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driu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7초

Nesting Site Preference and Hatching Success of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in the Nakdong Estuary, Busan, Republic of Korea

  • Hong, Soon-Bok;Higashi, Seig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3호
    • /
    • pp.201-20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lutch size and habitat usage of Kentish plovers (Charadrius alexandrinus) breeding on Sinja-do lslet in the Nakdong Estuary from 22 April to 12 July in 1995 and from 21 April to 20 June in 1996. The Kentish plover preferred grasslands and damp sands to dry dunes as nesting sites. The difference in hatching success among these microhabitats was attributed to high tides, which washed away many nests on damp sands, and strong winds, which frequently shifted the sand to bury eggs on dry dunes. The main mortality factor in grasslands was predation by magpies Pica pica. Each clutch contained one to four eggs, with a mode of three eggs. Hatching success was highest in two-egg clutches and lowest in one- and four-egg clutches. The mean interval for egg laying was 1.8 day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ggs and 2.1 day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eggs. The average incubation period was about 24.2 days.

A Review of the Phylogenetic Studies on the Kentish & Snowy Plovers

  • Woo-Yuel Kim;Dong-Yun Lee;Gun-hwa Kang;Ha-Cheol Sung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2호
    • /
    • pp.63-68
    • /
    • 2023
  •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 family Charadriidae; genus Charadrius) is a small bird that moves from continent to continent depending on the season. On the Kentish Plovers, phylogenetic studies have been widely conducted to classify different species or subspecies and to determine the time of speciation. However, the perspectives on the interspecific or intraspecific relationships in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Kentish Plovers remain debatable. Here, we review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entish and Snowy Plovers (C. nivosus ) in terms of their morphology, ecology, and genetic information. Particularly, their differences in genetic information can be well demonstrated; however, the intraspecies differences in the populations that live in different environments can relatively be poorly explained. We suggest that not only genetic features but also morphological, ecological, and behavioral traits are important when comparing the Kentish Plovers with other species, such as the Snowy Plovers, in phylogenetic studies. Furthermore, we suggest that phylogenetic studies on the subspecies of the Kentish and Snowy Plovers should be conducted for their better identification.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이용한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의 분포현황과 생물지표종의 제안 (Distribution of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Based on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and Its Adequacy as a Bioindicator)

  • 김우열;배소연;오수정;윤희남;이중효;백운기;성하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5-164
    • /
    • 2016
  • 본 연구는 제 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를 토대로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의 시 공간적 분포현황과 흰물떼새가 선호하는 서식지 유형을 분석하였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흰물떼새는 전국 824 도엽 중 97개 도엽(약 11.8%)에서 기록되었고 주로 서해안과 남해안의 해안선을 따라 집중 분포하였다. 또한, 일부 동해안과 내륙의 주요 강(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주변, 제주도의 동쪽과 서쪽 해안선 일대와 대청도에서 관찰되었다. 주요 관찰된 시기는 봄철 이동시기와 번식기, 가을철 이동시기이며 환경부 중분류 토지피복 분석 결과 수역과 습지의 넓이가 흰물떼새의 서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환경부 세분류 토지피복의 연안습지 면적 분석 결과 흰물떼새가 관찰된 도엽의 대부분(약 90%)에는 연안습지가 형성되어 있었고, 연안습지의 형성여부가 흰물떼새의 분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물떼새는 서식지의 변화에 따라 번식지를 이동하며, 서식지 환경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흰물떼새는 생물지표 기준으로서 연안습지 지역의 서식지 환경의 변화와 관련이 있고 시기별 개체수 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조간대 연안의 생태적 가치를 판단하는 지표종으로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Discovery of Maritrema obstipum (Digenea: Microphallidae) from Migratory Birds in Korea

  • Chung, Ok-Sik;Sohn, Woon-Mok;Chai, Jong-Yil;Seo, Min;Lee, Hye-J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57-460
    • /
    • 2011
  • Adults of Maritrema obstipum (Digenea: Microphallidae) were found in the intestines of 4 species of migratory birds, including the sanderling (Crocethia alba),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es), Mongolian plover (Charadrius mongolus), and red-necked stint (Calidris ruficollis), collected from Yubu Island, Chungcheongnam-do, Korea. The worms of were $451{\times}265{\mu}m$ in size, and were easily identifiable as Maritrema species by the presence of the cirrus sac, and the ring-like distribution of the vitellaria. More specifically, the ejaculatory duct curved posteromedially, and the 2 parts of vitelline follicles were found to be distinct at the posterior end. The eggs were brown-colored, and $19.8{\times}12.3{\mu}m$ in size. All these findings implicated M. obstipum as the pertinent species of the worms. Beside these, adult worms of Gynaecotyla squatarolae, Parvatrema duboisi, and Acanthoparyphium sp. were also discovered. This is the first report establishing migratory birds as the natural definitive hosts for M. obstipum.

영종도와 삼목도에 도래하는 섭금류(Shorebirds)의 간과 신장에서 중금속 농도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Liver and Kidney of Shorebirds Migrating to Yeongjong and Sammok Islands)

  • 김정수;박성근;이두표;구태회;원병오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4호
    • /
    • pp.193-198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종도와 삼목도에 도래하는 섭금류(Shorebirds)의 간과 신장에서 중금속 축적에 대한 연구이다. 아연의 농도는 영종도의 큰뒷부리도요의 간과 신장에서 각각 76.7 ㎍/wet g, 65.8 ㎍/wet g으로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망간의 경우, 간에서 가장 높은 농도는 4.68㎍/wet g을 나타낸 영종도의 청다리도요였고, 신장에서는 삼목도의 흰물떼새에서 18.61㎍/wet g으로 가장 높았다. 구리농도는 영종도 큰뒷부리도요의 간과 신장에서 각각 25.4 ㎍/wet g과 44.1 ㎍/wet g으로 가장 높았다. 납 농도가 가장 농도가 높게 나타난 종은 삼목도의 좀도요로서 간에서 17.0 ㎍/wet g, 신장에서 40.2 ㎍/wet g이었다. 그리고 납 농도는 모든 종에서 신장에서의 농도가 간에서의 농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간에서 카드뮴 농도는 0.73±0.26㎍/wet g을 나타낸 영종도의 민물도요에서 가장 높았고, 신장에서는 영종도의 흰물떼새에서 4.89±1.49 ㎍/wet g으로 가장 높았다. 카드뮴은 모든 종에서 간보다는 신장에서 농도가 높았다. 그리고 간과 신장에서의 납과 카드뮴 농도는 붉은어깨도요를 제외하고는 영종도에서의 농도가 삼목도보다 높았다.

서·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군집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bird Community at Coastal Wetlands in the South and West Coasts, Korea)

  • 신용운;한승우;이시완;황인서;박치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60-169
    • /
    • 2019
  •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와 연안습지 기초조사를 통한 서 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장봉도, 무의도, 대천천하구, 서천갯벌, 유부도, 곰소만, 하의도, 증도, 도암만, 강진만)에서 서식하는 수조류의 도래현황에 대한 조사는 2008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실시되었다. 관찰된 수조류 중 도요 물떼새류가 36종(37%) 193,111개체(67.1%)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으며, 수면성 오리류, 백로류, 갈매기류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우점종은 민물도요(Calidris alpina),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큰뒷부리도요(Limosa lapponica),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 붉은어깨도요(Calidris tenuirostris)이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도요 물떼새류가 서천갯벌과 유부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수면성 오리류는 도암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잠수성 오리류는 강진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갈매기류는 서천갯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서 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은 수조류의 유사도지수(Ro)에 의해 3개 Group으로 나뉘었다. 1 Group은 수면성 오리류와 잠수성 오리류가 우점한 지역이었으며, 2 Group은 도요 물떼새류가 우점한 지역이었다. 3 Group은 갈매기류가 우점한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역 간 환경에 따른 종구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review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mnophallidae) and human infec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 Lee, Soon-Hyung;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85-118
    • /
    • 2001
  • Studies on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mnophallidae) and human infections are briefly reviewed. This minute intestinal fluke was first discovered from a Korean woman suffering from acute pancreatitis and gastrointestinal troubles. It was described as a new species by Lee, Chai and Hong in 1993. The southwestern coastal village where the patient resided was found to be a highly endemic area, and additional endemic areas have been identified. The parasite is very small, 0.33-0.50 mm long and 0.23-0.33 mm wide. and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 ventral pit. The first intermediate host remains unknown, but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has been found to be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Man and the Palearctic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have been shown to be natural definitive hosts , and wading birds including the D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are highly susceptible to experimental infection. Gerbils, hamsters, cats, and several strains of mice were also susceptible laboratory hosts. In experimentally infected mice, the parasites inhabit the small intestine, pinching and sucking the root of villi with their large oral suckers, but they did not invade beyond the mucosa in immunocompetent mice. However, they were found to invade the submucosa in immunosuppressed mice. Human G. seoi infections have been found in at least 25 localities; 23 islands on the Yellow Sea or the South Sea, and 2 western coastal villages. The highest Prevalence was found in a village on Aphaedo. Shinan-fun (49% e99 Positive rate) : other areas showed 0.8-25.3% prevalence. Infected people complained of variable degrees of gastrointestinal troubles and indigestion. The infection can be diagnosed by recovery of eggs in the feces; however, an expert is needed to identify the eggs. Praziquantel, 10mg/kg in single dose, is effective for treatment of human infections. Eating raw oysters in endemic areas should be avoided.

  • PDF

Discovery of Parvatrema duboisi and Parvatrema homoeotecnum (Digenea: Gymnophallidae) from Migratory Birds in Korea

  • Chung, Ok-Sik;Lee, Hye-Jung;Sohn, Woon-Mok;Park, Yun-Kyu;Chai, Jong-Yil;Seo,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271-274
    • /
    • 2010
  • Adult worms of Parvatrema spp. (Digenea: Gymnophallidae) were found in the intestines of 2 species of migratory birds, i.e., a great knot, Calidris tenuirostris, and 2 Mongolian plovers, Charadrius mongolus, in the coastal area of Gunsan-si, Jeollabuk-do in October 2009. The recovered Parvatrema worms were 79 in total number and composed of 2 species. The worms from a great knot were $289{\mu}m$ in length with the oral and ventral sucker ratio of 2:1. They had a single vitellarium, and their intrauterine eggs were $25.0{\times}17.5{\mu}m$ in size. These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P. duboisi (Dollfus, 1923) Bartoli, 1974 (syn. P. timondavidi Bartoli, 1963). The worms recovered from the Mongolian plovers were smaller in length than P. duboisi and had 2 vitellaria. The oral and ventral sucker ratio was 2.5 : 1, and the eggs were $17.5{\times}8.8{\mu}m$ in size. These worms were assigned to be P. homoeotecnum James, 1964.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natural final hosts of Parvatrema spp. in Korea.

쇠제비갈매기 Sterna albifrons의 과산란 및 이종 알 혼합 둥지 생성 원인으로서 알 회수 행동 (Egg Retrieval as a Source of Nests with Supernormal and Mixed Egg Clutch in Little Terns Sterna albifrons)

  • 김정훈;남형규;;유정칠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45-550
    • /
    • 2006
  • 2003$\sim$2005년의 쇠제비갈매기 Sterna albifrons의 번식기 동안 충남 홍성군 간월호의 번식군집에서 총 10개의 과산란수의 둥지(nest with supernormal clutch)와 7개의 이종 알 혼합 둥지(nests with mixed species clutch, 쇠제비갈매기와 흰물떼새의 알이 혼합된 둥지)가 관찰되었다. 쇠제비갈매기의 알 회수 행동은 한 배 산란수와 관계없이 두 번째 알 산란 이후 높은 빈도를 보였다. 알 회수 행동은 모든 포란 단계에서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쇠제비갈매기는 둥지에서 약 15 cm 떨어진 알에 대하여 높은 알 회수 행동 비율을 보였으나 35$\sim$55 cm의 거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60 cm 거리에서는 알 회수 행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쇠제비갈매기는 알의 종류 및 크기와 관계없이 둥지 인근에 배치된 알들을 자신의 둥지로 편입시키는 행동을 보였다. 본 조사 결과는 쇠제비갈매기의 알 회수 행동이 과산란수의 둥지 및 이종 혼합 둥지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용객 생태 인식 증진을 통한 수변공원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 (Efficie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aterside Parks by Promoting Ecology Awareness of Visitors)

  • 최종윤;김성기;김정철;윤종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7-251
    • /
    • 2019
  • 본 연구는 1) 수변공원에 서식하는 생물상 및 생태현황 조사를 통해 수변공원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고, 2)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한 생태교육 및 홍보를 통해 수변공원에 대한 이용 및 비이용객의 생태적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변공원 92개소를 대상으로 생물상 조사를 수행한 결과, 수변공원에서는 멸종위기종 9종(벌매, 붉은배새매, 새호리기, 흰목물 떼새, 삵, 수달, 맹꽁이, 수염풍뎅이, 은줄팔랑나비)을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수변공원은 비록 인간의 이용을 위한 친수적인 성향으로 조성되었지만, 일부 자연성이 높은 지역은 생물서식처로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금강유역 내 5개 지역(대전, 세종, 청주, 공주, 부여)에서 이용객 현황을 조사하고, 생태교육 및 홍보를 실시하였다. 총 200명을 대상으로 이용객 현황을 조사한 결과, 생태공원에 대한 이용객이 비이용객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연령별로는 40대가 가장 높은 이용률을 나타냈다. 대전이나 청주 등의 지역에서 수변공원의 이용 빈도는 다른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전이나 청주는 도심구간으로 수변공원 외에도 체육시설이나 카페 등의 여가시설이 상대적으로 많아 수변공원에 대한 의존도가 타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용객은 이용대상 수변공원과 실제 거주지간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객 대부분이 수변공원을 '생활체육공간'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도보가 가능한 거리가 아니면 활용 빈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은 생태교육 및 홍보 후 '보전'적인 측면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이용객(80%)이 비이용객(38%)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볼 때, 생태교육 및 홍보는 수변공원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특성이나 제원 등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이용객에게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1) 수변공원은 비록 친수적인 성향을 가지고 조성되었으나, 일부 지역은 멸종위기종의 서식하는 등 생물서식처로서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2) 이를 볼 때, 수변공원에 대한 인식은 친수적인 성향만이 강조된 부분에서 보전적인 측면으로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인식 변화는 추후 수변공원에 대한 관리나 정비계획 수립 시 친수와 보전적인 측면이 공존하는 수변공원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