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sporin antibiotic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6초

방선균이 생산하는 Cephalosporin 내성 병원성 Pseudomonas에 유효한 항생물질 (An Antibiotic from Actinomycetes Becoming Effective for Cephalosporin Resistant Pathogenic Pesudomonas sp.)

  • 하병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1-278
    • /
    • 1999
  • We isolated activnmycetes LAM-98-80 as strain producing an effective antibiotic for cephalosporin re-sistant pathogenic PSeudomonas sp. and identified as Streptomyces sp. LAM-98-80 from cultural and phyisological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producation of an anti-biotic becoming effective for cephalsporin-resistant pathogenic Pseudomonas sp. It was found that 1.5% soluble starch and 1.0% yeast extract were good as carbon and nitrogen source respectively.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was also activated by 0.04% Mn2+ as 80% degree. The optimum initial pH on pro-ductio of antibiotic was pH 7.0. The culture condition for the maximal productivity of the antibiotic was at 3$0^{\circ}C$ for 5 days. The cephalosporin-resistant pathogenic Pseudomonas sp. as test bacteria was rev-ealed to resist antibiotic of cepha families but revealed to not resist those of $\beta$-lactam families ampicil-lin and amoxicillin. Parital purified antibiotic was stable for the pH from 3 to 9 and was also stable when treated at 70 $^{\circ}C$ for 1 hour, This antbiotic was effective against all gram 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but was not effective against molds and yeasts.

  • PDF

세파계 항생제, YH1226의 유전독성 평가 (Genetic Toxicity Studies of YH1226, a Cephalosporin Antibiotic)

  • 허광원;오혜영;박장환;허옥순;순수정;한의식;김명희;강희일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9-92
    • /
    • 1998
  • The results of chromosome aberration test in mammalian cells in culture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cells) showed no induction of structural and numerical aberrations by YH1226, a cephalosporin antibiotic regardless of metabolic activation, while positive control group (mitomycin C and benzo(a)pyrene) showed structural chromosome aberrations of 25% and 10%, respectively. The in vivo induction of micronuclei was measured in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 bone marrow of male ddY mouse given YH1226 at 500, 250, 125 mg/kg by i.p. once. After 24 hours, animals were sacrificed and evaluated for the incidence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 whole erythrocytes. Although a positive response for induction of micronuclei in animals treated with mitomycin C demonstrated the sensitivity of the test system for detection of a chemical clastogen, YH1226 did not induce microunclei in bone marrow of ddY male mice.

  • PDF

1973년에 분리된 병원성세균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Pathogens Isolated from Clinical Sources 1973)

  • 박기영;이홍균;심재용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24
    • /
    • 1974
  • During March to October 1973 at National Medical Center, one thousand four hundred sixty four pathogens that exclude penicillin sensitive organisms such as gonococcus, pneumococcus, streptococcus; ampicillin sensitive H. influenzae and gentamicin sensitive pseudomonas spp, were isolated. These strains identified as follows: Sta. aureus 399 E. coli 359 Sta. epidermidis 183 Klebsiella spp 171 Proteus spp 103 B. anitratum 80 Salmonella spp 68 Enterococcus 53 Shigella spp 48 In general, Sta. epidermidis is regarded as nonpathogen, however, author included pure culture of this bacteria in this study. 1. High susceptibility to staphylococcus reveals cephalosporin, methicillin, gentamicin & leucomycin. 2. Ampicillin is only one susceptible antibiotic to Enterococcus. 3. Cephalosporin and gentamicin reveal susceptible antibiotics to E. coli. 4. Gentamicin is only one susceptible antibiotic to Klebsiella spp. 5. Gentamicin & carbenicillin reveal moderately susceptible antibiotics to Proteus spp. 6. There is no susceptible antibiotic to B. anitratum. 7. About thirty percent strains of salmonella are resistant to chloramphenicol. 8. Carbenicillin, cephalosporin & gentamicin reveal susceptible to shigella spp. 9. Multiple resistant rate to more than two antibiotics which includes tetracycline are as follows. Sta. aureus 56.5% E. coli. 80.9% Shigella spp 93.8%

  • PDF

소아청소년에서의 항생제 사용량 변화에 따른 그람음성 균주의 항생제 내성률 변화 양상 (The Impact of Antibiotic Burden on the Selective Resistance of Gram Negative Bacteria in Children)

  • 박세라;이은택;소혜진;유리나;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2호
    • /
    • pp.82-91
    • /
    • 2021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의 혈액에서 분리된 주요 그람음성 균주의 항생제 내성 양상을 파악하고 항생제 사용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소아청소년에서 발생한 그람음성 균주 균혈증 중 Acinetobacter baumannii,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총 4가지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 원내에서 소아에게 주로 사용하는 정주용 항생제의 사용량과 항생제 내성률의 변화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기간 동안 전체 혈액배양에서, K. pneumoniae (6.4%; 105/1,628), E. coli (5.6%; 91/1,628), P. aeruginosa (3.3%; 54/1,628) 및 A. baumannii (2.5%; 41/1,628)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2014-2018년에 분리된 E. coli와 K. pneumoniae의 광범위 cephalosporin 계열에 대한 내성률은 각각 49.3%와 54.4%였다. 2014년도에는 carbapenem에 내성을 보이는 E. coli 균종이 처음 출현하였고, 5년간의 내성률은 5.3%였다. 연구기간 동안 항생제 사용량과 항생제 내성률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3세대 cephalosporin 사용량과 A. baumannii의 내성률(r2=0.96, P=0.004) 그리고 carbapenem의 사용량과 K. pneumoniae의 내성률(r2=0.79, P=0.045) 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결론: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그람음성균 균혈증 분석 시 3세대 및 4세대 cephalosporin에 대한 높은 내성률이 확인되며, carbapenem에 대한 내성도 확인되고 있다. 일부 항생제 사용량과 해당 약제에 대한 내성률에 선형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항생제 사용량이 내성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지속적인 원내 항생제 사용량 및 내성률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며, 적절한 항생제의 선택 및 관리는 내성균주 출현 예방 및 치료 성적 향상에 필수적이다.

FOUR-WEEK REPEATED INTRAVENOUS TOXICITY OF A NOVEL CEPHALOSPORIN ANTIBIOTIC, IDC7181, IN BEAGLE DOGS

  • Kwon, Woon;Zhang, Hu-Song;Zheng, Mei-Shu;Jung, Eun-Yong;Sin, Ji-Soon;Rho, Yong-Woo;Ji, Hyeong-Jin;Chai, Hee-Youl;Cho, Young-Min;Kang, Jong-Koo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Current Trends in Toxicological Sciences
    • /
    • pp.120-120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 repeated intravenous toxicity of a novel cephalosporin antibiotic, IDC7181, in Beagle dogs. Four groups, each consisting of 3 male and 3 female dogs (one year old, body weight 8 - 10 kg), were intravenously administered with IDC7181 at dose levels of 0 (vehicle control), 10, 50 or 250 mg/kg/day, respectively, for 28 days.(omitted)

  • PDF

유동층 생물반응기에서 세파로스포린 C 생산에 대한 메치오닌의 영향 (Effect of Methionine on Cephalosporin C Production in a Fluidized- bed Bioreactor)

  • Kim, Eui-Yong;Yoo, Young-Je;Park, Young-Hoo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11-618
    • /
    • 1989
  • Cephalosporium acremonium 균주로 미생물 고정화 증식입자를 제조하여 유동층 생물반응기에서 세파로스포린 C 생산에 대한 메치오닌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메치오닌은 세파로스포린 C 생합성에 매우 중요한 대사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는데, 본고에서는 초기 발효배지 내 메치오닌 농도의 영향과 이를 토대로 생물반응기에 메치오닌을 주입하였을 때 세파로스포린 C 생산에 미치는 메치오닌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초기 배지 내에 존재하는 메치오닌에 의해 세파로스포린 C 생산성이 증가하였으며, 메치오닌의 최적양(0.3-0.5w/v%)이 존재하였다. 또한 메치오닌에 의해 탄소원의 소모속도가 증가됨이 관찰되었다. 배지내 메치오닌이 고갈될 때 세파로스포린 C 생산이 극대화되었으나 유동층 생물반응기에서 메치오닌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였을 때 그 효과는 기대한 수준에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생체내 메치오닌의 축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고정화 증식입자를 사용하였을 때 세파로스포린 C 생산에 양호한 결과를 얻었는데 이 경우에도 적정량의 메치오닌 투여가 생산성에 중요한 인자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유동층 반응기의 운전에 의해 세포로스포린 C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운전단계에서 최적양의 메치오닌을 주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고정화 증식입자의 사용에 의해 공정생산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Biosynthesis of $\beta$-Lactam Antibiotics by Cell-free Extract from Lysobacter lactamgenus

  • Roh, Ju-Won;Nam, Doo-Hy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34-238
    • /
    • 1992
  • Using cell-free extract of Lysobacter lactamgenus, enzymatic conversion of $\delta$-L-($\alpha$-aminoadiphyl)-L-cysteinyl-D-valine (ACV) the first substrate of $\beta$-lactam biosynthesis, into antibiotic compounds was attempted. I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 analysis, the biosynthetic intermediates for cephalosporin antibiotics including isopenicillin N, deacetoxycephalosporin C, deacetylcephalosporin C and unknown cephem compound were detected in reaction mixtures. It implies that cephabacin compounds from L lactamgenus could be produced by biosynthetic routes through penicillin ring formation and its expansion to cephalosporin ring, likely as cephalosporin C from Cephalosporium or cephamycin C from Streptomyces. Among biosynthetic enzyme in cell-free extract, the ring formation activity (isopenicillin N synthetase activity) was separated in 50-60% of ammonium sulfate fraction, and ring expansion activity (deacetoxycephalosporin C synthetase activity) was found to be in 40-50% fraction. The partially purified isopenicillin N synthetase could convert as much as 90% ACV to isopenicillin N during 6-hour reaction.

  • PDF

Biosynthetic Gene Cluster of Cephabacin for the Combinatorial Biosynthesis of $\beta$-Lactam Antibiotics

  • Chang, Hyun-Sung;Park, Myoung-Jin;Atanas Demirev;Nam, Doo-H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1
    • /
    • pp.85-87
    • /
    • 2003
  • $\beta$-Lactams are historically and clinically representative antibiotics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In early days, penicillin (penam antibiotic) and cephalosporin (cephem antibiotic) were found in culture broth of two different filamentous fungi, Penicillium chrysogenum and Acremonium chrysogenum. Since 1970, a variety of $\beta$-lactam structures have been discovered from bacterial cultures including Streptomyces species, which are known as cephamycin, cephabacin (cephem antibiotics), clavulanic acid (oxopenam antibiotic), thienamycin (carbapenem antibiotic), and sulfazecin (monobactam antibiotic). (omitted)

  • PDF

항생제 사용량 변화에 따른 그람음성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의 변화 양상 (The Impact of the Antibiotic Burden on the Selection of its Resistance among Gram Negative Bacteria Isolated from Children)

  • 김서희;유리나;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3호
    • /
    • pp.178-185
    • /
    • 2015
  • 목적: 국내 소아 그람음성균혈증에서 항생제 내성변화 및 항생제 사용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최근 10년간 18세 이하 입원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된 그람음성균의 항생제 내성률 변화 및 항생제 사용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폐렴막대균, 대장균, 녹농균,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분리율은 연간 혈액배양 1,000건당 각각 4.6례, 3.5례, 3.4례 및 2.2례였다. 폐렴막대균에서 광범위 세팔로스포린에 대한 내성변화는 없었으나 2010년부터 카바페넴 내성 폐렴막대균이 동정된 후 점차 빈도가 증가하였다. 대장균의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내성이 10%에서 50%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카바페넴 내성이 11%에서 71%로 크게 증가하였다(P for trend <0.01). 녹농균은 여러 항생제에 높은 내성을 보였으나 유의한 내성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대장균의 cefepime 내성과 cefepime 사용량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00, P=0.037). 결론: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그람음성균 균혈증 분석시 카바페넴 및 광범위 세팔로스포린 내성이 증가하였고 일부에서 항생제 사용량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원내 경험적 항생제 결정시 중요한 고려 사항이며 추후에도 지속적인 원내 항생제 사용량 및 내성률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