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ck-List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8초

전시사업관리 프로세스 및 수행체계구성에 관한 연구 - I (A Study on the Exhibition Management Processes and Executing System Organization - I)

  • 홍승일;손재호;고재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28-136
    • /
    • 2010
  • At present, the Korean display industry lacks significantly in qualitative achievements when compared to quantitative achievements. Of course, there are various system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s of display design organizing methods, production, and installing methods through som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display, but it is true that the wholistic management through display business management process which is prerequisite for this field is now considered yet. This has led to consistent and repetitive limitations, although many have undergone numerous trials and errors, along with related conflicts during implementing display business. Accordingly, organizing process and system for display business management field is the most field to be studied in order to not follow suit of the existing problems and look back on the failure factors of past display business. This study is focused on studying stage-to-stage research on organizing process and system for display business management, and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a more efficient management which can be realized during future business implementation for display culture facilities.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for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display business, the role of display business management is crucial, and the related need for display business management operations was proved. Second, the viability of 'Check-List for examining displaying product designs, production and installment' was verifi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additional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examining check-list. Finally, third, the analyzing process of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facilities according to justifiable analysis factor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corning up with subjective facts which can be known through naked eyes. Thus, the necessity for additional researches which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found.

건축물 전동셔터 사례 분석을 통한 추락방지 체크리스트 제안 (Suggestion of a Check List to Prevent Fall Incidents Through Case Analysis of Electric Shutters in Buildings)

  • 정영민;방홍순;김옥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9-268
    • /
    • 2022
  • 건축물 전동셔터는 국·내외에서 주기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회사, 소방서 등 다양한 건축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건축물 전동셔터의 다양한 기능적인 부분에는 안전을 위협하는 추락 리스크 요인이 존재하며, 그 요인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국·내외의 기술동향 및 법적기준을 분석하고, 사고사례를 분석하여 관리가 필요한 추락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였다. 추락 리스크 요인을 기준으로 국내의 건축물 전동셔터를 전수 점검하였다. 건축물 전동셔터 132개소를 전수 점검해본 결과, 부적합 부위가 91개소 발견되었으며, 전체의 69%를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전동셔터의 안전을 위해 전수 점검을 기준으로 건축물 전통셔터의 추락방지 체크리스트를 제안하고 표적 집단면접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비만클리닉에 내원한 여성의 심리적 특성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 Obesity Clinic)

  • 박샛별;연규월;우행원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2호
    • /
    • pp.137-148
    • /
    • 2003
  • 연구목적: 비만클리닉에 내원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식이제한 태도 및 우울증상, 스트레스 등 심리적인 문제들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 법: 2001년 5월 한 달 동안 아주대학교병원과 서울 시내에 소재한 비만 클리닉에 내원한 여성 15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신체적 특성,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 Symptom Check List-90-R(SCL-90-R), 스트레스 인지척도 등을 설문 조사하였고 저자가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를 측정하였으며, 이 중 설문지의 답을 충실히 기입한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연구대상 중 체질량지수 $25.0kg/m^2$ 이상인 비만군은 50.0%였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증가하였다(p<0.001). 정상이하 체중군에서 미혼인 경우가 48.8%로 비만군 13.8%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흡연률 및 음주율과 체질량지수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iare는 체질량지수와 체지방과 비교해 볼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Factor 2(Disinhibition)와 Global Severity Index(r=0.27, p<0.01), Factor 3(Hunger)과 Global Severity Index(r=0.24, p<0.01)와는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Symptom Check List-90-R의 각 증상척도는 편집증 척도만이 과체중군과 비만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대상군 모두 Symptom Check List-90-R의 전체 척도가 50점 이하였으나 각 증상척도는 정상이하 체중군과 비만군이 과체중군에 비해 높은 경향이 있었다. Global Severity Index와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r=0.75, p<0.01), Global Severity Index와 스트레스 인지척도(r=0.32, p<0.01) 간에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를 체지방 정도에 따라 정상군과 비만군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비만군에서 우울증상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스트레스의 정도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상군 모두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인지척도가 Factor 2(r=0.29, p<0.01) 및 Factor 3(r=0.37,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스트레스가 식이제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스트레스 인지척도가 Symptom Check List-90-R 중 우울척도, Global Severity Index 및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아 스트레스가 심리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r=0.33, r=0.32, r=0.34, p<0.01). 결 론: 비만한 사람들은 우울을 비롯한 심리적 고통을 더 많이 가지며 스트레스 점수가 높고, 이는 식이제한 태도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비만클리닉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 및 정신과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부호율 적응적 분산 소스 부호화를 위한 극부호의 설계 (On the Construction of Polar Codes for Rate Adaptive Distributed Source Coding)

  • 김재열;김종환;;김상효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0호
    • /
    • pp.3-1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비대칭 Slepian-Wolf 부호화에 극부호를 적용하는 방법을 고려하며, 부호율 적응성을 갖도록 극부호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극부호 기반 분산 소스 부호화에 연속제거 리스트 복호 기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Slepian-Wolf의 한계에 매우 근접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이용한 구현보다 현저하게 향상된 것이다.

중국 미기록 6종을 포함한 장백산의 Plusiinae 나방류(나비목, 밤나방과) (Plusiinae in Mt. Changbai (Lepidoptera, Noctuidae), with Six New Records from China)

  • 한휘림;김대용;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20
    • /
    • 2005
  • 2000-2004년에 걸쳐 수행된 장백산의 나방류 조사결과로 Plusiinae 아과 34종이 분류, 동정되었다. 그들 중 Abrostola ussurienis Dufay, Polychrysia aurata (Staudinger), P. splendida (Butler), Lamprotes mikadina (Butler), Autographa amurica (Staudinger), A. v-minus (Oberthur) 등 6종이 중국미기록 종으로 밝혀졌다. 과거에 보고되었던 Antoculeora ornatissima (Walker), Autographa nigrisigna (Walker), 그리고 Syngrapha hochenwarthi (Hochenwarth)등 3종은 본 조사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새로이 밝혀진 중국 미기록 6종에 대해 성충의 외부특징에 대한 간략한 기술과 그들의 암수생식기를 도해하였다. 장백산에서 보고된 총 37종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개인정보 입력 감지를 이용한 사회공학적 공격 대응방안 (Countermeasure against Social Technologic Attack using Privacy Input-Detection)

  • 박기홍;이준환;조한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2-39
    • /
    • 2012
  •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하고, 이렇게 회원가입을 통해 수집된 개인정보는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의 유출로 이어진다. 특히, 유출된 개인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공격 받고 피해를 입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공학적 공격 방법은 사람의 심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피해를 입기 쉽다. 이러한 공격을 막기 위해 블랙리스트를 이용하여 피싱 사이트를 차단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짧은 생명 주기로, 새로 생성되는 피싱 사이트에 대해서는 대처 할 수가 없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최소화하는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블랙리스트와 화이트리스트 비교를 통해 사이트 신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사이트의 진위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 생성된 사이트에 대해서는 개인정보 입력 감지를 통하여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을 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심리특성과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ymptom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 using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 이태용;김정숙;이혜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71-379
    • /
    • 2015
  • 본 연구는 SCL-90-R을 이용해 측두하악장애 증상과 심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대전과 강원지역의 20-31세 대학생 294명(남자 140명, 여자 54명)을 대상으로 2014년 03월 0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하악 사용과 관련된 구강 내 악습관 중 이갈이와 편측 저작이 측두하악 장애증상의 심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간이 정신진단검사(SCL-90-R) 결과 공포불안(PHOB)를 제외한 항목에서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심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연구대상자들의 심리특성이 측두하악장애 증상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개인적 특성변수를 통제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심리특성 요인중 신체화(SPM) 척도만이 측두하악장애 증상의 심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종별 의무기록 중요서식 항목별 작성 실태 및 의무기록 완결점검표 분석 (A Study on Medical Laws and External Evaluation Criteria with Reference to the Essential Forms consisting Medical Records and to the Items for Each Medical Record)

  • 서순원;김광환;황용화;강선희;강진경;조우현;홍준현;부유경;이현실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6-197
    • /
    • 2002
  • Backgound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andardized format of the clinical sheets and the standardized items of every clinical sheet. The standardization of the medical records will increase the faithfullnes of the contents in them and it will contribute to construct the good health information system. Method : From Jan. 1st. 2001 to March 31st 2001, we gathered as many paper clinical sheets as possible by every class of institutions to review the faithfulness of the clinical contents in them. Clinical sheets of 9 tertiary care hospitals, 6 general hospitals and 56 clinics were gathered. Two experienced medical record administrators reviewed them. The review focus was to check whether the items recommend by the hospital standardization review criteria and hospital service evaluation organization were appeared in the clinical sheets and whether the contents of every item were written. Results : Tertiary care hospitals; In case of administrative data, the contents were filled well if the items were fixed. The clinical data like C.C, history,physical examiniation were filled well, but if the items were not fixed, some items were omitted. The result is that more items are to be filled if they are fixed. General hospitals Administrative data were filled more than 50%. Final diagnosis was filled about 66.7%.But other clinical data were not filled well and not many clinical related items were appeared in the sheets.In the legal point of view, the reason for visiting hosptals or the right diagnosis, patient condition at discharge could not be confirmed well.In surgery cases, surgical procedures could not be confirmed well as many surgical related information(surgery time, fluids and blood, number of sponges, biopsy, etc) were omitted. Clinics More than 70% administrative data were filled and fixed as items. Among the clinical related data, laboratory result was the most credible data. But without the right diagnosis, drug orders were given and doctors' written signatures were not appeared over 96.4%. So the clinical sheets cannot be used as a legal document. Conculusion :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contents were filled well if the items were fixed in the documents, We also suggest a clinical check list to review the completeness and faithfulness of the clinical sheets. If many hospitals use the suggested clincal check list and if they make the necessary items fixed in the clinical sheets, the quality of the medical record will increase dramatically.

  • PDF

PET-CT의 방사선안전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행위와 환경을 중심으로 (Radiation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for PET-CT: Focus on Behavior and Environment)

  • 정진욱;한은옥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140-147
    • /
    • 2011
  • PET-CT 사용에 따른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위적, 환경적 요인을 구체화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론적 설계는 질적조사와 양적조사를 병행한 다단계-다방법론적 접근으로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자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대한핵의학회(2010년) 기준, 국내 설치된 109대 PET-CT 담당 방사선종사자의 응답지 139부이다. 연구도구는 설문지이고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계수는 "방사선방어 환경구비 및 설치의 필요성" 0.818, "방사선방어 행위의 필요성" 0.916, "방사선방어 환경구비 및 설치수준" 0.722, "방사선방어 행위수준" 0.885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환경 및 행위 중심의 방사선안전관리 가이드라인으로 도출된 점검항목은 방사선방어 환경점검으로 환자 5항목, 보호자 4항목, 방사선사 3항목,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8항목으로 총 20항목이 구성되었고, 방사선방어 행위점검으로 환자 12항목, 보호자 1항목, 방사선사 7항목,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6항목으로 총 26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점검목록은 <표 5-6>에 나타나 있다. 국내에서는 PET-CT사용에 따른 방사선피폭을 감소하기 위한 자체적인 안전관리 가이드라인이 부재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이드라인은 국내 실정에 맞고 개입이 가능한 환경과 행위측면에 대해 각 피폭 대상별로 구체적인 점검내용으로 구성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보건관리대행사업장 직업병예방관리 사업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al Study on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 Programme in Small- Medium Sized Industries)

  • 이명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4-114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 programme in small-medium scale industries. The intervention was done in 354 enterprises from July to December in 1993 by health personnels in mobile occupational health center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above achievements were as follows. 1. Total number of enterprises were 354. Among them $66.9\%$ was under 100 workers, $26.6\%$ was u!1der 200 workers, and $6.5\%$ was belong to over 200 workers. The majority manufactures were non-metallic mineral product industries $(11.3\)$ fabricated metal product industries $(11.0\%)$. and textile industries $(10.7\%)$. 2. In 1993, for 350 enterprises were carried out evaluation of workplace environment. A total of $76.3\%$ industries were found to improper showing higher level of hazardous agent than the TLV. Noise and dust are the typical agent of which levels in workplace were high in most of industries. 3. A total 60 cases $(0.8\%)$ of occupational diseases were detected through physical check-up from 7,394 industrial workers in 1993. Detection rate by hazardous agent was highest among workers in relation to dust, and secondly highest to noise. 4. Through the systematic approach by hazardous agent was increased to the monitoring of work condition and follow up care of occupational disease. In future, there should be development in the scaled check list of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