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 tube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34초

폐흡충증으로 인한 대량 기흉 (Massive pneumothorax resulting from paragonimiasis)

  • 임우희;김수완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25-28
    • /
    • 2020
  • The prevalence of pulmonary pargonimiasis in Korea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due to develop of the public health, and there have been few clinical cases of paragonimiasis infections, especially in pneumothorax. A 22-year-old man referred to emergency department for dyspnea and chest pain. The right lung was totally collapsed on a chest X-ray. We emergently performed a closed thoracostomy with a 28-Fr chest tube. However, the air leak from the chest tube persisted for three days after the closed thoracostomy. A chest computed tomography showed multiple subpleural consolidative nodular lesions and mixed ground-glass attenuation nodules. We potentially suspected a secondary pneumothorax resulting from pulmonary paragonimiasis infection because the patient was a Chinese man who was working at a Korean restaurant. We decided to perform a medical treatment instead of pulmonary wedge resections. The air leak was discontinued three days after the prescription of praziquantel. The patient was discharged nine days after the admission. We suggest that anti-parasitic drugs are very effective in the secondary pneumothorax resulting from paragonimiasis.

폐실질내 기형종 -1례 보고- (Intrapulmonary teratoma -Report of a case-)

  • 박도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1호
    • /
    • pp.158-162
    • /
    • 1989
  • This paper reports a case in a 16-year-old female of intrapulmonary teratoma located in the right upper and middle lobes of the lung. The initial symptoms were high spiking fever, cough and chest pain. Initial chest X-ray revealed large homogenous mass in the right upper and middle lung fields. So intercostal tube drainage was done under the impression of the lung abscess. But mass density was remained on the follow-up chest X-ray, the patient had resection of the right upper and middle lobes of the lung. The gross and microscopic findings of the resected specimen revealed characteristic findings of the intrapulmonary teratoma. The patient is asymtomatic at present and living a normal life.

  • PDF

Extensive Tension Pneumocephalus Caused by Spinal Tapping in a Patient with Basal Skull Fracture and Pneumothorax

  • Lee, Seung-Hwan;Koh, Jun-Seok;Bang, Jae-Seung;Kim, Myung-Ch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5권5호
    • /
    • pp.318-321
    • /
    • 2009
  • Tension pneumocephalus may follow a cerebrospinal fluid(CSF) leak communicating with extensive extradural air. However, it rarely occurs after diagnostic lumbar puncture, and its treatment and pathophysiology are uncertain. Tension pneumocephalus can develop even after diagnostic lumbar puncture in a special condition. This extremely rare condition and underlying pathophysiology will be presented and discussed. The authors report the case of a 44-year-old man with a basal skull fracture accompanied by pneumothorax necessitating chest tube suction drainage, who underwent an uneventful lumbar tapping that was complicated by postprocedural tension pneumocephalus resulting in an altered mental status. The patient was managed by burr hole trephination and saline infusion following chest tube disengagement. He recovered well with no neurologic deficits after the operation, and a follow-up computed tomography (CT) scan demonstrated that the pneumocephalus had completely resolved. Tension pneumocephalus is a rare but serious complication of lumbar puncture in patients with basal skull fractures accompanied by pneumothorax, which requires continuous chest tube drainage. Thus, when there is a need for lumbar tapping in these patients, it should be performed after the negative pressure is disengaged.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한 자연기흉의 치료시 국소적 Fibrin Glue 도포 (Surgical Treatment of Spontaneous Pneumothorax by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 with Fibrin Glue)

  • 신화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0호
    • /
    • pp.812-816
    • /
    • 2000
  • Background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ibrin glue to decrease recurrence in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VATS) for a treatment of spontaneous penumothorax. Material and Method : All medical records of 17 patients who underwent a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s of bullae with stapling device with Fibrin glue in our institute between May 1998 and December 1999 were reviewed. variables analyzed include affected sites primary indication of VATS. duration from admission to discharge duration of postoperative stay duration of chest tube drainage recurrence and complication. There were 16 men and 1 woman. Result : There was no evidence of hemodynamic instability or arterial blood gas abnormalities encountered during the procedure. Mean age at the time of the VATS was 26.9 years (range 15 to 61 years) The mean duration from admission to discharge was 7.8 days and mean postoperative stay was 5.1days mean chest tube indwelling period was 4..0 days. There was no recurrence of pneumothorx. Conclusion : Thoracoscopic wedge resections with introduction of fibrin glue are safe and effective and requires only a short hospital stay. We believe that this thoracoscopic technique will further simplify the surgical treatment of pneumothorax.

  • PDF

진폐 정밀/요양기관과 요양기관의 흉부 방사선분야 정도관리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ontrol for Chest Radiography between Special Examination and Medical Institution for Pneumoconiosis)

  • 이원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22-330
    • /
    • 2011
  • 전국 33개 진폐요양기관 흉부 방사선분야 정도관리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정밀/요양기관(17개)과 요양기관(16개)에 대해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진폐정도관리 평가표를 이용하여 촬영기술, 판독환경 및 화질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촬영기술과 판독환경은 연구자가 직접방문하여 평가하였고, 화질평가는 각 진폐 요양기관에서 보내온 영상을 기관마다 10장씩 무작위추출하여 2명의 흉부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영상에 대한 어떤 정보도 모르는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정밀/요양기관과 요양기관 사이, 흉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성능, 사용기간, 촬영방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단순 흉부 촬영조건에서 관전압과 그리드 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촬영기술과 판독환경평가에서는 정밀/요양기관이 요양기관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화질평가에서도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진폐합병증이 있는 요양환자의 신뢰성있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요양기관의 흉부 방사선분야 정도관리 향상을 위한 외부평가 및 교육이 필요하다.

방사선촬영실 감염 방지를 위한 에니오설프의 소독효율 연구 (Research on ANIOS Disinfection Efficiency to Prevent Infection in Radiography Room)

  • 정우찬;안기송;양은주;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5-61
    • /
    • 2021
  • 방사선 촬영실은 감염원을 지닌 환자와 간접적인 접촉이 빈번하게 일어나 2차 감염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흉부 X선 촬영을 대상으로 방사선사와 환자가 빈번하게 접촉하는 부위를 4급 암모늄세정제 중 하나인 에니오설프(ANIOS, ANIOSURF Premium NPC)를 이용하여 소독 전, 후의 미생물을 채z취한 후 비교하였다. 2020년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대구광역시 P병원을 대상으로 X-ray tube handle, Chin rsgion, Chest region, Palm region을 수송배지(TransystemTM, Copan Diagnostics Inc., Murrieta, CA, USA) 내의 멸균면봉을 사용하여 10×10㎠ 크기로 채취한 후 비색법을 통해 소독 전, 후 동정결과를 획득하였다. 그 결과 X-ray tube handle의 경우 Proteus mirabilis, Staphylococcus epidermidis, Bacillus spp., Candida spp이 검출되었고, Chin region의 경우 Proteus mirabilis, Enterococcu faecium, Pseudomonas aeruginosa, NTM이 검출되었고, Chest region의 경우 Proteus mirabilis, Enterococcu faecium, Pseudomonas aeruginosa이 검출되었고, Palm region의 경우 NTM, Candida spp.이 검출되었으며 공통적으로 103 CFU(Colony Forming Unit) 이상이 측정되었다. 소독 후 Chest region, Palm region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X-ray tube handle에서만 Bacillus spp.이 검출되었으며 102 CFU 이상이 측정되었다. 소독 전 검출된 미생물은 대부분 기회감염균의 일종으로 소독 후 이러한 미생물의 수가 줄어들거나 제거되는 것을 통해 에니오설프(0.25%)는 에탄올(ethanol, 70~90%)와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70~90%)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경제성과 유사한 소독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소독 후 Bacillus spp.가 검출됨에 따라 아포균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방사선 검사실 내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재고하였으며 병원 내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 CT 촬영시 방사선 피폭과 저감화 방법 (Medical Radiation Exposure in Children CT and Dose Reduction)

  • 이정근;장성주;장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56-363
    • /
    • 2014
  • 소아 CT 촬영시 피폭선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건을 찾기 위하여 pediatric phantom을 이용하여 소아 방사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관전류변동제어(tube current modulation:TCM) 방식과 low dose CT protocol(LDCTP)에 따라 소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검사는 brain, chest, abdomen-pelvis 부위를 전산화 단층촬영 장치를 이용한 3개의 검사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거의 모든 MDCT 장치는 volume CT dose index(CTDIvol), dose length product(DLP)와 유효선량 평가 결과를 기록, 보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환자들의 방사선 노출 및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이다. 방사선 노출 위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적정화 및 정당화 원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관전압(kV)에 따른 TCM 방식을 사용하였을 경우 kV가 낮아질수록 유효선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low dose CT protocol을 사용한 경우가 유효선량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균 유효선량은 brain, chest, abdomen-pelvis CT의 결과가 독일의 reference dose 보다 각각 47%, 13.8%, 25.7%로 더 낮게 나타났고. 영국의 reference dose와 비교해도 55.7%, 10.2%, 43.6%에 불과했다. 결론적으로 선량 감소를 위해 주의할 것은 body-weight based tube current adaption을 포함한 TCM, 그리고 LDCTP 등 모든 선량 감소 방안을 이용하여야 한다.

진행성 식도암의 Celestin`s tube 를 이용한 고식적 치료 (Palliative Treatment with Celestin`s tube in Advanced Esophageal Cancer)

  • 백광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3호
    • /
    • pp.529-533
    • /
    • 1985
  • Though esophageal cancer was not a common disease, early metastasis and direct extension to adjacent organ were important on the treatment of disease. Therefore, palliative operation was often useful in advanced esophageal cancer. Between June 1985 through July 1985, we treated three cases of inoperable esophageal cancer with Celestin`s endo-esophageal tube by esophageal intubation. Three operations were done under general anesthesia. Celestin`s tube were inserted via oral cavity and additional traction on stomach were applied. After complete insertion of tube was done, the distal end of Celestin`s tube was modified in length. Also stay suture was applied between tube and stomach wall was applied. Postoperative esophagogram revealed good esophageal patency through Celestin`s tube. Clinically, swallowing difficulty was much improved after operation.

  • PDF

자연 기흉의 치료에서 8 French 도관삽입의 치료 효과에 대한 장기적 관찰 (The Long-term Follow-up Study of Therapeutic Effects of 8 French Catheter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 신종욱;이병훈;안창혁;최재선;유지훈;임성용;강윤정;고형기;김재열;나문준;박인원;손동섭;최병휘;허성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94-1104
    • /
    • 1997
  • 연구배경 : 자연 기흉은 기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자연 기흉과, 결핵이나 만성폐쇄성 폐질환에서 발생하는 속발성 자연기흉으로 나뉘어지며, 자연 기흉에 대한 치료는 다양하지만 흔히 흉관 삽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흉관삽입법은 특별한 술식과 삽입시 통증, 피하기종, 감염 등의 합병증이 문제되는 바 본 저자들은 흉관에 비해 직경이 훨씬 작은 8 French 도관을 자연 기흉의 치료에 적용했을 때 단기적인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이전 연구에서 확인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의인성 기흉의 치료에 이용되어져 왔던 작은 직경의 도관을 자연 기흉의 치료에 적용하였을 때, 치료 성공후 추적관찰을 통하여 재발율을 조사하여 장기적인 치료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중앙대학교 부속병원 내과와 흉부외과에서 8 French 도관 또는 흉관 삽입법으로 치료받은 원발성 또는 속발성 자연 기흉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기흉의 크기가 가 25% 이상, 기흉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흡곤란이나 흉통이 발생하였을 때, 기흉의 크기가 증가할 때, 다시 재발한 자연 기흉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긴장성 기흉, 혈흉, 화학적 흉막유착술이나 흉강경하 기포절제술을 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임상특성(성별, 연령별, 과거 기흉의 유무, 기흉의 크기, 기저 질환의 유무)을 조사하고 합병증, 유치기간, 의무기록이나 개인적 접촉을 통하여 관찰 후 재발율을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8 French 삽입군과 흉관 삽입군의 추적 관찰기간의 중앙값은 각각 28개월, 22개월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8 French 도관 삽입군과 흉관 삽입군의 대상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성별, 연령별, 기저 질환의 유무, 기흉의 크기의 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원발성 및 속발성을 포함한 자연 기흉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도관 또는 흉관의 유치기간은 8 French 도관 삽입군이 $6.2{\pm}3.8$일로 흉관삽입군의 $9.1{\pm}7.5$일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47). 원발성 자연 기흉을 대상으로 두군을 비교하여, 8 French 도관 삽입군의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은 6.25%로 흉관삽입군의 23.8%에 비해 더 적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0.041 ; one-tailed, p=0.053, two-tailed). 8 French 도관 삽입군과 흉관 삽입군에서 재발율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원발성 또는 속발성 자연 기흉에 대한 치료로 지금까지의 흉관삽입법에 대하여 더 작은 직경의 도관을 삽입하여 치료에 의한 합병증의 빈도를 줄이면서, 치료기간을 줄이고 장기적인 재발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다양한 관전압에 따른 CR과 DR 모의병변 흉부 영상의 ROC 평가 (ROC Analysis of Simulated Chest Lesions for Computed Radiography and Digital Radiography at Various Tube Voltages)

  • 조효민;김희중;이창래;정지영;박혜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4호
    • /
    • pp.298-3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관전압 사용에 따른 CR, DR 모의병변 흉부 영상을 이용하여 병변 검출 정도를 ROC 평가하였다. 모의 제작된 미세 폐 병변, 초기 침윤성 병변, 작은 혹 모양의 병변은 아크릴 판을 이용하여 인체형 흉부 팬텀과 포개놓고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CR과 DR에서 각각 3개의 관전압(70 kV, 90 kV, 120 kV) 조건을 사용하였다. 총 18,000개의 관찰결과를 ROC평가 하였다. CR에서는 모든 병변에 대하여 70 kV로 획득한 영상이 높은 $A_z$값을 나타내었으나 DR에서는 두 개 병변에서만 70 kV로 획득한 영상이 높은 $A_z$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검출기 종류와 관심 병변에 따른 최적의 관전압 조건을 사용하기 위하여 실제 환자에서의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