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sporin antibiotic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1초

장티푸스균이 Vi-phage형 및 항생제감수성에 관한 연구 (Vi-Phage Type Distribution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typhi in Korean(1982))

  • 이복권;김병훈;정태화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6
    • /
    • 1983
  • We collected three hundred thirty-five strains of Salmonella typhi isolated from human sources during the period January to December 1982 Korea. Most of them were from general hospitals and city health center, the remaining one hundred sixtyone strains were obtained from other 12 provincial health centers among 335 testing strains. We used ninety-nine Vi-phages as distributed from International Center for Enteric phage Typing(ICEPT) in London. We found nine phage types among 335 strains of Salmonella typhi in this study. Additionally, I+IV, degraded Vi-positive and Vi negative strains were presented. This study documented the occurrence of the new $B_2$ type in Korea for the first time. The present basic phage type formula in Korea appeared to be A, $B_2,\;D_1,\;D_2,\;D_4,\;D_6,\;D_8,\;D_{12},\;E_1,\;E_9,\;D_1,\;M_1$, 40 and plus I+IV and degraded vi strains(Table 2). The current phage types of Salmonella typhi isolated in Korea 1982 were A, $B_2,\;D_1,\;D_2,\;D_6,\;D_8,\;E_1,\;M_1$ and 46 $M_1$ type was widely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and E type was next predominant.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were performed by means of Kirby-Bauer disc diffution method using 12 kind of antibiotics such as Ampicillin, Carbenicillin, Cephalosporin, Chloramphenicol, Colistin, Gentamicin, Kanamycin, Nalidix acid, Neomycin, Polymyxin-B, Streptomycin and Tetracycline. The sensitivity pattern to antibiotics of Salmonelia typhi cultures were summarized.

  • PDF

Pharmacokinetics and Bioavailability of Oral Cephalosporins, KR-984055 and its Prodrugs, KR-999001 and KR-999002, in the Red

  • Park, Yong-Soon;Woo, Su-Kyung;Jung, Myung-Hee;Kwon, Kwang-i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83-88
    • /
    • 2003
  • KR-984055 is a new oral cephalosporin antibiotic with activity against both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Lipophilic ester-type prodrugs of KR-984055, i.e., KR-999001 and KR-999002, have been synthesized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oral bioavailability of this broad-spectrum antibiotic agent.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ral bioavailability of KR-984055 and its prodrugs in the rat, and evaluated the pharmacokinetic model that best describes the plasma concentration behavior following single intravenous (IV) and oral single dose. In addition, concentrations in plasma as well as biliary and urinary recovery of KR-984055 were determined. Also, protein binding of KR-984055 in plasma was examined in vitro. The degree of protein binding of KR-984055 was in the range of 92.09~94.77%. KR-984055 exhibited poor oral bioavailability (7.02$\pm$1.58%). The observed oral bioavailabilities of KR-984055 from KR-999001 and KR-999002 were 38.77$\pm$2.81 % and 39.81$\pm$5.25%, respectively. These data were calculated from the levels of free KR-984055 in plasma. Oral KR-999001 and KR-999002 were not recovered from plasma, suggesting that it was readily cleaved to free KR-984055. KR-999001 and KR-999002 appear to be an efficient oral prod rug of KR-984055 that deserved further clinical evaluation in human.

식사대용 식품(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and Assessment of the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Ready to Eat Meals)

  • 홍은경;김윤아;이도경;강병용;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5-2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 초까지 497개의 초밥, 김밥, 샌드위치 등의 식사대용 식품 검체를 수거하여 식품공전을 토대로 식사대용 식품에서 유래되는 미생물학적 인 오염도를 조사하고, 현대 사회에서 항생제 사용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심각한 상황을고려하여 분리된 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거된 검체를 실험한 결과 김밥에서 4개(1.4%)의 Escherichia coli가 분리되었고, 초밥, 샌드위치 등에서는 분리되지 앓았다. 또한 김밥에서 12개(4.4%), 초밥에서 8개(5.4%), 샌드위치에서 2개(4.3%)로 총22개(4.4%)의 Staphylococcus aureus가 분리되었다.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26개의 균주로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의 기준에 의거하여 vancomycin, teicoplanin, gentamycin, cipro-floxacin, synercid, cefotaxime, lincomycin, meropenem, cefazo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으로 총 10개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E. coli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E. coli 4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은 그람 음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인 gentamycin, ciprofloxacin, cefotaxine, meropenem, cefazol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으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해서는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되었다.

흰쥐의 비강과 공장에서의 세픽심의 흡수기전 (Absorption Mechanism of Cefixime through the Nasal Cavity and Jejunum in Rats)

  • 박기배;노현구;이광표
    • 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4-122
    • /
    • 1994
  • A study on the absorption mechanism of cefixime(CF), an oral ${\alpha}-amino$ group deficient cephalosporin antibiotic, has been undertaken through the rat jejunum and nasal cavity using an in situ simultaneous perfusion technique developed in our laboratory. CF was well absorbed in the jejunum and nasal cavity of rats at pH 5.0, but not at pH 7.0. CF absorption was studied over four orders of magnitude in concentration to determine saturability. Disappearance of CF in the perfusate followed first-order kinetics at all tested concentrations. The apparent first-order absorption rate constant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ver the range of $0.1\;mM{\sim}3\;mM$ in the jejunum and nasal cavity of rats. Inhibitors were added to determine the competitive inhibition of CF absorption. The presence of L-tyrosine, L-phenylalanine, alanine-alanine, glycine-glycine and cefadroxil produced the significant inhibition of CF absorption in the nasal cavity and jejunum. However,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inhibition in the presence of cefazolin. In addition, The CF absorption in the nasal cavity and jejunum was inhibited significantly by ouabain and 2,4-dinitrophenol(DNP). This study suggested that CF is absorbed across the rat nasal cavity and jejunum by carrier-mediated transport mechanism and energy consuming system.

  • PDF

소아에서의 Ceftriaxone 투여에 따른 거짓담석증: 불필요한 수술의 방지를 위하여 (Biliary Pseudolithiasis in Children: To Avoid Unnecessary Surgical Procedure)

  • 김신영;임수아;이명덕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62-64
    • /
    • 2014
  • Gallbladder stones in children are not common without underlying hemolytic diseases or other risk factors like obesity. Ceftriaxone, a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 is known to make biliary precipitations that can be mistaken for biliary stones. We here report two children with biliary pseudolithiasis with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One child was mistaken for symptomatic gallbladder stones and underwent electiv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hile the other child, after thorough history taking on the ceftriaxone medication, was suspected of biliary pseudolithiasis and was treated conservatively. Both children had the history of usage of ceftriaxone in previous hospitals for infectious diseases. The ceftriaxone history of the first child was missed before the surgery. When gallbladder stones are found in children without any underlying diseases, specific history taking of the usage of ceftriaxone seems to be absolutely required. In this case, immediate interruption of the antibiotic could resolve the episode and avoid unnecessary surgical procedure.

세 가지의 ESBL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Klebsiella pneumoniae의 유전자접합체와 헝질전환체의 항생제내성분석 (Analysis of Antibiotic Resistant Patterns in Conjugant and Transformant of Three ESBL gene Harboring Klebsiella pneumoniae)

  • 김윤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426-1433
    • /
    • 2007
  • 우리는 ESBL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균의 항생제 내성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서 부산에 있는 임상실험실로부터 Klebsiella pneumoniae 한 균주를 수집하였다. 그 세균은 이중 디스크 확산법에 의해 ESBL을 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라는 것이 밝혀졌고 PCR과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세 가지의 ESBL gene (TEM-1, SHV-12, CTX-M-15)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 세 가지 유전자의 특징을 알아내기 위해서 우리는 이 균주로부터 교차접합시험, 형질전환시험, 클로닝(SHV-12 gene)등을 이용하여 재조합균주를 배양하였다. 이렇게 각기 재조합된 균주들을 한천평판희석법을 이용하여 3세대 cephalosporin 항생제 (ceftazidime, cefotaxime, ceftriaxone)에 대한 최소억제농도의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Klebsiella pneumoniae (NO. 60031)의 MIC는 ceftazidime ($30\;{\mu}g/ml)$, cefotaxime ($30\;{\mu}g/ml$), ceftriaxone ($30\;{\mu}g/ml$)이 각각 ${\geq}256\;{\mu}g/ml,\;128\;{\mu}g/ml,\;128\;{\mu}g/ml$이었고, E. coli $RG176^{Na(r)}$에 교차접합 시킨 conjugant 균주의 MIC는 ceftazidime, cefotaxime, ceftriaxone이 각각 ${\geq}256\;{\mu}g/ml,\;64\;{\mu}g/ml,\;128\;{\mu}g/ml$이었다. E. coli $DH5{\alpha}$에 형질전환 시킨 transformant 균주의 MIC는 ceftazidime, cefotaxime, ceftriaxone이 각각 $128\;{\mu}g/ml,\;32\;{\mu}g/ml,\;32\;{\mu}g/ml$를 나타내었고, SHV-12 gene 만을 분리하여 E. coli $DH5{\alpha}$에 클로닝 시킨 균주는 ceftazidime, cefotaxime, ceftriaxone이 각각 $128\;{\mu}g/ml,\;8\;{\mu}g/ml,\;32\;{\mu}g/ml$을 나타내었다. 결국 conjugant 균주와 transformant 균주는 세 가지의 내성유전자를 가졌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conjugant 균주의 MIC가 transformant 균주의 MIC보다 높게 나타나는 차이점을 보였다. 또한 SHV-12 gene 만을 분리하여 E. coli $DH5{\alpha}$에 클로닝 시킨 균주는 ceftazidime, ceftriaxone에 내성을 발현하였지만 cefotaxime에 대해서는 내성을 발현하지 않았다.

소아의 살모넬라 감염증: 최근 10년동안 살모넬라 배양 양성인 72례에 대한 분석 (Salmonellosis in children: Analysis of 72 Salmonella-positive culture cases during the last 10 years)

  • 노성훈;유가영;김정수;황평한;조대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7호
    • /
    • pp.791-797
    • /
    • 2009
  • 목 적 : 살모넬라는 우리나라에서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그러나 요즈음 살모넬라 환아에 대한 임상적 양상과 항생제 내성여부에 관한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환경 위생 시설의 개선 등으로 살모넬라 감염 환아의 양상과 동정되는 살모넬라 균주의 변화, 그리고 항생제 내성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9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약 10년간 전북대학교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하여 대변이나 혈액 배양검사로 확인된 살모넬라 감염 환아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항생제 사용, 검사실 자료 등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룹으로 나누어 후향적으로 각종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선천적으로 동반 질환을 갖고 있는 환아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으며 심각한 중증 질환에 이환되어 있거나 면역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우리는 총 72명의 환아를 분석하였다. 그중에서 68명에서 대변배양검사 양성이었고 7명에서 혈액배양검사 양성이었으며 3명은 두 가지 모두 양성이었다. 살모넬라 D 그룹이 대변배양검사에서 가장 흔한 병원체였고(63.9%) 혈액 배양에서도 가장 흔한 병원체였다(71.4%). S. typhi는 1명에서 배양되었으며, S. paratyphi도 1명에서 배양되었다. 45명(62.5%)이 남아였고 29명(40.3%)이 3세 미만이었다. 설사(90.2%)와 열(83.3%)이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이었다. 말초혈액 백혈구 증가증(백혈구 >$15,000/{\mu}L$)이 8.3%이고 백혈구 감소증(백혈구 <$4,000/{\mu}L$)이 5.6%였다. CRP의 상승(>5 mg/dL)이 88.9%였고 ESR의 상승(>20 mm/hr)이 58.3%였다. 항생제 치료를 받은 환아 61명중 52명(85.2%)이 3세대 세팔로스포린을 최종 항생제로 치료받았다. 다제 약제 내성(3가지 약제이상에 내성)이 처음 5년 동안에는 40.0%였으나 나중 5년 동안에는 71.4%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였고 이 기간 동안 사망 환아는 없었다. 결 론 : 살모넬라 배양에 양성인 환아들은 상대적으로 양성인 임상경과를 보였으며 항생제 치료는 2주 미만의 투여가 적절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최근 들어 항생제에 대한 내성 균주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소아 원외 요로감염 환아에서 분리된 E. coli에 대한 cefixime을 포함한 경구 항생제의 감수성 연구 (Susceptibility tests of oral antibiotics including cefixime against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ediatric patients with community 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 이수영;이정현;김종현;허재균;김선미;마상혁;강진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777-783
    • /
    • 2006
  • 목 적 : 최근 소아 요로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인 E. coli에 대한 항생제 내성 문제가 점차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원외 요로감염 환아에서 분리된 E. coli에 대한 cefixime을 포함하여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경구용 항생제의 시험관 내 감수성 연구를 시행하여 적합한 치료 항생제 선택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연구 참여 병원 소아과 외래에서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206명 환아의 요 배양검사에서 동정된 211개 균주 중 188개 E. coli를 대상으로 경구용 항생제(ampicillin, amoxillin, ampicillin-sulbactam, cefaclor, TMP-SMX, cefixime)에 대한 시험관 내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분리된 E. coli 균주에 대한 항생제별 감수성 결과에서 내성률은 각각 ampicillin 81.4%, amoxicillin 85.6%, ampicillin-Sulbactam 77.2%, cefaclor 93.6%, TMP-SMX 50.5%, cefixime 13.3%이었다. ESBL 생성 E. coli는 7.0%이었다. 결 론 : Aminopenicillins계, cefaclor, sulfa약제들은 E. coli에 대한 내성률이 매우 높아 소아 요로감염의 일차 선택 항생제로 유용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cefixime과 같은 3세대 cephalosporin은 일차 치료 실패할 경우 이차 선택항생제로 유용할 수 있으며, 일차 선택 항생제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E. coli의 항생제 내성 양상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와 지속적 감시를 통하여 소아 원외 요로감염 치료에서 1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경구용 항생제에 대한 지침 자료가 요구된다.

단일 기관에서 소아 환자들의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implications on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solated from the specimen of pediatric pati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 박여훈;김기주;김기환;전진경;이택진;김동수;박은숙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2호
    • /
    • pp.162-170
    • /
    • 2007
  • 목 적 :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이하 VRE)은 1980년대 후반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전세계적으로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소아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 등은 소아 환자의 VRE 감염 빈도 및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VRE 균주의 임상 양상과 VRE 감염의 위험인자 및 경과에 대해 조사하여 VRE 감염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한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에서 분리된 VRE 230주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는 ICU 환자군과 Non-ICU 환자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간에 있어 VRE가 분리되기 전 처치형태 및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ICU 환자군 및 수술이나 중재적 시술을 받았던 경우, 3세대 cephalosporin이나 glycopeptide등의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했던 경우에서 VRE 분리 빈도가 높았으며 대부분의 경우 E. faecium이 분리되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tetracycline을 제외한 항생제에 높은 내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분리 전 3세대 cephalosporin의 투여 비율이 가장 높았다. 3세대 cephalosporin의 투여 비율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나 2006년에 들어서는 glycopeptide의 사용이 감소하였으며, 2006년에는 VRE가 분리된 환아 수가 감소하였으나 1998년부터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결 론 : 소아의 경우에서도 VRE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VRE 감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군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와 항균제 사용 제한이 필요하며 이미 분리된 환자에 있어서도 신중한 항생제 선택과 함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감염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