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mento-enamel junctio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Pericoronal radiolucency associated with incomplete crown

  • Nah, Kyung-So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4호
    • /
    • pp.295-301
    • /
    • 2013
  • The author experienced 8 cases of pericoronal radiolucency involving an incomplete tooth crown that had not developed to form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the underdeveloped crown sometimes appeared to be floating within the radiolucency radiographically. The first impression was that these cystic lesions had odontogenic keratocysts, but half of them turned out to be dentigerous cysts histopathologically. There has been no report concerning odontogenic cysts involving an incompletely developed crow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at dentigerous cysts may develop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cemento-enamel junction of a developing crown.

Biomechanical analysis of distalization of mandibular molars by placing a mini-plate: A finite element study

  • Park, Myungsoon;Na, Yonghyun;Park, Minbong;Ahn, Jangh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9-297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terns of tooth movements when distalization of mandibular molars using a mini-plate took place. A finite element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patterns of tooth movements. Methods: The model of the mandible and teeth were used to build a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and a mini-plate was inserted in the mandibular ramus. Two different orthodontic forces were established for displacement of mandibular molars. Orthodontic forces were applied at the level of the bracket and at the level of the cemento-enamel junction in the mandibular canine respectively. Results: Applying orthodontic forces at the level of the cemento-enamel junction resulted in a greater biomechanical bodily movement in distalization of the mandibular molars compared to when the orthodontic forces were applied at the level of the bracket. Applying orthodontic forces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lso resulted in unwanted greater extrusive movements in distalization of the mandibular molars compared to the bracket level. Conclusions: With considering the mode of orthodontic teeth movement, applying different vertical orthodontic forces for distalization of mandibular molars can lead to more effective distalization of teeth.

실험적(實驗的) 치아이동후(齒牙移動後) 교원효소(膠原酵素) 투여(投與)가 치근막(齒根膜) 섬유(纖維)의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자기방사법적(自己放射法的) 연구(硏究) (AUTORADIOGRAPHIC STUDY OF THE COLLAGENASE - INFLUENCE ON THE RAT PERIODONTIUM AFTER EXPERIMENTAL TOOTH MOVEMENT)

  • 홍성준;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7-245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organiz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after collagenase treatment with autoradiography. The author compared the collagenase-treated experimental group and no-treated experimental group with control group. Fourty eight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nine groups, including normal control and immediate group. Closed coil springs were used between the upper incisors and the first molars with 100 grams. Collagenase and $^3H-proline$ were adminstered and the samples were sacrificed and sectioned. After being dipped into the NTB-3 emulsion the samples were analyzed with light microscope under H/E stain.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ly collagenase-treated groups got more $^3H-proline$ uptake than no-treated groups. 2)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group, collagenase-treated group had the same $^3H-proline$ uptake in amount at 21th day. 3) Among cemento-enamel junction, middle, apex areas, cementa-enamel junction area of collagenase-treated group arrived at normal control level earlier than no-treated group. 4) Cemento-enamel junction area had the most $^3H-proline$ incorporation amount in no-treated group, but apex area had the most in collagenase group.

  • PDF

치과 환자로부터 발거된 치아에서의 법랑돌기의 발현빈도 (The Prevalence of Enamel Projection on Molar Teeth Extracted from Dental Patients)

  • 배성숙;구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7-211
    • /
    • 2007
  • 많은 연구에서 대구치의 백악법랑 경계부에 나타나는 법랑돌기의 발현이 치주질환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에서 발거된 치아 660개 중 법랑돌기의 관찰이 가능하고, 제 1, 2대구치의 구별이 가능한 530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치면별, 치아별 법랑돌기의 발현빈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법랑돌기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깨끗이 세정한 후, 8배 전자확대경을 이용하여 상, 하악 제 1, 2대구치의 협면, 근심면, 원심면, 설면(구개면)에 나타나는 법랑돌기를 조사하였다. 법랑돌기의 발현빈도는 상악에서 45.49%, 하악에서 39.62%로, 하악에서보다 상악에서 높았으며, 제1대구치는 45.22%, 제2대구치는 39.89%로, 제2대구치보다 제1대구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치면별 발현빈도는 전체 대상치아의 협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악 제1대구치 협면에서 78.27%, 상악 제2대구치 협면에서 81.23%, 하악 제1대구치 협면에서 76.86%, 하악 제2대구치 협면에서 70.3%의 발현율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전의 보고에 비해 높은 법랑돌기의 발현빈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8배 전자확대경을 이용한 관찰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 PDF

Intrusion arch wire activation시 상악 견치에 가해진 초기응력의 유한요소법을 통한 고찰 (A FEM ANALYSIS FOR INITIAL STRESS ON THE UPPER GAMINE BY ORTHODONTIC FORCE OF INTRUSION ARCH WIRE ACTIVATION)

  • 강정원;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91-398
    • /
    • 1998
  • 본 연구는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상악견치에 intrusion arch wire를 강제로 engage시켰을 때 상악 견치와 치근막에서 발생되는 압축력과 인장력의 분포의 양을 알아보고 어느 부분에 집중되는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 부분에서의 압축력과 인장력의 비율을 비교하기 위해서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견치의 FA point와 백악법랑경계부분에서는 압축력과 인장력의 비율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2. 치근첨 부분에서는 압축력이 인장력의 거의 4배정도 크게 나타났다. Intrusion force적용시 치근흡수 정도가 치근첨에서 발생되는 것을 정량화시켜서 보여준 결과이다. 3. 백악법랑경계부분은 즉 FA point를 제외하고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가장 큰 값을 보이고 있다. 즉 치아에 교정력이 직접 적용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치아와 치주인대가 처음 접촉되는 백악법랑경계부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 PDF

치조골 골절을 동반한 유치열기 외상에 의한 영구절치의 치근 형성 이상 (ROOT MALFORMATION OF PERMANENT INCISORS BY ALVEOLAR BONE FRACTURE)

  • 지은혜;최형준;최병재;손흥규;김승혜;송제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0-295
    • /
    • 2011
  • 치아형성 과정 중 치배 주위의 물리적 작용이나 대사 환경의 변화로 치아 발생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치열기에 가해진 외상은 계승 영구치의 발생에 장애를 초래시킬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물리적 요인으로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계승 영구치의 법랑질 변색 및 저형성증이 가장 흔히 발생하고 드물게 매복, 이소 맹출, 치근 형성 정지 및 치근 만곡 등이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만 6세 5개월의 여자 어린이 환자가 안면부 외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상악 좌우 유중절치의 정출성 탈구, 상악 우측 유측절치의 함입성 탈구, 상악 좌측 유측절치의 구개측 측방 탈구로 진단되었고, 상악 치은부의 열상과 상악 전치부의 치조골 골절이 관찰되었다. 내원 당일 치과 응급실에서 동요도가 심한 상악 좌우 유중절치의 발치 후 치은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24개월 정기 검진 중 방사선 사진 상에서 상악 좌,우측 측절치의 백악 법랑 경계(Cemento enamel junction, CEJ) 근방에 치근 만곡이 관찰되었고 상악 중절치 치근의 치관부 1/3부위에서 치근 형성이 정지되고 있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치조골 골절이 어린이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외상의 유형은 아니나 본 증례에서와 같이 치근 발육이상 등 여러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외상을 입은 환아에서 치조골 골절 여부에 대한 면밀한 검사 및 주기적인 검진은 예후 예측 및 향후 치료에 있어서 중요할 것이다.

An in-vitro investigation of microleakage of sandwich restorations with flow able liner in class II cavaties with cervical margins in dentine

  • Lee, Kang;Hong, Chan-Ui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86.1-586
    • /
    • 2001
  • Large butt-joint box typed class II cavites with cervical margins 1mm below the cemento-enamel junction were cut into 70 extracted human molars. The cavities(7 groups, n=10) were filled using a closed/open sandwich restoration or total bond restoration technique with material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recommandation using the single-component bonding agent for each system. Teeth were thermocycled 500 tim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with 30-second dwell times.(omitted)

  • PDF

Molar-Incisor Malformation 환자의 유치열 내 전반적인 치수석 관찰의 증례 보고 (Generalized Pulp Stones of Primary Dentition in a Patient with Molar-Incisor Malformation : A Case Report)

  • 이동연;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7-343
    • /
    • 2020
  • Molar-incisor malformation(MIM)은 최근 발견된 새로운 형태의 root anomaly로 제1대구치 및 제2유구치의 짧거나 미약한 치근 발달과 협착된 치수강, 그리고 cemento-enamel junction 높이에 석회화물질의 존재를 특징으로 한다. 이 증례는 MIM 이환 환자에서 유치열 전반에 걸쳐 치수강 내를 거의 가득 채우고 있는 free pulp stone을 방사선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발치된 환자의 하악 제1대구치와 상악 제2유구치를 대상으로 micro-computed tomography(micro-CT) 촬영 및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분석을 시행하였다. Micro-CT 영상을 통해, 하악 제1대구치의 치관 외부로 연결된 부근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것은 MIM 이환 치아에서 근관치료의 불량한 예후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안면골격 유형에 따른 하악 전치 치조골의 형태 차이: Cone-beam CT를 이용한 정량적 평가 (Morphological difference of symphysis according to various skeletal type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권현진;전윤식;김민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3호
    • /
    • pp.215-222
    • /
    • 2014
  • 본 연구는 수평적, 수직적 안면 골격 유형에 따른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형태학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0명의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one-beam CT)를 선별하여,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Cone-beam CT 자료를 이용하여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부피($mm^3$), 하악 4절치 치축 기준 시상단면의 단면적(총 단면적, 해면골 단면적: $mm^2$), 백악법랑경계(cemento-enamel junction: CEJ) 2 mm, 3 mm 아래 순, 설측 치조골 두께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GLM, Kruskal-Wallis test and Tukey HSD를 사용하였다. 결과: 측절치의 백악법랑경계 2 mm, 3 mm 하방 설측 치조골 두께가, Class I low angle군이 나머지 3군 보다 두꺼웠다 (P < 0.05). 하악 전치 치조골의 부피, 전체 치조골 및 해면골의 단면에서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Class I low angle군은 Class II high angle군에 비해 하악 전치 치조골의 설측 부위가 더 두껍다.

Russel 치주지수에 따른 치조백선의 변화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ALVEOLAR LAMINA DURA ACCORDING TO RUSSEL′S PERIODONTAL INDEX)

  • 신재창;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1권2호
    • /
    • pp.377-392
    • /
    • 199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ickness of alveolar lamina dura and alveolar bone height by the change of periodontal status. The periapical radiograms of the 853 cases were taken by paralleling technique.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normal periodontal status, the alveolar lamina dura was the thickest at alveolar crest, followed by apex, midroot,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osterior teeth was thicker than that of the anterior teeth. 2. In Russel's Periodontal Index 0 and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ickness were found to be 3 areas. In Russel's Periodontal Index 2 and 6, the thickness of alveolar lamina dura at alveolar crest was decreased, only. 3. In Russel's Periodontal Index 0 and 1, distance from the cemento-enamel junction to the alveolar crest was within 1.5㎜. In Russel's Periodontal Index 2 and 6, the distance was 3. increased over 1.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