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Toxicity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5초

Physiological Damages and Biochemical Alleviation to Ozone Toxicity in Five Species of genus Acer

  • Han, Sim-Hee;Kim, Du-Hyun;Lee, Kab-Yeon;Ku, Ja-Jung;Kim, Pan-Gi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51-560
    • /
    • 2007
  • We investigated physiological damages and biochemical alleviation of five species of genus Acer under ozone fumigation in order to assess their tolerant ability against ozone toxicity. At the end of 150 ppb $O_3$ fumigatio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nd chlorophyll contents, malondialdehyde (MDA)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e leaves of five maple trees (Acer buergerianum, A. ginnala, A. mono, A. palmatum, and A. palmatum var. sanguineum). The reduction of chlorophyll (chl) a in ozone-exposed plants was 16.8% (A. buergerianum) to 26.7% (A. ginnala) of control plants. For the content of chi b, A. ginnala and A. palmatum var. sanguineum represented the high reduction of 26.3% and 23.6%, respectively. The highest reduction on the chi a:b ratio was observed in the leaves of A. palmatum. The reduction of net photosynthesis in five species varied from 2.4% to 37.6%. Among five species, A. ginnala showed remarkable reduction (37.6%) for net photosynthesis in comparison with control. Carboxylation efficiency differed significantly (P < 0.05) among species and between control and ozone treatment. The reduction of carboxylation efficiency was the highest in the leaves of A. ginnala (44.7%). A. palmatum var. sanguineum showed the highest increase (41.7%) for MDA content. The highest increase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represented in A. palmatum (26.1%) and the increase of ascorbate peroxidase (APX) activity ranged from 16.5% (A. ginnala) to 49.1% (A. palmatum var. sanguineum). A. mono showed the highest increase (376.6%) of glutathione reductase (GR) activity under ozone fumigation and A. buergerianum also represented high increase (42.3%) of GR activity. Catalse (CAT) activity increased in the leaves of A. ginnala, A. palmatun and A. palmatum var. sanguineum under ozone exposure, whereas A. buergerianum and A. mono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control plants. In conclusion, physiological markers such as chlorophyll content and photosynthesis that responded sensitively to $O_3$ in maple trees were considered as the very important indicators in order to evaluate the tolerance against $O_3$ stress, and parameters wer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Among anti oxidative enzymes, SOD and APX might be contributed to alleviate to $O_3$ toxicity through the increase of activity in all maple trees. Therefore, these compounds can be used as a biochemical maker to assess the stress tolerance to $O_3$.

Protective Effect of Citrate against $A{\beta}$-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 Yang, Hyun-Duk;Son, Il-Hong;Lee, Sung-Soo;Park, Yong-Hoon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4권2호
    • /
    • pp.157-163
    • /
    • 2008
  • Formation of ${\beta}$-amyloid $(A{\beta})$ fibrils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Alzheimer's disease (AD). Inhibition of $A{\beta}$ fibril formation in the CNS would be attractive therapeutic targets for the treatment of AD. Several small compounds that inhibit amyloid formation or amyloid neurotoxicity in vitro have been known. Citrate has surfactant function effect because of its molecular structure having high anionic charge density,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citrate might have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A{\beta}$ fibril formation in vitro and have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A{\beta}$-induced neurotoxicity in PC12 cells. We examined the effect of citrate against the formation of $A{\beta}$ fibrils by measuring the intensity of fluorescence in thioflavin-T (Th-T) assay of between $A{\beta}_{25-35}$ groups treated with citrate and the control with $A{\beta}_{25-35}$ alon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citrate against $A{\beta}$-induced toxicity in PC12 cells was investigated using the WST-1 assay. Fluorescence spectroscopy showed that citrate inhibited dose-dependently the formation of $A{\beta}$ fibrils from ${\beta}$-amyloid peptides. The inhibition percentages of $A{\beta}$ fibril formation by citrate (1, 2.5, and 5 mM) were 31%, 60%, and 68% at 7 days, respectively in thioflavin-T (Th-T) assay. WST-1 assay revealed that the toxic effect of $A{\beta}_{25-35}$ was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citrate. The percentages of neuroprotection by citrate (1, 2.5, and 5 mM) against $A{\beta}-induced$ toxicity were 19%, 31 %, and 34%, respectively. We report that citrate inhibits the formation of $A{\beta}$ fibrils in vitro and has neuroprotective effect against $A{\beta}$-induced toxicity in PC12 cells. Neuroprotective effects of citrate against $A{\beta}$ might be, to some extent, attributable to its inhibition of $A{\beta}$ fibril formation. Although the mechanism of anti-amyloidogenic activity is not clear, the possible mechanism is that citrate might have two effects, salting-in and surfactan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itrate could be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in Alzheimer's disease.

화학치료를 받는 암 환자 '삶의 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of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 김병수;최인근;박경화;윤소영;오상철;서재홍;최철원;신상원;김열홍;김준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4권2호
    • /
    • pp.130-136
    • /
    • 2001
  • Purpose : It is very important to endow the cancer patients underwent chemotherapy with satisfactory quality of life (QOL).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factors influencing QOL during chemotherapy. Therefore, we designed this study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QOL in the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chemotherapy. Methods : Ninety-seven cancer patients were studied, prospectively.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median age(range): 48(19{\sim}83) years, male:female; 57:40, PS:0,1/2,3;55/42 patients, diagnosis(number): lymphoma (28), lung cancer (22), gastrointestinal cancer (18), sarcoma (12), breast cancer (12), gynecological cancer (5), Stage: I,II/III.IV;37/60 patients. We used EORTC QLQ-C30 questionnaires to evaluate QOL. EORTC QLQ-C30 scores were performed before the onset of chemotherapy and after the end of 3 cycles of chemotherapy. The correlation of these scores with performance status (PS), diagnosis, disease stag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regimen related toxicity was evaluated. Results : The responder group (CR, PR) demonstrated marked improvement of social functional and emotional scales to non-responder group (SD,PD) (P=0.024, 0.045). Non-hematologic regimen related toxicity such as mucositis, nausea and vomit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ain scale change (P=0.043). Other factors had no notable correlation with QOL changes. Conclusion : Our preliminary study results may suggest as follows.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social functional and emotional scales and the severity of non-hematologic regimen related toxicity is associated with pain scale change.

  • PDF

충북지방(忠北地方) 답토양(沓土壤)에 대(對)한 PCP 흡착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PCP Adsorption in Various Paddy Soils of the Choongbook Area)

  • 옥환석;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3호
    • /
    • pp.229-240
    • /
    • 1972
  • 토성에 따라 합리적인 PCP시용량을 결정하고 아울러 어독해의 추정으로 무어독 처리방법을 강구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물리 화학적 성질을 달리하는 수종의 충북지방 답토양을 시료로 하여 PCP의 흡착관계를 살펴본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점토함량, 전질소, 유기물, CEC, 치환성염기, 인산흡수계수등과 PCP 흡착과의 사이에는 正의 상관이, pH와는 부(負)의 상관을 보여 주었으나 모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점토함량, $H^+$, Mg 및 CEC와 PCP흡착과는 비교적 큰값을 보여주어 주목할만한 일이었다. 2. 토성별로 PCP흡착은 식토>양로>사질양토의 순이었다. 3. $H_2O_2$처리 토양에서의 PCP흡착은 현저하게 저하하지만 그 줄어든 비율은 부식의 함량에 비례하지는 않았다. 4. 치환성 염기처리토양에서의 PCP흡착은 $H^+$-토양>$K^+$-토양>$Na^+$-토양> $Ca^{++}$-토양>$Mg^{++}$-토양의 순이었다. 5. PCP의 흡착관계를 Langmuir's adsorption isotherm과 Freundlicr's adsorption isotherm으로 표현가능하며 이로서 PCP의 최대 흡착량과 결합 energy 및 흡착층(吸着層)의 길이를 산출할수 있었다. 6. 토성별로 PCP 최대흡착량을 보면 식양토는 213.13mg/100gr, 양토는 $97.28{\sim}121.59mg/100gr$, 사양토는 $32.93{\sim}91.74mg/100gr$ 이 었다. 7. 무어독처리를 위한 한계시용량의 혼합토층의 깊이는 진천토양이 0.88cm로 가장 얕은 그리고 내산리 사질양토는 4.29cm로 가장 깊은 혼합시용을 요한다.

  • PDF

한국산 주요패류에 대한 독의 분포, 특성 및 제독에 관한 연구 3. 마비성패류독의 제독에 관하여 (Studies on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Shellfish Toxin in Korea 3. Detoxific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 장동석;신일식;구효영;오은경;변재형;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8-291
    • /
    • 1988
  • 마비성패류독으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축양 또는 가공방법에 따른 제독실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화된 진주담치를 순환수조에서 축양하였을 때는 유의할 만한 제독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수수조에서 축양한 경우는 5일만에 약 $94\%$가 감소하였다. 2. PSP를 0.1N HCl 용액으로 유출하였을 때가 증류수로 추출하였을 때 보다 그 독성이 약 2-5배 높았다. 3. PSP가 $100\~150{\mu}g/100g$ 정도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수도수에서 30분간 자숙하였을 때 그 독성은 동물실험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4. PSP가 $175{\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진주담치를 $116^{\circ}C$에서 65분간 가압살균하였을 때는 동물 실험결과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독소함양이 $9539{\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고독력의 진주담치는 같은 조건에서 가압살균하여도 $171{\mu}g$의 독력이 잔존하였다.

  • PDF

한국산 주요패류에 대한 독의 분포, 특성 및 제독에 관한 연구 3. 마비성패류독의 제독에 관하여 (Studies on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etoxification of Shellfish Toxin in Korea 3. Detoxific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of Sea Mussel, Mytilus edulis)

  • 장동석;신일식;구효영;오은경;변재형;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97-302
    • /
    • 1988
  • 마비성패류독으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축양 또는 가공방법에 따른 제독실험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화된 진주담치를 순환수조에서 축양하였을 때는 유의할 만한 제독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수수조에서 축양한 경우는 5일만에 약 $94\%$가 감소하였다. 2. PSP를 0.1N HCl 용액으로 유출하였을 때가 증류수로 추출하였을 때 보다 그 독성이 약 2-5배 높았다. 3. PSP가 $100\~150{\mu}g/100g$ 정도로 독화된 진주담치를 수도수에서 30분간 자숙하였을 때 그 독성은 동물실험결과 검출되지 않았다. 4. PSP가 $175{\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진주담치를 $116^{\circ}C$에서 65분간 가압살균하였을 때는 동물 실험결과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독소함양이 $9539{\mu}g/100g$ of digestive gland인 고독력의 진주담치는 같은 조건에서 가압살균하여도 $171{\mu}g$의 독력이 잔존하였다.

  • PDF

석유화학단지 주변 주거지역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농도와 Monte-Carlo 모의실험을 통한 위해성평가 (Seasonal Concentr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Residential Areas Around Petrochemical Complexes and Risk Assessment Using Monte-Carlo Simulation)

  • 박동윤;최영태;양원호;최길용;이채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66-377
    • /
    • 2021
  • Backgrou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generated in petrochemical complexes, can spread to residential areas and affect the health of residents. Although harmful PAHs are mainly present in particle phase, gas phase PAHs can generate stronger toxic substances through photochemical reaction. Therefore, the risk assessment for PAHs around the petrochemical complex should consider both particle and gas phase concentration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particle and gas phase PAHs by season in residential areas around petrochemical complexes, and to assess the risk of PAHs.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for 7 days by seasons in 2014~2015 using a high volume air sampler. Particle and gas phase PAHs were sampled using quartz filter and polyurethane foam, respectively, analyzed by GC-MS. Chronic toxicity and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were performed on 14 PAHs. For chronic toxicity risk assessment, inhalation unit risk was used. Monte-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for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easured PAHs.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 total PAHs was highest in autumn. The gas phase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autumn. The average gas phase distribution ratio of low molecular weight PAHs composed of 2~3 benzene rings was 85%. The average of the medium molecular weight composed of 4 benzene rings was 53%, and the average of the high molecular weight composed of 5 or more benzene rings was 9%. In the chronic toxicity risk assessment, 7 of the 14 PAHs exceeded the excess carcinogenic risk of 1.00×10-6. In the Monte-Carlo simulation, Benzo[a]pyrene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exceeding 1.00×10-6, which was 100%.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PAHs in the residential area around the petrochemical complex exceeded the standard, and the excess carcinogenic risk was evaluated to be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air environment around the petrochemical complex.

쉴드 TBM 뒤채움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공학적 특성 및 현장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field applicability of inorganic thixotropic-grout for backfilling of shield TBM tail voids)

  • 김대현;정두회;정경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75-85
    • /
    • 2010
  • 본 연구는 새로 개발된 쉴드 TBM 테일 보이드 동시주입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체적변화성 및 투수계수를 측정하였으며, 환경영향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 시험 시공에 앞서, 쉴드 TBM 모형주입장치 및 후방주입 공동충전 시험체를 이용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제 서울 전력구 쉴드 TBM 시공현장에 시험시공을 수행하였다. 기중에서 14일 양생시킨 공시체를 이용해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체적 변화성을 평가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체적변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투수계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우수한 차수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어독성 시험과 용탈시험을 통한 환경영향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경우 평균 pH가 8.0으로 측정되었으며, 96시간 경과 후 10%의 폐사율을 보였다. 용탈액에 대한 원자흡광분광 시험 결과 용탈에 의한 유해 중금속 성분은 수질관리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가소성 그라우트의 현장 적용성 실험을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을 수행한 결과 충전성은 확보되었으며, 실제 시공현장에 적용한 결과 우수한 주입성을 보였다.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후에 발생한 폐손상 (Pulmonary Toxicity Following High-Dose Chemotherapy With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 이선민;박광주;오윤정;정성철;황성철;이이형;김현수;임호영;김효철;임현이;한명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77-89
    • /
    • 1999
  • 연구 배경: 고위험군의 악성 질환의 치료로 최근에 시도되고 있는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은 기존의 치료보다 치료 반응율이 높고 생존의 향상을 기대할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치료와 관련된 부작용도 있어 이환율 및 사망률도 높다. 말초 조혈모세포이식을 이용한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후에 발생하는 특발성 폐렴 증후군은 감염성 원인을 배제한다면 약제에 의한 폐독성으로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저자들은 약제 독성으로 유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폐렴 증후군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5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서 말초 조혈모세포이식을 이용한 고용량 항암화학 요법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특발성 폐렴 증후군이 발생한 5례에서 경기관지폐생검을 시행하고 그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 환자는 97례이었으며 이들중 5례(5.1%)에서 특발성 폐렴 증후군이 발생하였다. 5례의 환자의 연령은 평균 $41{\pm}13$세, 남녀비는 3:2였으며 유방암 3례, 악성 림프종 2례이었다. 사용된 항암제는 CBP regimen 3례, BEAC regimen 1례, BEAM regimen 1례이었으며, 사용된 용량은 BCNU 300-400 mg/$m^2$, cyclophosphsmide 6,000 mg/$m^2$이었다. 다섯 례 모두에서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지 평균 14주 후 (4-26주)에 기침, 호흡곤란, 발열 등을 동반한 폐침윤이 발생하였다. 흉부 방사선 검사 소견상 3례에서는 양측성, 2례에서는 우하엽에 국한된 미만성의 폐침윤을 보였다. 경기관지폐생검 결과 폐포 손상과 격막의 비후, 비정상적인 제 II 형 폐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고 악성 세포의 침윤이나 감염성 질환 등의 소견은 없었다. 모든 환자에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으나 2례에서는 급성 호흡부전증으로 진행하여 사망하였다. 3례에서는 폐병변이 소실되고 중상도 호전되었으나 1례는 확장성 심근병으로 사망하였고 2례는 호전되어 폐병변이 없는 상태에서 외래 관찰 중이다. 결론: 말초 조혈모세포이식을 이용한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은 치료 효과가 기존의 항암치료보다 높지만 BCNU를 포함하는 복합 화학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약제에 폐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적절한 환자의 선정과 폐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 PDF

Microtox 생물검정법을 이용한 은 이온과 은 나노입자의 수용액과 토양에서의 독성 비교 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Silver Ions Compared to Silver Nanoparticles in Aqueous Solutions and Soils Using Microtox Bioassay)

  • 위민아;오세진;김성철;김록영;이상필;김원일;양재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14-1119
    • /
    • 2012
  • $Ag^+$ 이온을 주성분으로 하는 $Ag^+N$$Ag^0$ 나노입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Ag^0NP$의 미생물학적 독성을 Microtox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수용액과 토양에서 용량-반응관계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수용액 실험에서 Vibrio fisheri의 50% 발광 저해율을 보여주는 $EC_{50}$ 값은 $Ag^+N$$Ag^0NP$ 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나, 이온상태의 $Ag^+N$이 독성이 훨씬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노출시간이 15분에서 30분으로 증가하면 독성 또한 증가했다. 반대로 토양 추출액 실험에서는 $Ag^+N$$ED_{50}$ 값이 $Ag^0NP$의 값 보다 높아, $Ag^+N$의 독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Ag^+N$$Ag^+$가 토양 입자 또는 부식산에 강하게 흡착 되거나, Microtox 희석제 NaCl과 반응하여 난용해성 AgCl 침전물을 형성하여, 토양 추출액 중의 활성 Ag 농도가 감소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Microtox 분석에 의한 Ag 나노용액의 생물학적 독성은 Ag의 존재형태 ($Ag^+$, $Ag^0$), 반응매질 (수용액, 토양), 노출시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