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disaster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3초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한 콘크리트 응결시점 평가 (Setting Time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이한주;임홍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61-369
    • /
    • 2017
  •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로 인해 다양해지는 배합비에 따라, 콘크리트 초기강도 발현 시점을 예측할 수 있는 응결시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콘크리트 응결시간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관입저항시험은 습식체가름을 실시한 모르타르를 이용한 간접적인 측정법으로, 현장 타설된 콘크리트의 정확한 응결시간을 나타내기 어렵다. 따라서 콘크리트에 직접 측정이 가능한 초음파 속도 측정법, 수화열 측정법, 전기 임피던스 측정법 등 다양한 비파괴 평가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화 반응에 따른 시멘트계 재료 내부 전기전도성 변화를 측정하는 4-전극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전기 비저항 측정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양한 배합비에 따라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콘크리트의 전기 비저항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배합 후 24시간 측정결과로부터 초기 전기비저항 값과 전기비저항 상승시기를 측정 변수로 제안하였다. 또한, 관입 저항 시험에 따른 초결, 종결 시점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응결시점 평가를 위한 제안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레이저 유도형광분광기에서 고정밀 전하장치를 이용한 304 스테인레스 스틸의 코팅과 특성 (The Characterization and Coatings on 304 Stainless Steel by Laser Induced Fluorescence Spectroscopy using the High Resolution Charge Coupled Device)

  • 김기준;이주엽;성완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85-390
    • /
    • 2016
  • 연구에서 나노 알루미나와 마그네지아의 첨가에 의한 304 스테인레스 스틸에 $170^{\circ}C$ 2시간 열 경화시켰다. 레이저유도 분광학에 의한 코팅된 시료를 전하결합 장치와 SEM을 활용한 장치를 설계하여 시험 측정하였다. 이 결과 나노 알루미나와 마그네지아가 함유된 세라믹 코팅이 나노 무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보다 부착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였으며, 또한 산용액속에서 시료의 질량감소의 변화가 매우 작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304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부식성을 개선하기 위해 시료가 코팅되었으며, 분석공정이 설계되어 고분해능 CCD와 함께 분석되었다. 요즈음, 스테인레스 스틸의 코팅은 산업에 특이응용이 발전됨에 따라 위생학, 우주항공, 기기장치, 관측 등의 분야 등에 산업적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구미 불산 누출사고로 인한 주변지역 환경영향권 설정에 관한 연구 (Defining Area of Damage of 2012 Hydrofluoric Acid Spill Accident in Gumi, Korea)

  • 고도현;김정수;최경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7-37
    • /
    • 2014
  • Objectives: On September 27, 2012, leakage of anhydrous hydrofluoric acid occurred in a chemical plant in the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Following the accident, local factory workers and residents complained of abnormal health conditions. In addition, visual discolorations were widely observed in crops and trees in surrounding areas. The main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area that was affected by the spill using data obtained from plants, soil, and water samples after the accident. Methods: Fluorid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in pine tree needles, soil, nearby streams, ponds and reservoirs collected from an area within a radius of three kilometers from the plant where the leak occurred. Fluoride concentrations in the air at the time of leakage were then estimated from fluoride concentrations that were measured in the pine tree needles. A Kriged map was developed to describ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ydrofluoric acid at the time of the leakage and was compared with the area designated as a Special Disaster Zone by the government. Results: The Special Disaster Zone did not include all the affected area that was estimated by the Kriged map. Analytical results of the environmental samples also supported this discrepancy. Conclusion: Using plants,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fluoride at the time of the leakage could be estimated. For the area that was identified as affected, further public health risk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should be considered. Also, in the absence of air monitoring at the time of leakage, studies employing plants may be conduct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patial extent and severity of the contamination.

압전필름의 진동을 활용한 터널배수재 유지관리 성능 개선 (Enhancing maintenance performance of tunnel drainage using vibration from polyvinylidene fluoride(PVDF) film)

  • 신진화;문준호;송영갑;김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22-826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터널 시공 시 터널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미세입자의 흐름과 이에 의한 물리/화학적 폐색현상에 따른 터널배수재의 성능저하를 PVDF film의 진동을 이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실내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에서 터널로 유입되는 미세입자 슬러리 유입의 터널 환경을 모사하여 진행하였고 PVDF film을 이용한 기초 실험과 배수재를 모사한 모형실험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기초 실험에서는 PVDF film에 50% 함수비(민물과 바닷물)의 점토를 흘려 주파수별 점토 슬러리의 흐름특성에 대한 효율성을 고찰하였으며 배수재 모사 실험에서는 배수관에 부직포를 부착시켜 슬러리의 흐름과 막힘 현상 해소에 대한 진동 효과를 고찰하였다. 실험결과는 진동에 의한 배수재의 배수성능, 즉 슬러리의 흐름과 막힘 해소현상이 아주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배수관을 기존 배수재와 융합, 응용, 활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배수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확립하였다.

페놀 컴포지트 실용화의 길 - 영국의 경우 (CASE STUDY 7) (How Phenolic Composites were chosen - In Case of England (7))

  • Nomaguchi Kanemasa;Forsdyke Ken L.
    • Composites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55-66
    • /
    • 2005
  • 페놀 컴포지트(이하 PC라 약칭)의 실용화에 대해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실용화 한 $\lceil$영국의 경우$\rfloor$에 대해서 본보고서를 포함해서 합계 7편을 보고했다. 제1$\~$2편은 런던 지하철 화재사고 대책을 중심으로 세론과 행정 측의 민첩하고 신속한 대응이 시민에게 $\lceil$검은 연기와 유독가스의 화재사고$\rfloor$를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lceil$안전$\rfloor$을 보장한 이야기를 2회 보고했다. 제3$\~$4편은 선박$\cdot$주정, 해상 오일리그 등 역시 $\lceil$화재가 발생하면 도피하기 어려운 장소$\rfloor$에서의 실용화 상황, 제5편은 그 응용으로써 $\lceil$건설$\rfloor$ 특히 $\lceil$건축$\rfloor$ 용도에서의 실용화에 대해서 영국사회의 노력을 서술했다. 그리고 제 6편과 본편에서는 그 실용화 과정에서, 지금까지 겪은 시행착오의 기술적인 기초 데이터의 수집과 초기 실적과정에서의 어려웠던 이야기를 서술한다.

산업재해 안전을 위한 New Austria Tunnel Method 수지에서 빔산란에 관한 Monte Carlo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nte Carlo Simulation by Beam Scattering in Resin of New Austria Tunnel Method for Safety of Industrial Disaster)

  • 김기준;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73-479
    • /
    • 2012
  • 혼탁매질에서 산란체와 흡수체의 영향은 빛산란에 의해 파장에 대한 산란세기로 설명된다. New Austria Tunnel Method의 수지에 대한 산란의 분자특성들은 연구하기 위해 Monte Carlo Simulation하였다. 이는 산란매질에서 광학적 파라미터들(${\mu}_s$, ${\mu}_a$, ${\mu}_t$)에 의해 조사되어 그들의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산란매질에서 광자에 대한 빛분포에 의한 결과는 광원에서 검출기까지 거리가 가까우면 산란이 증가하여 산란세기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강구조물의 내구성을 위한 코팅과 부식에서 좋은 모델을 디자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ctivity-Action Diagram 기법을 활용한 한국형 화생방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CBRN Response Training Program in Korea Using Activity-Action Diagram Method)

  • Ham, Eun-Gu;Kim, Tae-Hwa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59-169
    • /
    • 2014
  • 과학기술의 발달은 문명의 편리성을 동반하였으나 더불어 원자력 및 가스 등의 폭발, 유출사고 발생 그리고 세계각지에서 화생방 테러 발생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총괄적 대응노력이 국가적으로 시급한 과제로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과 캐나다의 CBRN 교육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CBRN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한국형 화생방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Activity-Action Diagram 기법을 활용 화생방 시나리오의 각 이벤트별로 대응 시 취해야 할 요구사항을 Activity로 정의하고 이의 세부적인 조치사항을 Action으로 정의하여 화생방 상황에 맞는 행동을 정의하여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화생방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서 예방, 대응, 구조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특히 CBRN 사태발생시 초기대응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통합관리 연구 (Study of the Intergrated Management for Business Handling Hazardous Chemicals)

  • 김성범;박춘화;안성용;김정민;천광수;노혜란;석광설;윤이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59-265
    • /
    • 2013
  •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서는 화학물질의 제조 수입부터 판매 사용 배출 전과정에 대한 감시제도를 두어 화학물질의 불법적인 유통을 방지하고, 적정관리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부처별 점검체계가 다양하고, 점검기관도 지자체 환경청으로 이원화되어 있어 정보의 공유와 업무의 연계성 유지가 어렵다.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현재의 관리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업장관리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밀폐된 구획실의 체적변화가 최대 열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Volume Change in a Closed Compartment on Maximum Heat Release Rate)

  • 윤홍석;남동군;황철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5호
    • /
    • pp.19-27
    • /
    • 2017
  • 밀폐된 구획실 화재에서 화원의 면적 및 위치, 화재성장률, 구획 체적의 변화가 열발생률을 포함한 주요 화재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었다. 이를 위해 닫힌 개구부가 적용된 ISO 9705 화재실을 대상으로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활용한 화재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주요 결론으로서, 화원의 면적 및 위치의 변화는 최대 열발생률, 총 열량, 상층부의 최대 온도 및 화학종 농도를 포함한 구획 내의 열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화재성장률과 구획 체적의 증가는 최대 열발생률 및 총 열량의 증가를 가져오며, 한계산소농도의 감소 및 최대 CO 농도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마지막으로 화재성장률과 구획 체적의 함수로 표현된 최대 열발생률의 상관식을 도출하여, 밀폐된 구획실 화재에 대한 화재성장곡선의 적용을 위한 방법론이 제안되었다.

유기탄소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분광학적 특성인자 분석 (Analysis of Optical Properties of Organic Carbon for Real-time Monitoring)

  • 유영민;박종관;이병준;이승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44-354
    • /
    • 2021
  • Optical methods such as UV and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s can be applied not only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but also in real-time quantitative DOM monitoring for wastewater and natural water. In this study, we measure the UV254 and fluorescence excitation emission spectra for a sewage treatment plant influent and effluent, and river water before and after sewage effluent flows into the river to examine the composition and origin of DOM.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quantified DOM characteristics and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was conducted. Based on the fluorescence excitation emission spectr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tein-type tryptophan-like DOM was the dominant substance in the influent, and that the organic matter exhibited relatively more humic properties after biological treatment. However, DOM in river water showed th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humic-like and algal tyrosine-like (protein-like) organic matter. In addit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DOC and optical indices such as UV254,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protein-like and humic-like organic matter, then DOC prediction models were suggested for wastewater and river monitoring during non-rainfall and rainfall events.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tha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ribution of DOC concentration by DOM components, and can be used for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management in wastewater and natural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