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ck Dam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9초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지하댐 적지분석 (Site Suitability Analysis for Underground Dam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상일;김병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4호
    • /
    • pp.36-44
    • /
    • 2003
  • 전 세계적으로 물부족 사태는 매우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2011년에는 약 18억 $\textrm{m}^3$, 2020년에는 약 26억 $\textrm{m}^3$의 용수부족이 예상된다 지하수는 이러한 문제를 일부 지역에서 해결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지하댐은 위치와 규모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지상댐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하댐 적지분석을 위해 댐건설 지연과 물부족을 겪고 있는 네 지역을 선정하여, 갈등을 해결하고 대안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분석도구인 계층분석과정(AHP)을 작용하였다. 또한 AHP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기존 연구와 비교하였다. 개발된 지하댐 적지분석 방법론은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게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판단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필댐의 3차원 기하 효과에 따른 전기비저항 왜곡 효과 분석 (Analysis of distortion effect of resistivity data due to 3D geometry of fill dam)

  • 오석훈;김형수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58
    • /
    • 2005
  • CFRD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하부에서 매우 낮은 비저항대가 관측되었다. 일반적으로 CFRD 형식의 댐은 내부 포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금번 조사에서 하부 20m 깊이에서 일정하게 저비저항대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검토를 위해 3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탐사 당시의 수위는 댐 정상부에서 10m 정도 내려가 있는 상태였다. 첫 탐사 이후 6개월이 지난 후에 이루어진 탐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조사 댐의 모양을 대상으로 3차원 순산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을 적용하여 기존 해석 방법의 오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비저항 조사가 많이 적용된 중심코아 형 댐의 경우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3차원 댐체 구조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은 저수부의 수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보이며, 3차원의 사다리꼴 기하구조로 인하여 댐 내부에 비저항의 이상대가 존재할 경우에도 그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필댐의 3차원 기하 효과에 따른 전기비저항 왜곡 효과 분석 (Analysis of Distortion Effect of Resistivity Data Due to 3D Geometry of Fill Dam)

  • 오석훈;김형수
    • 지구물리
    • /
    • 제8권4호
    • /
    • pp.211-214
    • /
    • 2005
  • CFRD (콘크리트 표면 차수벽형 석괴댐)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하부에서 매우 낮은 비저항대가 관측되었다. 일반적으로 CFRD 형식의 댐은 내부 포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금번 조사에서 하부 20m 깊이에서 일정하게 저비저항대가 발견되어 이에 대한 검토를 위해 3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탐사 당시의 수위는 댐 정상부에서 10 m 정도 내려가 있는 상태였다. 첫 탐사 이후 6개월이 지난 후에 이루어진 탐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 조사 댐의 모양을 대상으로 3차원 순산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을 적용하여 기존 해석 방법의 오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비저항 조사가 많이 적용된 중심코아형 댐의 경우의 사례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3차원 댐체 구조에 대한 2차원 역산 해석은 저수부의 수위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보이며, 3차원의 사다리꼴 기하구조로 인하여 댐 내부에 비저항의 이상대가 존재할 경우에도 그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수증기댐 처리가 통죽(筒竹)의 송풍오븐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por-dam Treatment on the Air Circulating oven Drying Characteristics of Bamboo Tubes)

  • 이남호;정희석;하야시 카즈오;;;황의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11-16
    • /
    • 2007
  • 본 연구는 통죽의 송풍오븐 건조중 수증기댐 처리가 건조속도 및 할렬과 외주할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재에서 함수율 약 7~8%까지 건조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건조스케줄이 과격할수록 적었으며, 건조소요시간은 건조초기의 건조속도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중 횡단면적 수축율과 통피층의 두께수축율은 모두 비정상적일 정도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무처리재의 경우 건조개시 직후 할렬과 외주할이 발생하였으며, 수증기댐 처리재에서는 약 67% 정도의 건조수율을 기대할 수 있었다. 수증기댐 처리재의 외주할은 건조조건 보다는 수증기댐 처리에 의한 횡단면을 통과하는 수분의 증발 차폐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댐하류의 하천환경 개선 (Improvement of river environment in the downstream reaches of dams)

  • Ozawa, Takashi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21
    • /
    • 2003
  • I introduce the Flexible Dam Operation (FDO) and some of sediment control techniques In dams which are implemented as trials to avoid or reduce environmental impact of dams on the downstream reaches. The FDO is a dam management method to improve river environment in the downstream reaches by means of the flushing flow, the maintenance flow and so on utilizing a vacant portion of capacity for flood control without interrupting prime flood control function during the rainy/typhoon season. It Is suggested by the guideline of the FDO that EDO should be implemented regularly after the trial for about three years. The basic conception of the FDO is described here. The example of excavation of deposited sediments in check dams and placement of sand ana gravel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dams and the example of coordinated sediment flushing are described as some of sediment control techniques in dams. Now they are at the stage of experiment and tria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examples and establish the technical methodology and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method for them.

  • PDF

중국 황토고원지구의 물침식과 대책 (Water Erosion and Its Combating Measures in Loess Plateau, China)

  • 전근우;임영협;오정수;윤택승;박기형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181-192
    • /
    • 2010
  • Water erosion is progressing in the Loess Plateau, especially in gullies, and the sediment runoff to the Yellow River amounts to 975 million tons every year. Natural factors for water erosion include climate, soil, geological feature, terrain and vegetation. Many development projects due to the increasing population reduced the forest coverage ratio to 10%, and 200 million people in the downstream area are suffering from the damage during intense rainfall. Accordingly, the Chinese government is continuously trying to efficiently prevent the erosion by establishing measures for water erosion, including fish-scale pits, terrace technique, and check dams.

강원도 토석류 산사태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of Debris Flow in Gangwon-do)

  • 유남재;전상현;박남선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A호
    • /
    • pp.3-10
    • /
    • 2008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landslides in Gangwon Province through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and analyses and site investigation. As results of data analyses about landslides occurred currently in this province, the landslide in the form of debris flow is found to be 55 %. Therefore major loss and costs are caused by discharge of soil and rock fragments from landslide. From results of analyzing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length of most of landslide is less than 200 m, their width is in the range of 10 - 40 m, most of them are know to be occurred in lower elevation than 400 m. Slope angle is in the range of 25 - 35 degrees. Comparing the period of rainfall intensity with the time of landslide being occurred, occurrence of landslide is quite related to duration of a heavy rainfall. For measures of controlling water flow discharge and debris flow, considering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ground conditions, appropriate selection and building check dam, erosion control dam and ring net is very beneficial for reducing the loss and costs caused by the landslide of debris flow.

  • PDF

무주-장수지역에 적용된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 현장조사 (Field survey of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 in Muju-Jangsu area)

  • 송영석;조용찬;채병곤;김경수;김만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053-1059
    • /
    • 2009
  • In this study,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s for a natural terrain are systematically classified to survey the mitigation methods and develop a data base system. Also, field survey sheets which can be recorded the features of mitigation methods installed in the natural slope are developed. The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s in the natural slope are classified as hillside part method and valley part method. The slope part sheet and the valley part sheet are also drawn up for field survey. As the result of the filed survey of mitigation methods about 50 points in Muju and Jangsu area, grass painting and slope covering methods are dominant in case of slopes part. In case of valley part, slit dam, concrete check dam and slope foot barrier are applied simultaneously.

  • PDF

고랭지 농업의 작물별 객토량 변화에 따른 토양유실 저감 분석 (Analysis of Soil Erosion Reduction Ratio with Changes in Soil Reconditioning Amount for Highland Agricultural Crops)

  • 허성구;전만식;박상헌;김기성;강성근;옥용식;임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5-194
    • /
    • 2008
  • There is increased soil erosion potential at highland agricultural crop fields because of its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te-specific agricultural management practices performed at these areas. The agricultural upland fields are usually located at the sloping areas, resulting in higher soil loss, pesticides, and nutrients in case of torrential rainfall events or typhoon, such as 2002 Rusa and 2003 MaeMi. At the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the soil reconditioning have been performed every year to decrease damage by continuous cropping and pests. Also it has been done to increase crop productivity and soil fertility. The increased amounts of soil used for soil reconditioning are increasing over the years, causing significant impacts on water quality at the receiving water bodies. In this study, the field investigation was done to check soil reconditioning status for potato, carrot, and cabbage at the Doam-dam watershed. With these data obtained from the field investigation, the Soil and Water Assesment Tool (SWAT)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soil loss redu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nd agronomically enough soil reconditioning. The average soil reconditioning depth for potato was 34.3 cm, 48.3 cm for carrot, and 31.2 cm for cabbage at the Doam-dam watershed. These data were used for SWAT model runs. Before the SWAT simulation, the SWAT ArcView GIS Patch, developed by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as applied because of proper simulation of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at the sloping watershed, such as the Doam-dam watershed. With this patch applie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value was 0.85 and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EI) was 0.75 for flow calibration. The $R^2$ value was 0.87 and the EI was 0.85 for flow validation. For sediment simulation, the $R^2$ value was 0.91 and the EI was 0.70, indicating the SWAT model predicts the soil erosion processes and sediment yield at the Doam-dam watershed. With the calibrated and validated SWAT for the Doam-dam watershed, the soil erosion reduction was investigated for potato, carrot, and cabbage. For potato, around 19.3 cm of soil were over applied to the agricultural field, causing 146% of more soil erosion rate, approximately 33.3 cm, causing 146% of more soil erosion for carrot, and approximately 16.2 cm, causing 44% of more soil ero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excessive soil reconditioning are performed at the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causing severe muddy water issues and water quality degradation at the Doam-water watershed. Th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soil reconditioning standard policy for various crops at the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without causing problems agr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표면파 기법에 의한 콘크리트 사방댐의 콘크리트 강도 등급 평가 (Quality Grading of Concrete Soil Erosion Control Dam in the Aspect of Unconfined Concrete Strength by Surface-Wave Technique)

  • 이창우;조성호;박기형;김민식;윤호중;하사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12-425
    • /
    • 2012
  • 산지계곡부의 토석류 유출을 저지하는 콘크리트 사방댐은 콘크리트의 재료 및 시공 불량, 콘크리트의 열화로 인한 내구성 저하, 국부적으로 발생한 균열 등의 이유로 인하여 사방댐의 일부 또는 전체 구조물이 붕괴되어 그 기능을 손실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콘크리트 사방댐의 구조적 문제점과 안전성을 파악하여 사전에 대책을 강구하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방안은 콘크리트 사방댐 구조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비파괴적으로 평가하여 품질등급을 평가하는 것으로, 등급평가 단계에서 비파괴 콘크리트 압축강도 평가를 위해 SASW 기법이라고 하는 표면파 기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SASW 기법을 콘크리트 사방댐의 안정성 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SASW 시험의 현장적용방안, 콘크리트 결함에 따른 자료분석 기법, 평가기준에 대한 제안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적용성과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콘크리트 방댐 5곳에 제안된 표면파 기법의 적용방안을 적용하여 보았다. 그 결과 콘크리트 사방댐의 여러 가지 콘크리트 함에 대해서도 SASW 기법에 의한 품질평가는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에서 제 안한 품질등급 평가 결과는 사방협회에서 실시한 사방댐 점검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