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vical enamel projec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치과 환자로부터 발거된 치아에서의 법랑돌기의 발현빈도 (The Prevalence of Enamel Projection on Molar Teeth Extracted from Dental Patients)

  • 배성숙;구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7-211
    • /
    • 2007
  • 많은 연구에서 대구치의 백악법랑 경계부에 나타나는 법랑돌기의 발현이 치주질환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에서 발거된 치아 660개 중 법랑돌기의 관찰이 가능하고, 제 1, 2대구치의 구별이 가능한 530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치면별, 치아별 법랑돌기의 발현빈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법랑돌기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깨끗이 세정한 후, 8배 전자확대경을 이용하여 상, 하악 제 1, 2대구치의 협면, 근심면, 원심면, 설면(구개면)에 나타나는 법랑돌기를 조사하였다. 법랑돌기의 발현빈도는 상악에서 45.49%, 하악에서 39.62%로, 하악에서보다 상악에서 높았으며, 제1대구치는 45.22%, 제2대구치는 39.89%로, 제2대구치보다 제1대구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치면별 발현빈도는 전체 대상치아의 협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악 제1대구치 협면에서 78.27%, 상악 제2대구치 협면에서 81.23%, 하악 제1대구치 협면에서 76.86%, 하악 제2대구치 협면에서 70.3%의 발현율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전의 보고에 비해 높은 법랑돌기의 발현빈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8배 전자확대경을 이용한 관찰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 PDF

치근이개부병소를 지닌 하악대구치에 대한 치아형태학적연구 (A Tooth Morphologic Study Of The Mandibular Molars With Furcation Involvement)

  • 진형국;김현섭;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266-27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natomical predisposing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furcation involvement. Root trunk length, root divergency angle, buccal root trunk concavity and cervical enamel projection of the mandibular 1st and 2nd molars with(l03 teeth) and without(42 teeth) furcation involvement and enamel projection were classified by Lindhe's degree and Masters's classification, respectively, and buccal root trunk concavity was examined by probi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ns of ANOVA and CHI-SQUARE test in Microsta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Root trunk length was longer in teeth without furcation involvement($4.20{\pm}1.05mm$) than teeth with furcation involvement(I : $3.62{\pm}0.68mm$, II : $3.64{\pm}0.86mm$, III: $3.61{\pm}0.74mm$)(p<0.05), but there was f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urcation involvement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furcation involvement(p0>.05). 2. The root divergency angle was wider in teeth with furcation involvement(I : $53.14^0{\pm}15.11^0$, II : $44.82^0{\pm}14.26^0$, III : $52.69^0{\pm}16.09^0$) than teeth without furcation involvement($34.81^0{\pm}16.57^0$(p<0.05). 3. The group of teeth without furcation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ly hign percentage of teeth without buccal root concavity, and the group of teeth with furcation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ly hign percentage of teeth with buccal root concavity(p<0.05) 4. The group of teeth without furcation involvement showed higher percentage of teeth with grade I cervical enamel projection, teeth with furcation involvement I or II defect showed higher percentage of teeth with grade II enamel projection, and teeth with furcation involvement III defect showed higher percentage of teeth with grade III enamel projection(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short root trunk length, wide root divergency, buccal root concavity and well-developed enamel projection could affect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furcation involvement as anatomical predisposing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s.

  • PDF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 증례보고 (DENS INVAGINATUS AND TALON CUSP CO-OCCURING: REPORT OF THREE CASES)

  • 임성옥;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8-496
    • /
    • 2010
  • 치외치는 교합면에 법랑질이 원추형으로 돌출되어 결절을 형성한 치아로서, 치아발육 중 법랑기의 내측법랑상피가 외부로 과증식되거나 치수 간엽조직이 국소적으로 과증식되어 나타난다.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 또는 마모되기 쉬우며 따라서 이로 인하여 치수노출에 의한 감염이 야기될 수 있다. 상악 전치부 설면에도 원추형으로 돌출된 결절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를 탈론 교두(talon cusp)라 한다. 치내치는 치아 발육 중 설측의 법랑상피가 일부 함입되어 설측에 깊은 소와가 형성된 형태로서 크기나 전체적인 모양은 정상이다. 방사선 사진상에서 치경부의 법랑질 일부가 함입되어 함입강을 형성하고 그 기저부는 치수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치수와 개통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탈론 교두(talon cusp)와 치내치는 비교적 흔한 형태 이상이지만, 한 치아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환자에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되거나, 교두 사이 열구가 우식에 이환되어 치수치료가 시행 될 때, 치내치의 복잡한 근관 형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합조정, 치면열구전색술 등의 예방적 처치와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하고, 치수치료시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통한 치내치의 근관 형태 파악이 필요하다.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0세 남아(하악 좌측 중절치)와 8세 여아(상악 우측 중절치) 그리고 7세 남아(상악 우측 중절치)에서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관찰되어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9세 남아와 8세 여아는 치수 병변으로 인해 치수 치료 중이고, 7세 남아는 병적 소견 없이 교합조정 후 관찰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