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pod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수산물의 지질에 관한 연구 (제4보) -두족류의 근육지질성분에 대하여- (Studies on the Lipid of Aquatic Products (Part 4) On the Flesh Lipid Composition of Cephalopods)

  • 하봉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9-73
    • /
    • 1982
  • 두족류의 근육지질의 특징을 알기 위하여 3종의 두족류를 사료로 하여 이들 근육에서 총지질을 적출하였고, 이를 thin layer chromatography, column chromatography 및 gas-liquid chromatography 그리고 TLC-scanner를 이용하여 총지질을 구성하는 지질성분. 지방산조성, sterol조성 그리고 총지질에서 분획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린지질의 지방산조성을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료의 총후무사양은 생시료에 대하여 문어가 $0.5\%$, 낙지가 $0.8\%$ 그리고 꼴뚜기가 $0.6\%$였고 이들 평균지질함양은 $0.6\%$였다. 그리고 총지질의 전지방산양은 문어가 $19.3\%$, 낙지가 $47.8\%$,꼴뚜기가 $38.4\%$였으며, 불광화물양은 문어가 $10.9\%$, 낙지가 $15.8\%$, 꼴뚜기가 $41.1\%$로서 높은 함양을 나타냈다. 2) 총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sterol성분과 극성지질일색소 혼합층의 함양분포가 총지질에 대하여 각각 $27.0\sim35.5\%$ 그리고 $38.3\sim63.4\%$로서 시료에서 다 같이 높은 함양을 나타내고 있어 총지질이 주성분을 이루며, 문어의 근육에는 다른 시료보다 sterol성분의 함양이 높았다. 그리고 그가 소양성분으로 triglyceride, 유리지방산 및 탄화수소-esterified sterol혼합층이 분리 동정되었다. 3)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은 시료에서 다 같이 Palmitic acid가 주성분을 이루고 그외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및 eicosapentaenoic acid가 구성지방기의 주체를 이루고 있다. 특히 문어의 총지질에는 palmit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 $82.4\sim89.1\%$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 $50.0\sim70.5\%$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 8) 린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함양이 가장 많았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가 구성지방산의 주성분이었다. 본 연구는 1981년도 문교부연구조성비의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을 밝힌다.

  • PDF

유실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에 어획된 붕장어의 위내용물 분석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of Sea-eel Conger myriaster Caught from lost Plastic pot)

  • 정순범;이주희;김형석;오윤택;조삼광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2호
    • /
    • pp.149-155
    • /
    • 2002
  • Ghost fishing으로 추정되는 유실된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에 어획된 붕장어의 섭이 상태와 개체의 성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통발 조업선에 어획된 붕장어와 트롤 그물에 어획된 붕장어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어획된 붕장어의 평균 전장은 연안 통발 조업선과 시험 조업에서 어획된 것이 33.6cm, 트롤 그물에 어획된 것이 48.9cm 그리고 수거된 유실 통발에 어획된 것이 45.6cm이었다. 이러한 체장의 분포는 붕장어가 성장하면서 연안에서 외양으로 나간다는 사실과 일치한다. 위내용물 조사에서 먹이를 섭이하지 못해 위내용물이 전혀 없었던 붕장어의 비율은 통발 조업선 5.0%, 트롤 4.2% 그리고 유실 통발 87.6%로 유실 통발에서 17~20배 높게 나타났다. 먹이로써 어류를 섭이한 붕장어의 비율은 통발 조업선이 98.7%, 트롤이 78.8% 그리고 유실 통발이 63.3%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먹이 생물은 갑각류와 두족류 등이었다. 순체중과 전장을 이용하여 계산한 비만도는 트롤 어획물이 1.514이고, 유실 통발 어획물이 1.292로서 약 15%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자료에 대한 공 분산분석에서 실시한 t검정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위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도해역 낭장망의 어획물 실태에 따른 어업관리 방안 (Study for fishery management measure on gape net with wings with catch composition in the water of Jin-do)

  • 신종근;최문성;서영일;차형기;이선길;김희용;오택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4호
    • /
    • pp.404-418
    • /
    • 2013
  • In this study, we conducted field surveys to investigate and analyze species and length composition of catch from gape net with wings being set in two areas - Masari, Supomri - located in southern part of Jin-do for understanding fishing characteristics of gape net with wings fishery from March to September of 2011. And with those results, we attempted to propose fishery management strategy to harvest fisheries resources continuously. Catch obtained from field surveys comprised total 78 species, which accounted for 53 species of fish, 20 species of crustacean, 4 species of cephalopod and one of polychaete. As to species composition in weight, it showed that there was 88.5% for pisces, 9.0% for cephalopoda and 2.5% for crustacea. As to catch specifics by area, there was 36 species (596,891 individual, 456,551g) of pisces, 17 species (35,815 individual, 12,909g) of crustacea and 3 species (2,876 individual, 3,004g) of cephalopoda in Masari area. In Supumri area, there was 41 species (396,898 individual, 281,457g) of pisces, 15 species (16,113 individual, 7,772g) of crustacea and 4 species (6,792 individual, 72,329g) of cephalopoda and one polychaeta (36 individual, 11g). Catch of anchovy by month recorded on high level on June, July, September in both areas. When considering size composition by month, it was found that new populations recruit to these fishing grounds on June and September. Most of bycatch species including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dotted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conger eel (Leptocephalous), Pacific sandlance (Ammodytes personatus), horse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ere juvenile, and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Japanese sardinella (Sardinella zunasi) were also small in size.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gape net with wings fishery which is likely to catch juvenile needs to be set fishing prohibit period for conserving above stocks during the period excluding main fishing periods of anchovy or fisheries management such as expanding mesh size for preventing juvenile catch.

동남아시아 4개국 두족류의 분류 및 계통분류학적 연구 (Classification and Phylogenetic Studies of Cephalopods from four countries of South-East Asia)

  • 황희주;강세원;박소영;정종민;송대권;박형춘;박홍석;한연수;이준상;이용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5-62
    • /
    • 2016
  • In this stud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analyze the morphology of Cephalopods distributed in Korea and collected samples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Thailand, Indonesia, Vietnam, and China. A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itochondrial gen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to understand the genetic divergences of the species and validate their origins. For achieving the objectives, samples were collected directly from Thailand Hat Yai, Songkhla, Indonesia Medan, Vietnam Ho Chi Minh, and Vung Tau in August 2015 and from China in September 2015. A total of 23 species of Cephalopods were identified falling under three orders, four familyies and nine genus. The species were distributed under Order: Octopoda (1 family, 3 genus, and 9 species), Order: Sepiolioda (1 family, 2 genus, and 8 species), and Order Teuthoidea (2 family, 4 genus, and 6 species). 23 species which is 1 family 3 genus 9 species in Octopoda, 1 family 2 genus 8 species in Sepiolioda, 2 family 4 genus 6 species in Teuthoidea. Phylogenetic analysis using COI gene was conducted for 18 species. For the remaining 5 species sequencing results showed severe variation and hence were not considered further. The COI phylogenetic analysis for the 18 species of Cephalopods were found consistent with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The excluded species will be subjected for a further detailed analysis.

낙지(Octopus minor)의 배 발생 (Embryogenesis in the Octopus minor)

  • 김동수;김재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135-140
    • /
    • 2006
  • 소형 두족류의 일종인 낙지(Octopus minor)는 근연종인 문어나 주꾸미에 비하여 산란수가 적고 갯벌 속 깊은 은신처에서 어미 낙지의 독특한 포란 행동으로 부화하기 때문에 배의 발달 과정을 관찰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 산란관을 설치하여 낙지의 산란과 부화를 유도하고 배 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낙지의 배아에서는 산란 후 4일째에 배반엽이 형성되었으며 28일이 경과하면 여러 기관의 원기들이 난황낭의 중앙부에 출현하였다. 이 발생 원기는 동물극 쪽으로 이동하여 38일이 경과되면 두부에 두 눈이 생기고 몸통과 심장이 난황낭의 정단부에 출현하였다. 45일이 경과 된 뒤에는 몸통과 두부가 난막의 절반을 차지하게 자라고 길고 가느다란 팔을 움직이기 시작하였다. 산란 후 60일이 경과 한 뒤에는 여러 개의 반점을 갖는 몸통의 아래에 2개의 눈이 뚜렷하게 형성되었고 80일이 지나면 난황은 거의 흡수되고 그 자리에는 잘 발달된 8개의 팔이 가득 채우게 되었다. 발생이 끝난 새끼 낙지는 알 껍질을 찢고 팔부터 빠져 나왔으며 부화 후 곧바로 활발하게 유영하며 먹물을 분사하였다.

  • PDF

유통 두족류의 중금속(Hg, Pb, Cd, Cu) 함량과 위해성 평가 (Contents of Heavy Metals (Hg, Pb, Cd, Cu) and Risk Assessment in Commercial Cephalopods)

  • 김수언;황영옥;박애숙;박영애;함희진;최성민;김정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06-6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서성 두족류 낙지를 중심으로 주꾸미, 문어, 오징어 144건에 대해 생체에 강한 축적 경향으로 식품 안전상 중요시 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두족류 가식부의 중금속 함량은 수은 $0.017{\pm}0.063\;mg$/kg, 납 $0.024{\pm}0.004\;mg$/kg, 카드뮴 $0.030{\pm}0.027\;mg$/kg, 구리 $2.536{\pm}0.653\;mg$/kg이었으며, 내장에서는 수은 $0.063{\pm}0.016\;mg$/kg, 납 $0.579{\pm}0.304\;mg$/kg, 카드뮴 $15.200{\pm}6.189\;mg$/kg, 구리 $201.706{\pm}129.7\;mg$/kg이었다. 낙지 가식부와 내장의 비로 중금속의 축적정도를 파악해보면, 카드뮴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구리, 납, 수은 순이었으며, 낙지 무게에 따른 중금속의 축적 정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낙지를 통해 섭취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 등의 중금속 주간 섭취량은 FAO/WTO에서 중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의 0.0~0.20% 수준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 되며, 비가식부(내장)의 경우는 0.05~92.28%로 높게 나타나 낙지 섭취 시 낙지 내장을 제거한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봉도 상부 갯벌에서 채집된 유영생물의 종 조성과 계절변화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Nektonic Assemblages at the Jangbong Upper Tidal Flat, Incheon, Korea)

  • 서인수;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3호
    • /
    • pp.97-107
    • /
    • 2006
  • 인천 연안 장봉도의 상부 조간대를 이용하는 유영생물 군집의 종 조성과 계절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3월부터 동년 11월까지 매월별로 건간망을 이용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유영생물은 총 49종이 채집되었고, 출현 개체수와 생체량은 월 평균 489개체와 5,170.4 g을 나타내었다. 출현 밀도가 가장 높았던 종은 밀새우(Exopalaemon carinicauda, 40.9%)타 민태(Johnius grypotus, 13.2%)이었고, 생체량에서는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33.7%), 민태(14.6%)와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10.2%)이었다. 조간대 상부를 이용하는 유영생물의 시간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집괴분석(cluster analysis)과 다차원배열법(MDS ordination)을 실시한 결과, 크게 봄철(그룹 1)과 여름/가을철(그룹 2)로 대별되는 2개의 생물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룹 1은 비늘흰발망둑(Acanthogobius luridus),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 민칭이(Bullacta exarata)와 갯우렁이 (Lunatia gilva)등이 대표적인 생물이었다. 그룹 2는 민태, 밴댕이(Saydinella zunasi), 전어(Konosirus punctatus), 가숭어(Chelon haematocheila), 삼치, 복섬(Takifugu niphobles), 중하(Metapenaeus joyneri)와 참오징어 (Loligo beka) 등이 특징적인 생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