자녀가 있는 조부모를 대상으로 손자녀 양육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이 주관적 건강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4차년도(2012년)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었다(N=650). 또한 손자녀 양육에 참여한 조부모와 참여하지 않은 조부모의 선택에서 무작위성을 보장하기 위해 Coarsened Exact Matching(CEM) 방법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종속 변수는 우울감이며, 독립 변수는 손자녀 양육, 조절 변수는 주관적 건강상태이다. 통제 변수로는 교육 수준, 연령, 가구 소득, 성별, 결혼 상태, 삶의 만족도를 투입하였다. STATA 13.0를 이용하여 CEM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매칭 한 후에 가중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호작용항 해석을 위해 Simple slope analysis와 Region of significance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주관적 건강이 보통 이상으로 높다고 응답한 조부모의 경우에는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부모들이 참여하지 않는 조부모들보다 우울감이 낮았다. 반대로 주관적 건강이 낮다고 응답한 조부모의 경우에는 손자녀 양육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손자녀 양육을 하는 조부모에게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고려가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부자가족 아버지의 자녀 양육 자원에 대한 사례연구: 이혼한 남성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Parenting Resources of Fathers in Single-Parent Families: Focusing on Divorced Man)

  • 이만수;박정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4호
    • /
    • pp.1-13
    • /
    • 2022
  • 본 연구 목적은 부자가족 아버지의 양육경험을 탐색하고 부자가족 아버지의 양육경험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양육의 자원과 지지체계를 심층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결혼 이후 이혼하여 재혼하지 않고 홀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 5명이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 간 연구를 통하여 2개의 주제, 5개의 범주, 1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부자가족 아버지의 양육 경험과 이로 인한 양육 자원이 도출되었다. 부자가족 아버지가 경험한 양육의 경험으로는 첫째, 이혼 이후 갑작스러운 양육으로 인하여 '양육 초기의 심리적 혼란'이 나타났으며 둘째, 양육으로 인하여 '위태로운 가족의 생존'의 위기를 경험하였다. 부자가족 아버지가 가진 양육의 자원으로는 첫째, 직장, 지인, 기관, 정부를 통한 '사회적 자원'이 양육을 지속할 수 있는 지지체계가 되었다. 둘째, 형제들과 부모들과 같은 '가족적 자원'이 자녀 양육을 지속할 수 있는 자원이었다. 셋째, '내적 자원'으로 부자가족 아버지가 양육을 통하여 경험하는 책임감, 만족감과 같은 심리적 자원들과 함께 자녀의 존재가 양육을 지속할 수 있는 주요 자원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홀로 자녀를 양육하는 부자가족 아버지가 겪는 양육의 경험 속에 나타난 양육의 지지체계와 자원 등을 기술하였고, 이를 통해 부자가족 아버지 상담의 실천적 방안과 교육 개입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중·고등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ing stress factors and the copying strategie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rais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 황해영;이미정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15-42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자녀양육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 발생요인과 이에 따른 대처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지역에서 중·고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7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스트레스 발생요인에는 개인요인, 가정요인, 사회적요인 그리고 문화적응요인이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 발생요인별 대처방안을 살펴보면 그들은 개인요인의 자기효능감에서 문제중심적인 대처를 하지만, 부모역할관에 있어서는 정서중심적인 대처를 하고 있었다. 또한 가정요인인 자녀의 활동성과 사회성은 자녀들의 학교생활적응과 엄마의 양육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며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대처방안을 나타냈다. 사회적 요인에 있어서 그들은 시댁의 사적 지지체계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문제중심적 대처방안을 사용하였고, 친정을 통해 정서적 위로를 받는 등 정서중심적 대처방안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문화적응요인인 주변의 시선이나 편견에 대해서는 회피, 무시, 망각 등을 드러냈고 이러한 요인에 대해서는 정서중심적인 대처를 하고 있었다.

부모 됨의 의미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 (The Meaning of Parenthood and Christian Educational Care)

  • 이정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49-70
    • /
    • 2022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사회와 한국교회가 직면하게 된 저출산 시대라는 위기와 변화를 기독교 교육적 돌봄을 통한 대응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사회와 교회에 현실이 된 인구절벽, 저출산 문제를 하나님의 축복으로 임신과 출산 그리고 부모됨에 대한 의미를 성경적 측면에서 대안을 찾고자 함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저출산 시대에 부모가 된다는 부모 됨은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지만, 한편으로는 행복과 기쁨을 준다. 부모가 된다는 것은, 하나님의 축복이고, 일생에 가장 중요하고 가치 있는 일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부모가 되는 것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권리와 필요성을 강조한다. 핵가족화와 자녀 수의 감소, 그리고 아동 연구 발달 등으로 인해서 부모들은 어느 때보다 자녀 양육에 대한 많은 책임감과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부모가 되는 시기를 연기하거나 자발적으로 자녀를 갖지 않는 사람들도 점자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론 및 제언 : 따라서 자녀 양육에 대한 책임감 저하로 인한 부모 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을 따라서, 기독교 교육적 관점에서 결혼과 임신과 출산 그리고 양육에 대해서 조명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부모 됨의 인식과 이해 그리고 자녀 출산 및 양육의 특징을 파악하고, 과거와 현재의 가치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원인을 논의와 저출산 해결을 비롯한 전반적인 육아 양육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돌봄을 제공하고자 한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caring their grandchildren)

  • 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212-223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dd to the developing knowledge base about the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involved with caring grandchildren, and to examine wheth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ir burden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grandmothers. A convenience sample of 102 grandmothers was recruited from five collective apartment areas at a small city in Korea. The criteria of selection of sample were that the grandmothers were raising their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36 months for 3 months or longer at own or gandchildren's home. The instruments used were a 15-item multidemensional burden scale and a 8-item social support scale. Both scales were self report, five point Likert type scales. The higher the score, the higher the degree of burden and social support. Data was collected by two prepared research assistants visiting subjects' home from December 10, 1998 to March 20, 199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mean,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omputed by SPSS softw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age distribution of grandmothers, the over half of subjects(58.8%) were under 60 years old. The majority(69.6%) of subjects were married at time of data collection. 79(77.5%) of the sample reported that their perceived health status was good or over. 2. The burden of the grandmothers was not scored high, and the item means on burden scale were ranged from 2.26 to 4.19 out of 5. 'Short of private time'(4.19) ha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fatigue'(3.92), 'short of rest'(3.75), and 'short of contact with friends and neighbors'(3.62). The lowest item was 'family doesn't help me'(2.26), and followed by 'family doesn't understand me'(2.33), 'angry with family' (2.43), and 'angry while caring for grandchild'(2.60). 3.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burden and present health status(p<.01), childcaring confidence(p<.01), and motive of caring(p<.01). 4. The score of social support, was ranging from 3.61 to 4.01 out of 5. 5.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correl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γ= - .2833, p<.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burden was not high and burden of grandmothers caring grandchildren was correlated negatively to social support.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burden of grandmothers.

  • PDF

The development of a taste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ers and evaluation of a program by parents and childcare personnel

  • Shon, Choengmin;Park, Young;Ryou, Hyunjoo;Na, Woori;Choi, Kyungsu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5호
    • /
    • pp.466-473
    • /
    • 2012
  • The change in people's dietary life has led to an increase in an intake of processed foods and food chemicals, raising awareness about taste education for preschoolers whose dietary habits start to grow.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nd childcare personnel after developing a taste education program and demonstrating it in class. A part of the curriculum developed by Piusais and Pierre was referred for the program. After educating 524 preschoolers in child care facilities in Seoul,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rogram.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frequency after collecting the data. Mean ${\pm}$ SD used to determine satisfaction with taste education, with preferences marked on a five-point scale and the alpha was set at 0.05. The program includes five teachers' guides with subjects of sweetness, saltiness, sourness, bitterness and harmony of flavor, and ten kinds of teaching tools. For the change in parents'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aste education based on five-point scale, the average of $4.06{\pm}0.62$ before the program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4.32{\pm}0.52$ (P < 0.01). Regarding the change in the preferences for sweetness, saltiness, sourness, and bitterness, the average has increased to $3.83{\pm}0.61$, $3.62{\pm}0.66$, $3.64{\pm}0.66$, and $3.56{\pm}0.75$ respectively. In an evaluation of instructo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average scores for education method, education effect, education contents and nutritionists, and teaching tools were at $4.15{\pm}0.63$, $3.91{\pm}0.50$, $4.18{\pm}0.50$, and $3.80{\pm}0.5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eed for a continuous taste education scored $4.42{\pm}0.67$. This program has created a positive change in preschoolers' dietary life, therefore the continuation and propagation of the tast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아동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과 환아부모와의 파트너십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Nurse Parent Partnership in Pediatric Nurses)

  • 조은주;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94-101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가 스스로 지각하고 있는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이러한 인식이 실무영역의 중요 인자인 아동간호사-부모 파트너십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여 아동간호사의 실무환경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1개 대학병원 어린이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서, 해당병동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를 표적모집단으로 하여, 그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4월 9일부터 18일까지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 환아부모와의 파트너십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아동간호사-환아부모 파트너십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 아동간호사-환아부모 파트너십에 각각 영향을 주는 아동간호사의 일반적 특성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간호실무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외국의 경우에도 연구된 바가 거의 없는 아동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조사한 것, 이들과 아동간호사-환아부모 파트너십과의 관계를 밝힌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간호사의 실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아동간호 실무현상영역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경험과 정신건강: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Work-family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of dual-earner couples: Actor effects and partner effects)

  • 조규영;김신경;전효정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3-73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relationships among dual-earner couple's work-family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using APIM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Method: Using the 7~8th (2015) wave of 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tudy included 606 couples raising children who are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ults: The result 1 shows relationships between work-parenting gains and depression/life-satisfaction (Model 1 & Model 2). In Model 1, wives' level of work-parenting gains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of their own nor of their spouse. However, husbands' level of work-parenting g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depression of their own. In Model 2, wives' level of work-parenting gains was associated with life-satisfaction of their own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life-satisfaction of their spouse. However, husbands' level of work-parenting g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life-satisfaction of their own. The result 2 shows relationships between work-parenting strains and depression/life-satisfaction (Model 3 & Model 4). In Model 3, wives' level of work-parenting str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depression of their own. In addition, husbands' level of work-parenting str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depression of their own. In Model 4, wives' level of work-parenting strains was associated with life-satisfaction of their own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life-satisfaction of their spouse. However, husbands' level of work-parenting str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life-satisfaction of their own. Conclusions: These findings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using dyadic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