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enarian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100세 이상 고령자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수준 및 관련 요인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entenarians in Korea)

  • 송영수;김태백;배남규;김기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68-277
    • /
    • 2017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인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00세 이상 고령자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간 동안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인정조사를 받은 주민등록상의 100세 이상 고령자 268명(남성 132명, 여성 136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AD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거주 지역, IADL,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IAD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ADL과 인지기능장애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흡연상태, ADL 및 IADL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ADL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자들의 신체적 건강(ADL, IADL) 및 정신적 건강(인지기능장애, 치매) 수준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은 좋은 군보다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이 저하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우리나라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과 관련요인 (Cognitive Impairment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Centenarians in Korea)

  • 박석용;배진성;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84-591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 동안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은 주민등록상의 100세 이상 고령자 268명(남성 132명, 여성 136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수준은 남성보다 여성에서(p=0.000), 혼자 산다는 군보다 배우자나 자녀와 함께 산다는 군에서(p=0.019), 가정의 경제 상태가 낮을수록(p=0.001), 비만도가 낮을수록(p=0.000),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p=0.000),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p=0.013),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20)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확정적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남성보다 여성(ORs=9.85, 95% CI=2.88~33.59)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저체중군보다 비만군(ORs=0.25, 95% CI=0.07~0.86)에서, 흡연군보다 비흡연군(ORs=0.30, 95% CI=0.10~0.83)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거주상태, 경제상태, BMI, 흡연상태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보면, 조사대상 100세 이상 고령자의 인지기능장애 수준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에서 인지기능 수준이 저하됨을 시사하고 있다.

Dietary source of vitamin $B_{12}$ intake and vitamin $B_{12}$ status in female elderly Koreans aged 85 and older living in rural area

  • Kwak, Chung-Shil;Lee, Mee-Sook;Lee, Hae-Jeung;Whang, Jin-Yong;Park, Sang-Chul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3호
    • /
    • pp.229-234
    • /
    • 2010
  • Recently, we found and analyzed vitamin $B_{12}$ in some Korean traditional plant foods which had not reported, ye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itamin $B_{12}$ intake and its dietary sources and the vitamin $B_{12}$ status in the very old elderly Koreans. We measured serum vitamin $B_{12}$ level and estimated the amounts of vitamin $B_{12}$ intake from different dietary sources in female elderly Koreans aged 85 and over who had consumed a relatively low animal traditional diet for the whole life.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n = 127) was 98.0 years (85-108 years). The assessment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involved a one-day 24-hour recall, and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Overall diet patter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85-99 yr-old group and centenarians, except centenarians were taking more dairy product. The average ratio of plant food to animal food consumption was 87.5:12.5 in weight. The average vitamin $B_{12}$ intake of our subjects was 3.2 ${\mu}g$, and 52.7% of subjects consumed under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2.0 ${\mu}g$/day. On dietary source, 67.3% of dietary vitamin $B_{12}$ was from meat, eggs and fishes and 30.6% was from plant foods, such as soybean-fermented foods, seaweeds, and kimchi. The average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was 450.5 pg/mL, and low serum vitamin $B_{12}$ (< 200 pg/mL) was found in 9.6% of subjects. Dietary vitamin $B_{12}$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ubjects with low serum vitamin $B_{12}$ (0.79 ${\mu}g$/day) than those with normal serum vitamin $B_{12}$ (3.47 ${\mu}g$/da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tamin $B_{12}$ intake and its dietary sources and serum vitamin $B_{12}$ level between the 85-99 yr- old group and centenarians. In conclusion, several plant-origin foods including seaweed, soybean-fermented foods, and kimchi, may contribute significantly to good vitamin $B_{12}$ status in very old elderly Koreans.

한국 백세인의 의학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ill Korean Centenarians)

  • 최윤호;김철호;박상철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2-32
    • /
    • 2004
  • 최근 초고령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이들에 대한 의학적 관심도 매우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백세인을 대상으로 신체 기능과 인지 기능을 포함한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백세인은 총 103명으로 남자가 13명, 여자가 90명이었다. 이들의 평균 나이는 102.4세이며 나이의 범위는 100~115세 이었다. 대상자 중58명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였고, 나머지는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 지방 거주자였다. (중략)

  • PDF

Biodistribution of a Promising Probiotic,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longum Strain BBMN68, in the Rat Gut

  • Lv, Yang;Qiao, Xuewei;Zhao, Liang;Ren, Fazh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6호
    • /
    • pp.863-871
    • /
    • 2015
  • Bifidobacterium longum subsp. longum BBMN68, isolated from centenarians in Guangxi, China, has been proved to be a promising probiotic strain for its health benefits. In this study, the biodistribution of this strain in the rat gut was first investigated using the quantitative realtime PCR assay and propidium monoazide. Strain-specific primers were originally designed based on the BBMN68 genome sequence. Healthy rats were orally inoculated with either a single dose of BBMN68 (1010 colony-forming units/kg), or with one dose per day for 7 days and bacterial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in detail from the intestinal contents and feces of four different gut locations, including stomach, small intestine, colon, and rectum. Results indicated that strain BBMN68 could overcome the rigors of passage through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and transiently accumulate in the colon, even though survival in the stomach and small intestine was not high. A good level of BBMN8 could stay in vivo for 72 h following a 7-day oral administration, and a daily administration is suggested for a considerable and continuous population of BBMN68 to be maintained in the host intest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