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bellar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36초

치매 환자에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안구운동 (Abnormal Eye Movements in Patients with Dementia)

  • 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15권2호
    • /
    • pp.73-80
    • /
    • 2007
  • 지난 여러 해 동안 치매에서 나타나는 안구운동기능부전에 대해 수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안구운동검사는 뇌의 기능을 평가하는 비침습적인 검사이며, 치매와 연관된 뇌의 이상을 밝혀내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저자는 치매와 연관된 안구운동이상에 대한 지금까지의 여러 연구들을 고찰해 보았다. 알쯔하이머병에서는 신속안구운동의 잠재기가 증가하고 정확도가 감소하며 항신속안구운동의 오류가 증가 한다. 전측두엽 치매 환자에서는 반사성 신속안구운동 억제의 장애와 항신속안구운동 잠재기와 오류 증가 소견이 나타난다. 그리고 헌팅톤병에서는 수의적인 신속안구운동의 시작 지연, 느린 신속안구운동, 항신속안구운동의 오류와 잠재기 증가 소견이 나타난다. 파킨슨병 치매와 루이체 치매 환자에서는 반사성 신속안구운동과 복합성 신속안구운동 실행 장애가 보고되었다. 크로이츠펠트-야콥 병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안구운동장애는 치매 증상이 명확해진 이후인 질병의 말기에 나타나고, 이차적으로 소뇌와 전정기관을 침범하게 된다고 한다. 진행성 핵상마비에서는 느린 신속안구운동과 측정저하 신속안구운동이 수직방향주시 장애가 오기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수의적인 눈꺼풀 운동의 기능부전도 진행성 핵상마비의 특징적인 증상이다. 결론적으로 치매 환자들은 다양한 비정상적인 안구운동장애를 나타내며 이는 피질, 피질하 기능부전과 연관되어 있다. 치매 환자의 안구운동장애에 대한 다음 단계 연구는 치매에서 나타나는 임상적인 증상이 뇌의 어떤 부위 이상 때문에 발생하는지를 좀 더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 될 것이다.

  • PDF

새로운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지는 소아 대뇌형 부신백질이영양증 1례 (A Case of Childhood Cerebral Form Adrenoleukodystrophy with Novel Mutation in the ABCD1 Gene)

  • 신영림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9-53
    • /
    • 2012
  • X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ystrophy, ALD)은 과산화소체베타산화과정(peroxisomal ${\beta}$-oxidation)의 장애로 매우긴사슬지방산(very long chain fatty acids, VLCFA)이 신경계의 백질과 부신피질 및 고환에 축척된다. 이 질환은 과산화소체막단백질(peroxisomal membrane protein)을 형성하는 Xq28에 위치하는 ATP-binding cassette, subfamily D, member 1 (ABCD1)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X 연관 ALD는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는데 전형적인 소아대뇌형 부신백질이영양증은 10세 이전의 남아에서 대뇌백질에 빠르게 진행하는 탈수초현상을 보인다. 8세 된 남자 환아로 정상발달과정을 보이던 중 초등학교 입학 후에 집중장애와 산만한 모습으로 인해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았었다. 환아는 내원 8개월 전부터 말이 어눌해 지고 걸을 때 오른 발을 끌며 자주 넘어지는 모습을 보여 내원하였고 오른쪽 상, 하지의 근력이 떨어지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검사상 부신기능저하증 소견을 보였으며 혈청 지방산 분석검사에서는 C26:0, C42:0/C22:0, C26:0/C22:0가 증가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는 T2와 FLAIR 강조영상에서 양측의 두정후두부의 백질과 소뇌의 백질에서 대칭적으로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환아는 부신백질이영양증로 진단하였고 ABCD1 유전자 분석 검사에서 새로운 c.983delT (p.Met329CysfsX7) 돌연변이가 확인되었다. X 연관 ALD는 유전자형과 표현형에 연관성이 없으며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환자들마다 임상증상을 잘 관찰해야 하며 향후 유전자 기능을 좀 더 파악하고 임상증상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소의 뇌에서 Neurosteroid Acyltransferase의 분포 및 특성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Neurosteroid Acyltransferase from the Bovine Brain)

  • 박인호;조성준;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12-116
    • /
    • 1997
  • 소의 뇌에서 neurosteroid의 지방산 에스터를 합성하는 neurosteroid acyltransferase(NSAT)의 뇌에서의 부위별, 세포분획별 분포 및 효소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소의 뇌 NSAT 활성도는 소뇌(小腦)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중뇌(中腦)이었다. 가장 활성도가 낮은 부위는 대뇌(大腦)로 소뇌(小腦)의 50% 수준이었다. 또한 소뇌 (小腦) microsome에서의 활성도가 다른 세포분획에 비해 매우 높아 NSAT가 microsomal 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NSAT의 최적온도는 $40^{\circ}C$이었으며, pH=4.9에서 최적 pH를 나타냈다. DHEA를 기질로 하였을 때 NSAT의 $K_m$$V_{max}$는 각각 $32.6\;{\mu}M$과 4.86 nmole/mg protein/h였다. 또한 DHEA를 기질로 하였을 때 pregnenolone $({\Delta}5P)$은 NSAT에 대하여 경쟁적 저해제로, testosterone은 비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하였다. ${\Delta}5P$와 testosterone의 Ki는 각각 $22.8\;{\mu}M$$28.2\;{\mu}M$이었다. 따라서 소의 NSAT는 C-3의 ${\beta}-hydroxyl$ 기와 C-17의 ${\beta}-hydroxyl$ 기를 에스터화하는 과정에서 다른 conformation을 가짐을 시사한다.

  • PDF

횐쥐 뇌에 방사선조사와 Cis-diamminedichloroplatinum(II)의 효과 : 치료 후 3개월과 6개월에서의 조직학적분석 (The Effect of Irradiation and Cis-diamminedichloroplatinum(II) in the Rat Brain : Analysis of Histopathology at 3 and 6 Months after Treatment)

  • 이경자;장승희;구혜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25-138
    • /
    • 1998
  • 목적 : 흰쥐의 전뇌에 방사선조사 후 cis-diamminedichloroplatinum(II)(cisplatin)을 복강내 주입하여 cisplatin이 방사선에 의한 후기 뇌손상(3개월, 6개월)에 미치는 효과를 알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및 재료 : 흰쥐를 방사전조사군, cisplatin군, 방사선조사와 cisplatin 병용군으로 분류하였다. 방사선조사군은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여 20 Gy, 22.5 Gy의 x-ray를 각각 횐쥐의 전뇌에 단일조사하였다. Cisplatin군은 2, 4, 8mg/kg을 각각 복강내에 1회 주입하였다. 병용군은 방사선조사(20 Gy, 22.5 Gy) 후 즉시 cisplatin(2mg/kg)를 복강내에 1회 주입하였다. 각 군에 따라 치료 후 3개월과 6개월에 동물을 희생시키고 뇌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Cisplatin군은 맥락총에 상피성 공포형성과 혈관주위의 부종 및 혈관의 확장이 3개월에 보였으며, 채상과 대뇌반구에 다원성 괴사가 3개월과 6개월에 나타났다. 방사선조사군과 병용군에서 뇌의 후기 방사선손상의 특징인 국소적 응고성 괴사와 혈관의 변화가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현저한 혈관주위와 연수막에 성상세포의 증식은anti-GFAP 항체검사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조사에 의한 혈관변화와 성상세포의 증식이 cisplatin에 의해서 증가되지는 않았다. 결론 : Cisplatin과 방사선조사에 의한 후기 뇌손상의 변화로 국소적 괴사가 양군에서 동시에 나타남으로서 뇌손상의 정도를 추정하는데 괴사가 지표인자로 이용될 수 있다고 본다. Cisplatin이 방사선에 의한 혈관의 변화와 성상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뇌에서 cisplatin과 방사선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실험이 필요하다.

  • PDF

아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99m}Tc$-HMPAO 및 $^{99m}Tc$-ECD 뇌 SPECT: 증례보고 (Brain SPECT Using $^{99m}Tc$-HMPAO and $^{99m}Tc$-ECD in Subacute Cerebral Infarction: Case Report)

  • 안병철;이동수;윤병우;소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0-575
    • /
    • 1996
  • 우리는 혈전 용해요법을 시행한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과잉관류가 발생한 아급성기에 $^{99m}Tc$-HMPAO SPECT와 $^{99m}Tc$-ECD SPECT를 같은 날 실시하여 $^{99m}Tc$-HMPAO SPECT에서는 과잉관류 소견이 보이나, $^{99m}Tc$-ECD SPECT 에서는 결손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환자는 임상적으로 신경학적 이상에 호전이 없이 증상 발생 42일째 사망하였다. 문헌을 검토하여 종합하고 우리 환자예를 분석한 결과 $^{99m}Tc$-HMPAO SPECT가 뇌혈류를 반영하여 관류회복과 과잉관류상태를 나타내었고, $^{99m}Tc$-ECD SPECT는 뇌세포의 대사 및 생존여부를 반영하여 뇌세포 손상이 넓고 심각함을 나타내었다고 보았다.

  • PDF

모야모야병에서 EDAS 수술효과의 평가를 위한 수술전후 $^{99m}Tc$-HMPAO SPECT의 유용성 (Serial $^{99m}Tc$-HMPAO Brain SPECT for Assessing Perfusion Improvement after EDAS in Moyamoya Patients)

  • 이경한;이상형;여정석;곽철은;정준기;이명철;조병규;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2-30
    • /
    • 1994
  • Encephalo-duro-arterio-synangiosis (EDAS) is a relatively new surgical procedure for treatment of childhood moyamoya disease. We assessed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 moyamoya patients before (1.3 mo) and after (6.8 mo) EDAS with $^{99m}Tc$-HMPAO brain SPECT. A total of 21 EDAS operations in 17 moyamoya patients was included. Preoperative CT or MRI showed cerebral infarction in 14 patients and carotid angiography showed Suzuki grade I to V stenosis in 6%, 9%, 62%, 12% and 12% of the hemispheres respectively. Preoperative SPECT showed regional hypoperfusion in all patients, bilateral frontal and temporal lobes being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site. $4{\times}4$ pixel sized ROIs were applied on the frontotemporal cortex in 3 slice averaged transverse tomographic images. An index of regional perfusion was measured as: PI (%)=average F-T activity/average cerebellar activity${\times}100$ Pre-EDAS ipsilateral PI ranged from 23.7 to 98.4% (mean: $74.3{\pm}17%$) and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peration ($81.4{\pm}17%$, p<0.001). Individual post-EDAS PI improved in 15/21 cas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5 and was slightly aggravated in 1. The amount of clinical improvement (${\Delta}CI$) was graded with a scale of 0 to 4 based on frequency and severity of TIA attacks. When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pre-EDAS PI, group II (PI 70-89)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elta}CI$ (3.3) compared to group I (PI< 70, 1.57) or group III (PI >90, 0.5) (P< 0.001). The amount of perfusion improvement (${\Delta}PI$)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lta}CI$ (r=0.42, p=0.04). ${\Delta}PI$ did not, however, correlate with the amount of neovascularization assessed angiographically in 8 patients. Serial HMPAO SPECT is an useful noninvasive study for assessing perfusion improvement after EDAS in childhood moyamoya patients.

  • PDF

소아기에 발현한 C형 Niemann Pick 병 1례 (A Case of Childhood-Onset Niemann Pick Type C Disease)

  • 정지원;서고훈;오아름;진희경;배재성;김구환;유한욱;이범희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0-34
    • /
    • 2018
  • C형 Niemann-Pick 병은 NPC1 및 NPC2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된다. 신생아 간염 및 간비비대로 발현하며 안구의 수직운동 마비, 조화운동불능, 근육긴장이상, 경련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서서히 발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자들은 복부 팽만 및 심한 비장비대로 입원한 3세 남아에서 간 조직 검사 및 유전자 검사, 섬유모세포의 Filipin 염색으로 확진 된 C형 Niemann-Pick 병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해양바이오물질이 PCB의 독성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on the Toxicity of Environmental Pollutants)

  • 이현교;김혜영;양재호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2-107
    • /
    • 2007
  • 산업의 발달과 함께 환경오염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도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PCB는 우리 주변에 널리 퍼져 있고 먹이사슬을 통해 체내에도 축적되어 인체의 위해성이 우려되는 대표적인 환경오염물질이다. PCB의 노출은 성장기의 두뇌에서 가장 큰 신경독성을 나타내며 영아 및 유아는 상대적으로 높게 노출되어 위험집단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PCB의 신경독성에 구조-활성관계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PCB에 의한 독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해양활성물질의 사용가능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PCB노출에 따른 신경세포의 신호전달 체계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Protein Kinase C (PKC)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KC의 전체적인 활성을 [$^3H$]PDBu로 분석한 결과 ortho-position(PCB-105, -123)을 가지고 있는 PCB가 non-ortho (pCB-77, -81) 구조보다 신경에 미치는 영향은 더 높았다. Westem blot 결과 PKC isofonn 중에는 PKC-beta II 및 epsilon의 경우 ortho-position PCB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PKC의 변화는 성장기 신경세포에서 신호전달기작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예방하거나 차단 할 수 있는 물질을 발견하고자 다양한 키토산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1백만 달톤 이상의 고분자 키토산의 경우 PCB에 의한 신호전달 기작 변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 등에 의한 독성예방에 키토산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생쥐 모델에서의 별아교세포 유래 신경전달물질 분석 (Analysis of Gliotransmitters in ADHD Mice)

  • 김가연;박재원;윤보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7-604
    • /
    • 2018
  • ADH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은 4-17세의 아동 및 청소년의 약 10%가 겪는 흔한 신경 발달 장애이지만 그 핵심 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은 가운데 관련한 여러 단백질들이 보고되어왔다. 이중 GIT1 (G-protein coupled-receptor kinase interacting protein-1)은 중추신경계에서 dendritic spine formation와 growth에 영향을 미치는 multifunctional adaptor protein으로, GIT1이 제거된 생쥐는 과잉행동, 주의력결핍 그리고 충동성을 보이는 ADHD 증상을 보이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GIT1 유전자 변형 생쥐를 이용하여 genotype별로 신경교세포의 전달물질(gliotransmitter)을 비교 분석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주요 흥분성 전달물질인 glutamate는 HE (hetero)와 KO (knock-out)의 세포 내에서 WT (wildtype)보다 더 높은 농도로 존재했다. 한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와 glycine의 경우 전반적으로 HE에서 가장 많은 함유량을 보였지만 소뇌 세포내의 경우, KO이 WT보다 많은 양을 함유한 것에 비해 대뇌 세포 내에서는 KO보다 WT의 억제성 전달물질 함유량이 높았다. 또한, glutamate와 GABA를 기준으로 흥분성/억제성 비율(excitation/inhibition ratio)을 보았을 때, 소뇌 세포 내/외 모두에서 KO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대뇌에서는 세포 내/외 모두 HE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가 KO의 대뇌 세포 외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GIT1 결손을 보완하기 위해 억제성 물질을 더 많이 분비하거나 또는 과도하게 분비된 GABA를 재흡수하지 못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이는 ADHD 병리기전으로써 기능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해당 기전에 대한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흰쥐의 족삼리 및 태충 전침자극에 따른 뇌대사활성의 변화 (Alterations of Cerebral Metabolic Activation Following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ST36 and LR3 Acu-Points in Rats)

  • 손영주;정혁상;구자승;원란;김용석;박영배;손낙원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59-174
    • /
    • 2002
  • Objective : The meridian theory in oriental medicine explains that each acu-point has a characteristic functional effect. It will be supposed that an acupuncture stimulation on different acu-point evokes different activation on different area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CNS) according to the meridian theory. On this supposition, our group tried the semi-quantitative [14C]2-deoxyglucose([14C]2-DG) autoradiography on the acupuncture stimulation to the hindlimb acu-points of Sprague-Dawley rats. Methods : A venous catheter for th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isotope was equipped in the right external jugular vein on 3 days prior to the [14C]2-DG study. On the day of the study, two acupuncture needles were inserted into the ST36(Zusanli) or LR3(Taichong) on the left hindlimb.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2 Hz, 5 ms, 1~3 mA, 15 minutes) started just before the i.v. injection of [14C]2-DG ($25{\mu}Ci/rat$). The brain and the spinal cord were removed and processed for the [14C] 2-DG autoradiography. Results : The EA stimulation on ST36 reveals over 120% metaboilc activation in Arcuate nucleus, Anterior pretectal nucleus, Dorsal cochlear nucleus, Interposed cerebellar nucleus, and Nucleus of Darkschewitsch. The EA stimulation on LR3 reveals over 120% metaboilc activation in Lateral habenula nucleus, Medial vestibular nucleus, Ventromedial thalamic nucleus, Anteroventral thalamic nucleus, Anterior cingulate cortex, Dentate gyrus, Antero cortical amygdaloid nucleus, Anterior pretectal nucleus, and Dorsal tegmental nucleus compared with the non EA stimulation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ifferent acu-points evoke the different activations in brain areas. And with this functional brain mapping study, a new scientific elucidation for the basis of the acupuncture-meridian theory in oriental medicine through differences of activated area in CNS according to the each acupuncture poi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