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bral atherosclerosi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Synergistic Efficacy of Concurrent Treatment with Cilostazol and Probucol on the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Cultured Human Cor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 Park, So-Youn;Lee, Jeong-Hyun;Shin, Hwa-Kyoung;Kim, Chi-Dae;Lee, Won-Suk;Rhim, Byung-Yong;Shin, Yung-Woo;Hong, Ki-Wh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2권4호
    • /
    • pp.165-170
    • /
    • 2008
  •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synergistic effects of concurrent treatment of low concentrations of cilostazol and probucol to inhibit the oxidative stress with suppression of inflammatory markers in the cultured human coronary artery endothelial cells (HCAECs). Combination of cilostazol (0.3${\sim}3{\mu}$M) with probucol (0.03${\sim}0.3{\mu}$M) significantly suppressed TNF-${\alpha}$-stimulated NAD(P)H-dependent superoxid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TNF-${\alpha}$ release in comparison with probucol or cilostazol alone. The combination of cilostazol (0.3${\sim}3{\mu}$M) with probucol (0.1${\sim}0.3{\mu}$M) inhibited the expression of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more significantly than did the monotherapy with either probucol or cilostazol. In line with these results, combination therapy significantly suppressed monocyte adhesion to endothelial cells.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the synergistic effectiveness of the combination therapy with cilostazol and probucol may provide a beneficial therapeutic window in preventing atherosclerosis and protecting from cerebral ischemic injury.

우황청심원이 당뇨병 Rat의 혈액순환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ohwangcheongsim-won on Circulatory Disturbance in Diabetes)

  • 황성록;정승현;신길조;이원철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4-179
    • /
    • 2002
  • Object: Death rate due to hypertension, atherosclerosis, ischemic heart disease and cerebral infarction induced by Westernized diet and increased average life span is on the rise. Decrease in blood circulation, activation of thrombus generation and intravascular lipid accumulation, cited as the principal causes of the above mentioned diseases in recent studies, result in circulatory disturbance and blood vessel obstruction leading to ischemic cell death of heart, brain and peripheral vessels. Method: We investigated the biochemical changes in microvascular permeability, aggregation of platelet and the intravascular lipid accumulation in induced-diabetic rat using Streptozotocin. We also studied the effects of Woohwangcheongsirn-won after oral administration on blood circulation, platelet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I. Woohwangcheongsim-won increased blood circulation in microvessels. 2. Woohwangcheongsim-won increased the reduced erythrocyte deformability in diabetes. 3. Woohwangcheongsim-won induced the reduction of contents of 2, 3-DPG, but failed to affect the reduced contents of ATP in erythrocyte in diabetes. 4. Woohwangcheongsim-won reduced the activity of Ca/sup 2+/-ATPase in the membrane of erythrocyte. 5. Woohwangcheongsim-won reduced the platelet aggregation evoked by platelet agglutinin factor. 6. Woohwangcheongsim-won reduced the production of platelet-derived granules. 7. Woohwangcheongsim-won reduced the production of metabolites of arachidonic acid in diabetes, and also reduced the production of increased thromboxane B2. 8. Woohwangcheongsim-won reduced the synthesis of oxidized LDL-cholesterol. In conclusion, Woohwangcheongsim-won enhanced blood circulation in microvesseles, erythrocyte deformability and inhibited the increased platelet aggregation and the synthesis of oxidized LDL-cholesterol in diabetes. Therefore Woohwangcheongsim-won is believed to positively affect blood circulation (J Korean Oriental Med 2002;23(2):164-179)

  • PDF

뇌경색 후유증 환자의 고지혈증과 변비에 대한 함초환(鹹草丸) 호전 1례 (A Case Report of Hyperlipidemia and Constipation in a Patient with Cerebral Infarction Treated with Herbal Prescription.)

  • 우성호;김병철;김진원;정병주;나유진;심효주;김용호;서호석;이원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945-953
    • /
    • 2006
  • Hyperlipidemia is one of the major factors causing the atherosclerosis of coronary arteries and a well-documented modifiable risk factor for stroke, especially of the ischemic type. Constipation is the condition of being unable to empty the bowels frequently enough or effectively. However, it is usually temporary and not a serious disease. Salicornia herbacea is a sea coast plant that grows o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beaches and salt flats of the Korean peninsula. Belonging to Chenopodiaceae by biological classification. Salicornia herbacea is not known from research except that it contains plenty of miner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Hamcho-hwanand to observe changes in total cholesterol (T-Ch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 triglyceride (TG) and constipation. After treatment, total cholesterol decreased from 273mg/dl to 235mg/dl. Triglyceride decreased from 201mg/dl to 126mg/dl. HDL cholesterol increased from 30mg/dl to 40mg/dl. Constipation changed for the better. These results support a role for oriental medical therapy in treating hyperlipidemia and constipation. Further case studies of herbal treatment of this ailment are needed.

  • PDF

경동맥의 내막, 중막, 내중막 두께 분리측정 및 임상적 중요성 (Measurements of Carotid Intima, Media, and Intima-media Thickness and Their Clinical Importance)

  • 김원식;정환택;노기용;배장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6권4호
    • /
    • pp.207-213
    • /
    • 2005
  •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심각한 정도는 일과성 뇌 허혈, 중풍, 그리고 심근경색과 같은 관상동맥질환의 원인 질환이 되는 죽상동맥경화에 대한 독립적 예측인자이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내막두께와 중막두께로 구성되어 있지만, 내막과 중막 각각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하여는 연구가 잘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죽상동맥경화증을 진단하기 위하여 B-mode 초음파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내막, 중막, 그리고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내막, 중막, 내중막 두께의 임상적 중요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44명(평균연령: 57세, 남성: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초음파를 이용하여 총경동맥의 영상을 스캐닝 하였다. 그 결과, 죽상동맥경화성 질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내중막(p<0.01) 두께뿐만 아니라 내막(p<0.05) 및 중막(p<0.05)의 두께도 모두 유의하게 더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인자 중 고혈압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에 비해 내막(p<0.01), 중막(p<0.001) 및 내중막(p<0.001) 두께 모두가 유의하게 더 두꺼웠고, 흡연을 하는 집단은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내막의 두께만 유의하게 더 두꺼웠다(p<0.01). 내막(r=0.374, p=0.001), 중막(r=0.433, p=0.000) 및 내중막(r=0.479, p=0.000) 두께는 연령과 정적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를 보였다. 두께들간의 공유설명량 ($r^2$) 평가결과는 내중막두께와 중막두께가 $92.4\%$, 내중막두께와 내막두께는 $49.1\%$, 그리고 내막두께와 중막두께는 $27.4\%$이었다. 이 결과는 경동맥의 내막과 중막은 서로 다른 생리현상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사지동맥의 색전제거술 -26례의 분석- (Embolectomy of Arteries of Extremities -Clinical analysis of 26 cases)

  • 강종렬;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72-178
    • /
    • 1997
  • 인제대학교 서울 백병원에서 실시한 말초동맥 색전제거술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987년 3월부터 1996년 2월까지 26명의 환자가 색전제거술을 시술받았고 남자는 18명 여자는 8명이였으며 평균연령은 56.8세 였다. 24명의 환자에서 휴식시 동통이 주소였고 2명의 환자에서 급성 증상의 회복후 장기간의 간헐적 파행을 호소하였으며 10명의 환자에서만 신경/근육 증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색전은 심인성으로 빈도가 높은 원인질환으로8명의 환자는 허혈성 심질환, 11명의 환자는 심장판막질환이 있었다. 동맥색전 부위는 상지동맥이 6명, 안장색전증이 2명, 하지동맥 18명이였고 대퇴동맥이 11명으로 가장 많았다. 술전 동맥조영술은13명의 환자에서 진단과 수술계획을 위해 실시하였으나 나머지 환자에서는 실시하지 않았다. 2명만이 6시간이내 색전제거술을 실시하였으나 나머지 환자는 모두 6시간 이후에 수술하였 다. 모든 환자에서 우회로 조성술 엄이 포가티 색전제거 카테터를 사용하여 색전제거술을 하였는데, 상지동맥 색전증은 상완동맥 절개로 수술하였고, 안장색전증의 경우 양측 서혜부 절개로 접근하였으며, 하지동맥 색전증은 경대퇴동맥 접근을 하 느립\ulcorner3명의 원위부 슬와-경골동맥 색전증 환자에서 재수술시 경술와 동맥 색전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후로 18명의 환자가 헤파린이나 푸락시파린으로 항응 고제 요법을 받았고 17명의 환자에서 퇴원시 와파린을 투여하였으며 항응고제 투여의 적응증은 심판막 질환, 심방세동, 말초동맥 죽상경화증, 재발색전 등이었다. 색전제거술후 14명의 환자에서 좋은 결과가 있었고, 5명에서 재수술후 증상 호전되었으며, 심한 하지동맥 죽상경화증을 보인 환자 1명에서 슬관절 이하 하지절단을 시행하였다. 색전재발은 1명, 사망 환자는 2명이 였는데, 사인은 각각 급성 신부전과 뇌동맥 혈전증이였다. 색전제거술 합병증으로 재관류 손상, 가성동맥류, 내막박리 등이 각각 1례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지동맥 색전증치 진단이 지연되고 있고, 허혈성 심질환을가진 고령환자가 증가되고 있는 경향이었다. 술전 동맥조영술은 항상 진단과 수술을 위해 필요하지 않으며 항응고제는 적응증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여하여 색전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원위부 슬와-경골동맥 색전증의 경우, 경대퇴동 맥 접근으로 선택적인 경골동맥 색전제거에 어려움이 있었다.

  • PDF

뇌경색 환자의 당뇨병성 고지혈증에 대한 오적산가감방(五積散加減方) 호전 1례 (A Case Report of Diabetic Hyperlipidemia in a Patient with Cerebral Infarction Treated with Ojeok-san)

  • 한승혜;정병주;우성호;김병철;김용호;서호석;황규동;조철준;남효익;김진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75-280
    • /
    • 2005
  • Hyperlipidemia is one of the major factors causing the atherosclerosis of coronary arteries and well-documented modifiable risk factors of stroke, especially of the ischemic type. For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sufferers, if blood sugar is appropriately maintained, lipid and lipoprotein are normal, but if blood sugar is inappropriately maintained or clinical Diabetic nephropathy induces metabolic disorder of lipid, then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very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go up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levels go d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reatment with Ojeok-san and to observe the changes in Fasting Blood Sugar(FBS), 2 Hours Postprandial Blood Sugar(PP2h), Haemoglobin A1c(HbA1c), Total Cholesterol(T-Chol) and Triglyceride(TG). After the treatment, Fasting Blood Sugar decreased from 149mg/dl to 89mg/dl. 2 Hours Postprandial Blood Sugar decreased from l85mg/dl to 110mg/dl. Haemoglobin A1c decreased from 6.3% to 5.7%. Total Cholesterol decreased from 268mg/dl to 217mg/dl. And Triglyceride decreased from 438mg/dl to 265mg/dl. These results support a role for oriental medical therapy in treating Diabetic Hyperlipidemia. Further case studies of herbal treatment of this ailment are needed.

  • PDF

관상동맥 우회수술후 신경계 합병증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Neurologic Complication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박계현;채헌;박충규;전태국;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790-798
    • /
    • 1999
  • 배경: 최근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조기 성적이 향상됨에 따라 뇌 경색을 비롯한 신경계 합병증이 수술 후 경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합병증으로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에 발생하는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그 위험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은 3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여부와 형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신경계 합병증은 새로운 뇌 경색이 확진된 경우와 수술후 의식 및 지남력의 완전한 회복이 24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중 18명(5.1%)에서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그 중 뇌 경색이 확진된 환자는 9명(2.6%)이었다. 운동마비를 동반한 뇌 경색이 4명에서 발생하였고 4명은 정신 지체나 지남력 장애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뇌사 판정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나머지 9명은 뇌 경색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의식 및 지남력의 완전 회복이 지연된 환자들이었다. 통계적 분석 결과 180분 이상의 심폐 바이패스, 수술중 상행 대동맥의 죽상경화반이 진단된 경우, 초음파 검사로 진단된 경동맥 협착, 뇌졸중이나 일과성 뇌허혈의 과거력 등이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 모두에서 의미있는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그밖에 고령(65세 이상), 흉부 단순 촬영상 대동맥의 석회화가 발견된 경우, 수술중 심근 경색 등도 단변량 분석시 의미있는 위험인자였다. 대동맥궁 삽관이나 single clamp technique 등 신경학적 합병증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수술 수기상의 변형은 합병증 발생 빈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동맥 협착의 정도 역시 합병증 발생 빈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의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원인은 복합적이긴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동맥계의 동맥경화성 병변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수술전 동맥경화성 병변에 대한 전신적인 평가와 함께 고위험군 환자들의 경우 적극적인 수술 수기의 변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