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venous catheter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4초

일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는 요양병원 환자들의 특성 및 사망 위험요인 (Characteristics and Mortality Risk Factors in Geriatric Hospital Patients visiting One Region-wide Emergency Department)

  • 김경완;장숙랑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7-33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ortality risk factors of geriatric hospital patients who visited one region-wide emergency department (ED). It's basically meant to develop criteria for the patient management of geriatric hospitals and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Methods: A retrospective research study was implemented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included 484 geriatric hospital pati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15,994 patients that visited one region-wide ED between January 1, 2014, and December 31, 201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ath, a change for the better and no change for the better, which were results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ay in hospital, hospitalization in a general ward, not having an operation or surgery,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lignant neoplasm, the insertion of foley catheter, intubation, ventilator and the insertion of central venous cathet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atient management system is necessary in geriatric hospitals and that competent healthcare workers who can properly respond to emergencies are required as well.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침습 칸디다 감염의 예방 (Prevention of Invasive Candida Infection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김천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15-22
    • /
    • 2011
  • Invasive Candida infections (ICI) have become the third most common cause of late-onset infection among premature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Risk factors include birth weight less than 1,000 g, exposure to more than two antimicrobials, third generation cephalosporin exposure, parenteral nutrition including lipid emulsion, central venous catheter, and abdominal surgery. Candida colonization of the skin and gastrointestinal tract is an important first step in the pathogenesis of invasive disease. Strict infection control measures against the infection should be done in the NICU. The following practices are likely to contribute to reducing the rate of ICI: (1) restriction of broad-spectrum antibiotics, antacids and steroid; (2) introduction of early feeding and promoting breast milk. Fluconazole prophylaxis may be an effective control measure to prevent Candida colonization and infections in individual units with high incidence of fungal infec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of further data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resistant strains and the effect on long-term neurodevelopmental outcomes of infants exposed to drugs before the initiation of routine application of antifungal prophylaxis in the NICU.

Cerebral Air Embolism: a Case Report with an Emphasis of its Pathophysiology and MRI Findings

  • Kang, Se Ri;Choi, See Sung;Jeon, Se Jeo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1호
    • /
    • pp.70-74
    • /
    • 2019
  • Cerebral air embolism (CAE) is a rare complication of various medical procedures. It manifests with symptoms similar to those of typical acute cerebral infarction, however the treatment is quite different. We present a case of arterial CAE that was associated with a disconnected central venous catheter and appeared as punctate dark signal intensities with aliasing artifacts on the susceptibility-weighted filtered phase magnetic resonance image. The susceptibility-weighted filtered phase image can be helpful for diagnosing CAE and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flects the pathophysiology of CAE.

중증외상환자의 치료경과 시간과 활력징후에 따른 응급처치 및 간호활동 (Emergency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Vital Signs)

  • 김명희;박정하;김명희;구지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182-191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ecessary emergency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for severe trauma patients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vital sign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1 patients over 15 points ISS on EMR from June 1, 2011 to May 31, 201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pplying McNemar's test using SPSS 12.0. Results: Almost all of the subjects were men and the mean age was 46.9. Run-time for primary diagnosis, treatment decision, and leaving for the hospital room was 0.19, 4.36, and 4.21 hours, respectively, and stayover time was 9 hours. Regardless of vital signs, emergency treatments involving ambu-bagging, intubation, ventilator, and central vein catheterization insertion were offered within an hour. Central venous pressure, Foley catheter/Levin tube preparation and maintenance were performed in cases of unstable vital sign patients within an hour. Unrelated to vital signs, nursing activities for consciousness assessment, skin assesment and wound care, bed sore/fall down assesment and care, intravenous injection insertion and maintenance were conducted for all severe trauma patients within an hour. Foley catheter/Levin tube drainage care was performed for patients who had unstable vital signs within an hour. Conclusion: Emergency treatment and nursing activities for severe trauma patients were specific according to elapsed time and vital signs.

무명정맥의 쉽고 안전한 삽관 (Easy and Safe Catheterization of the Innominate Vein)

  • 이흥섭;조창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401-1404
    • /
    • 1996
  • 심장수술시 중심 정맥 상관은 필수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수기 중 하나이다. 보통은 내경 정 맥이나 쇄골 하정맥에 경피적 상관을 하는데 기흉이나 혈흉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영유아의 경우는 반복된 상관실패로 많은 시간을 허비할 수 있다. 그래서 저자들은 몸무게 10kg이하의 영유아 개심술시 홍골절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무명정맥을 노출하여 여기에 삽관을 한다. 술후 중환자실에서 이 무명정맥관은 주로 좌심방이나 폐동맥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이용하고 관자가 혈역학적으로 안정되면 우심방이나 상대정맥으로 후퇴시켜 수액보급이나 약물투척 경로로 이용한다. 본원에서는 1989년 이후로 96예에서 시행하여 왔으며 이 삽관술로 인한 기흉이라 혈흉은 없었고 정맥관제거시 출혈에 의한 합병증도 경험하지 않았다.

  • PDF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Park, Kwonoh;Lim, Hyoung Gun;Hong, Ji Yeon;Song, Hunho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3호
    • /
    • pp.179-184
    • /
    • 2014
  • 목적: 이 연구는 임종기 암환자들에서 말초삽입중심 정맥카테터(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PICC)의 안정성 및 효과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13년 한 해 동안 한전병원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목적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 말초삽입중심정맥카테터를 시행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 관찰하였다. 모든 말초삽입중심정맥카테터는 중재적 방사선의사에 의해 삽입되었다. 결과: 언급한 기간 동안 30명의 임종기 환자에서 말초 삽입중심정맥카테터가 시행되었고, 그들 중 1명의 환자에서 2회의 삽입이 이뤄져, 전체적으로 31회의 말초삽입중심정맥카테터 삽입 횟수와 571일의 거치기간(PICC days)이 분석되었다. 말초삽입중심정맥카테터 거치기간(PICC days)의 중앙값은 14.0일(범위, 1~90일)이었다. 25예는 계획된 시기(퇴원, 전원, 사망 등)까지 유지하였으나, 6예에서는 여러 이유로 계획된 시기보다 조기에 PICC를 제거하였다(PICC 조기 제거율, 19%; 10.5/1000 PICC days). 따라서, 카테터 유지 성공 비율(catheter maintenance success rate)은 81%였다. PICC 조기 제거 6예 중, 섬망 등에 의한 스스로 제거한 경우가 4예였고(13%; 7.0/1000 PICC days), 카테터 관련 혈액 감염 및 혈전증이 각각 1예씩 있었다(3%; 1.8/1000 PICC days). 조기 PICC 제거를 포함한 총 합병증 발생은 8예에서 있었다(26%; 14.1/1000 PICC days). 합병증 발생까지 기간은 중앙값 7일이었다(기간, 2~14일). 말초삽입중심정맥카테터 관련 합병증에 의한 사망은 없었다. 결론: 좋지 않은 전신 상태, 작은 시술 합병증에도 취약함, 제한된 여명등과 같은 임종기 암환자의 특징을 고려할 때, PICC는 임종기 환자에서 안전한 혈관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다.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경피 중심정맥 도관의 유용성과 합병증 (Clinical Use and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향;김선희;변형석;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9호
    • /
    • pp.953-959
    • /
    • 2005
  • 목 적 :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경구 수유가 불가능한 기간 동안 총정맥영양을 시행할 목적으로 경피 중심정맥 도관(percutaneous central venous catheter, PCVC)을 시술하는데 이의 가장 흔한 합병증인 패혈증은 신생아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1,500 g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시행한 PCVC의 유용성 및 도관과 관련된 합병증 발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1,500 g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 중 PCVC를 시행했던 32명을 연구군(1,000 g 미만 17명, 1000-15,00 g 15명)으로 하였고, PCVC를 하지 않은 24명(1,000 g 미만 9명, 1,000-1,500 g 1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군과 대조군 간에 체중증가 양상과 2,000 g이 되는 시기를 비교하였고, 입원기간 동안 체중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환 질환 및 도관 관련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연구군과 대조군의 특징을 보면 출생체중, 재태주령, Apgar 점수, 호흡곤란 증후군, 인공환기 기간, 튜브영양을 처음 시작하는 시기, 경구수유 시작 시기 및 시작 시의 체중, 튜브영양에서 경구수유까지 걸린 기간, 총 정맥영양을 시작한 생후 일수와 기간, 종료시 체중 및 2,000 g에 도달하는 시기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고, 총 정맥영양 기간만 연구군에서 $25.5{\pm}10.78$일로 대조군 $39.9{\pm}9.87$일에 비해 의의있게 길었다(P<0.001). 이환 질환 및 합병증에 있어서 호흡곤란 증후군, 만성 폐질환, 동맥관 개존, 뇌실내 출혈, 괴사성 장염, 패혈증, 골연화증 및 담즙 정체 발생빈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뇌실내 출혈만 연구군에서 87.5%로 대조군(58.3%)에 비해 의의있게 높았다. 연구군과 대조군을 1,000 g 미만과 1,000-1,500 g으로 나누어 비교해 본 결과, 연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1,000 g 미만에서는 패혈증 빈도가 의의있게 높았으며(35.3% vs 0%, P<0.05), 1,000-1,500 g에서는 뇌실내 출혈 빈도가 의의있게 높았고( 86.7% vs 40%, P<0.05), 2,000 g에 도달하는 시기도 오히려 늦었다. 결 론 : 경피 정맥도관술을 실시한 연구군에서 총 정맥영양기간이 길었지만 체중 증가에는 효과가 없었고 오히려 1,000 g 미만에서는 패혈증 빈도가 그리고 1,000-1,500 g에서는 뇌실내 출혈의 빈도가 높았기에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경피 정맥 도관을 통한 총 정맥영양요법 시에는 무균적 조작과 수액 공급 속도 등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Analysis of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among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Single Center Study

  • Kim, Minhye;Choi, Sujin;Jung, Young Hwa;Choi, Chang Won;Shin, Myoung-jin;Kim, Eu Suk;Lee, Hyunju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33-143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발생률을 확인하고, 이러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및 원인균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신생아중환자실 내 혈류감염 예방 및 치료 지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발생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하였다. 결과: 5년의 연구 기간동안 총 45명의 환자에게서 53례의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이 확인되었고, 18,622 카테터-일 동안 발생률은 1,000 카테터-일 당 2.85건이었다. 가장 흔한 중심정맥관 종류는 말초 혈관 삽입형 중심정맥관이었다. 총 57균주가 분리되었고, 이 중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이 각각 57.9% (n=33), 36.8% (n=21), 5.3% (n=3)이었다. 가장 흔한 균은 Staphylococcus aureus (n=12, 21%) 와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n=12, 21%)였고, 그 다음으로는 Klebsiella aerogenes (n=8, 14%)였다. 균혈증 평균 지속시간은 2일이었고, 19건에서는 3일 이상 균혈증이 지속되었다. 균혈증 발생으로부터 14일 이내에 사망한 사례는 총 6건(13.3%)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 내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의 발생률과 원인균 분포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경험적 항생제 사용 지침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으며, 감염예방 지침 실행의 필요성 및 이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폐동맥고혈압증을 동반한 선천성 심기형 환아들에서 술후 조기 혈류역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arly Postoperative Hemodynamic Changes after Correction of Congenital Heart Defects associated with Pulmonary Hypertension)

  • 김용진;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32-40
    • /
    • 1990
  • Surgical correction of congenital cardiac defects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an elevated pulmonary arterial pressure or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carries a significant early postoperative mortality. And accurate assessments of cardiac output is critically important in these patients. From April 1988 through September 1989, serial measurements of cardiac index, ratio of pulmonary-systemic systolic pressure, ratio of pulmonary-systemic resistance, central venous pressure, left atrial pressure, and urine output during the first 48 hours after the cardiac operation were made in 30 congenital cardiac defects associated with pulmonary hypertension. Cardiac index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nly after 24 hour postoperatively and this low cardiac performance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should be considered when postoperative management is being planned in the risky patients. There were no variables which showed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diac index. In 12 cases[40%],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developed during the 48 hours postoperatively, and they were treated with full sedation, hyperventilation with 100 % 0y and pulmonary vasodilator infusion. In all patient with preoperative pulmonary hypertension, surgical placement of a pulmonary artery catheter is desirable to allow prompt diagnosis of pulmonary hypertensive crisis and to monitor subsequent therapy.

  • PDF

중환자실 간호사의 근거기반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 수준 및 영향 요인 (Level of Knowledge on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 유재용;오의금;허혜경;최모나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2-243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and performances on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and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wo hundred thirty-nine nurses at intensive care units were conveniently recruited from seven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with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7.0 program. Results: Both level of knowledge (mean 9.15 out of 19) on preven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d central venous catheter induced bloodstream infection, and performance on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1.94 out of 4) were moderate. Performance of evidence-based practice for infection control was related to reading research articles regularly, professional satisfaction, and taken education cours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ystematic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enhancing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are needed to improve quality of intensive nursing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