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coal meal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백색 산란계의 단백질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성형 목탄가루, 목초액 및 양조식초 첨가사료의 영향 (Effect of Diets Containing Ground Charcoal Powder, Wood Vinegar and Fermented Acetic Acid on the Protein and Energy Metabolism in White Leghorn Strain Layer)

  • 고태송;최윤석;김동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95
    • /
    • 1991
  • 성형목탄가루 함유사료(CPD)를 급여한 밝은 대조에 비해서 분질소(FN)는 유의하게 (P<0.05)많이 요질소(UN)는 유의하게(P<0.05) 낮게 배설하였다. 단백질 소화율은 88∼92%였으며 대조에 비해서 CPD를 급여하면 유의하게(P<0.05) 낮아졌으나 목초액 또는 양조식초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총질소섭취량(NI)에 대한 요질소(UN/NI)와 흡수질소(AN)에 대한 요질소(UN/AN)의 비율은 대조에 비해서 CPD를 급여하면 유의하게 (P<0.05) 낮아지나, 이에 비해서 목초액 함유사료(PWV)에서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양조식초 함유사료(PFA)에서는 유의하게 (P<0.05) 높았다. 총질소 섭취량에 대한 요산태 질소(UAN/NI) 및 UAN/AN도 대조에 비해서 CPD를 급여하면 유의하게 낮아지나, 이에 비해서 PWV에서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PFA에서는 유의하게 (P<0.05) 높아졌다. 그러나 총질소 또는 흡수된 질소에 대한 암모니아태 질소율은 대조에 비해서 실험사료를 급여하면 일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PPA에서는 유의하게(P<0.05) 높았고, 크레아틴 및 요소태 질소의 배설은 실험사료의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에너지 소화율(DE/GE)은 80∼84%로 실험사료 사이에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대사율(ME/GE또는 MEn/GE)은 대조사료를 급여한 것에 비해서 CPD및 V를 급여하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PFA를 급여한 것에서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ME/GE는 PFA를 급여한 것에 비해서 PWV를 급여한 것에서 유의하게 (P<0.05) 높았고, MEn/GE는 PFA를 급여한 것에 비해서 대조 및 CPD를 급여한 것에서 유의하게 (P<0.05) 높았다. 이러한 대사율의 변화에 미치는 분에너지의 비율은 실험사료에 관계없이 16∼23%가 되었고, 요에너지는 2.3∼3.0%로 적었다. 그러나 대사율에 미치는 실험 사료의 영향은 분에너지의 변화보다는 주로 요에너지 변화에 기인하였고 요에너지 변화는 주로 요산에너지의 변화에 기인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모과(木瓜)가 장운동(腸運動)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f the Intestinal Motility Effects of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and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 최영성;한효상;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3-120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with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and to examine Fructus chaenomelis having an influence on Intestinal Motility. Methods : We compared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with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by observing their effects on Intestinal Motility. Oral administration of water extracts of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and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into albino rats was followed by dealing with carbachol or loperamide, injecting charcoal meal and measuring the moving length in the intestine. Results : By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and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the Intestinal Motility of normal albino rat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and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controled the accelerated Intestinal Motility of albino rats.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was not different from the extracting method,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had effects of control on extracting by methanol significantly. When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was compared with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the former was proved to have control effects on Intestinal Motility in decoction extracts and extracts by ethyl ether higher than the latter. By both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and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the declined Intestinal Motility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Conclusion : Chaenomelis Fructus suppressed the exasperated Intestinal Motility by carbachol, but did not influence the dropped Intestinal Motility by loperamide. In addition, Chaenomelis Sinensis Fructus was more excellent than Chaenomelis Lagenariae Fructus in its control effects of Intestinal Motility. inhibitory effects by DKT represent a potential therapeutic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장기능개선제-신소재(KTG075)의 대장관 내 mucin 2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stinal Function Enhancer (KTG075) on Mucin 2 Secretion)

  • 이유회;백순옥;김현경;류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91-9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장 기능 개선 및 변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식물성 복합추출물인 장기능개선제-신소재(KTG075)의 대장관 내 점액질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특히 대장에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 2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ucin(MUC)은 그 구조에 따라서 여러 아형이 있는데, 아형에 따라서 조직 분포가 다르며 대장에서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의 아형은 mucin 2로서 mucin 2에 대한 항체(Biogenex AM358)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법으로 mucin 2를 관찰 시, 변비유발군에서는 mucin 2(연갈색)로 염색된 세포가 현저히 감소되나 KTG075 투여 시 뚜렷하게 mucin 2의 염색이 증가되었다. 또한 alcian blue 염색으로 점액질층을 관찰 시 점액질 두께도 변비유발군에서는 현저히 감소되었고 KTG075투여군에서는 점액질층이 거의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변비유발군에서의 mucin 2의 생성과 분비가 감소되나 KTG075 투여군에서는 장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mucin 2의 생성과 분비를 증가시켜 장관 내 윤활도가 유지되고 장관 운동을 증가시켜 배변을 용이하게 하여 변비 또는 스트레스 등에 의해 저하된 장 기능을 개선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Culicoides arakawae의 실험실내 colonization (Experimental colonization of Culicoides arakawae in laboratory)

  • 최상호;주후돈;위성환;김기석;박근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71-478
    • /
    • 1993
  • Culicoides arakawae is a kind of the main blood sucking insects of domestic fowls and serves as a vector of Leukocytozoom caulleryi, the causative protozoon of chicken leukocytozoonosis. In this study, the complete life history of C arakawae was cycled by laboratory colonization. Adult midg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poultry farm by light trap. The laboratory colonization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constant temperature of $25{\pm}1^{\circ}C$ and relative humidity of 80% or above. The hatched larvae were cultured in larval medium consisted of rice field mud and activated charcoal powder. The surface of medium was continuously flowed with biologically conditioned water. The fine powder meal composed of pellet feed for mice and equal mount of yeast was supplied for feeding larvae at every 72 hours. The life cycle completed at $25^{\circ}C$ in 35~35 days ; the period of preoviposition, egg. larval and pupal stage was 2~3, 3~4, 28~30 and 3 days, respectively. The measurements of the eggs, the lst instar larvae, the 4th instar larvae and pupae was $36.28{\mu}m{\pm}1.95$, $13.58{\mu}m{\pm}0.72$, $4000{\mu}m{\pm}1.47$ and $219.95{\mu}m{\pm}6.25$ in $mean{\pm}S.D.$, respectively. In order to confirm experimental colonization of C arakawae in laboratory, the colonized adult midges were allowed to suck blood from chicken infected with L caulleryi. The oocysts and sporozoites could be identified in midguts and salivary grands of engorged midges at 72 hours after blood sucking.

  • PDF

새로운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하여 생산된 Erythropoietin의 일반약리작용 (General Pharmacology of Erythropoietin Produced by a New Recombinant DNA Technique)

  • 김영훈;정성목;임동문;조효진;정재경;김달현;박관하;이동억;김현수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권4호
    • /
    • pp.336-342
    • /
    • 1994
  • The gener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EPO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animals administering intravenously and in vitro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entral nervous system: EPO at doses of 70, 700, 7000 U/kg showed no effect In mice on general behavior, on strychnine- and pentetrazol-induced convulsion and on acetic acid-induced writhing syndrome. The hexobarbital-induced sleeping time in mice was slightly reduced by EPO at a dose of 7000 U/kg but did not change at doses of 70, 700 U/kg. The body temperature in rats was slightly decreased by EPO at doses of 700, 7,000 U/kg but the change was in normal physiological range. 2.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system: EPO showed no effect on respiratory rate, blood pressure, heart rate, femoral blood flow, and electrocardiogram in anesthetized dogs at doses of 70, 700, 7000 U/kg. 3. Smooth muscle: EPO at concentrations of 70, 700 U/ml had no effect o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isolated guinea pig ileum to histamine and acetylcholine. 4. Water and electrolytes excretion: EPO at dose above 700 U/kg increased urine volume in rats but did not affect the concentrations of $Na^{+},\;K^{+},\;Cl^{-}$ in urine. 5. Gastrointestinal system: EPO(70, 700, 7000 U/kg) had no effect on the intestinal charcoal meal propulsion 6. Blood coagulation system: The administration of EPO(70, 700, 7000 U/kg) had no effect on the plasma prothrombin time(P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 in mice.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DP and collagen was not influenced by EPO(70 U/ml, 700 U/ml). The overall results obtained indicated that EPO exerts almost no serious pharmacological effect even at a 100-fold clinical dose(7000 U/kg).

  • PDF

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의 장 기능 및 변비개선 효과 (Effects of Fermented Chicory Fiber on the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and Constipation)

  • 신선;박성선;이환명;허정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5-59
    • /
    • 2014
  • 치커리 화이바는 콜레스테롤 개선, 배변활동 원활, 식후혈당 상승억제의 기능성을 바탕으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는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하여 변비개선 효능을 확인한 결과 실험기간 동안 식이 섭취량이 증가한 반면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비만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 기능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소화관 이동률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 FWP(차전자피복합물), 실험군 CF(치커리 화이바), 실험군 FCF(치커리 화이바 발효물)에서 소화관 이동률이 증가하였고, 특히 실험군 FCF 1.62 mg/g (P<0.01)과 실험군 4.13 mg/g(P<0.05)의 경우 실험군 CF 동일 농도에 비해 소화관 이동률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변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장 내 잔류하고 있는 변의 개수를 확인한 결과 변비를 유발시킨 loperamide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장 내에 변이 잔류하면서 배변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장 내 변의 개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양성 대조군 FWP와 실험군 CF, 실험군 FCF에서 대장 내 변의 개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특히 실험군 FCF 2.06 mg/g의 경우 실험군 CF 동일 농도에 비해 대장 내 변의 개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치커리 화이바를 발효함으로써 배변활동 및 변비개선능이 비발효 치커리 화이바에 비하여 더욱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된 치커리 화이바가 배변 및 변비 기능성을 증진시키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