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omonas sp.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식물생육촉진 세균이 오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growth-promoting Bacteria Inocul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Cucumber(Cucumis sativa L.))

  • 이영한;조우석;김종균;이한생;박상렬;윤한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6-199
    • /
    • 1997
  • 식물생장촉진 효과가 있는 Micrococcus sp., Bacillus subtilis, Enterobacter agglomerans, Bacillus megaterium, Pseudomonas putide, Pseudomans fluorescens, Cellulomonas sp., Staphylococcus xylosus등 8종의 혼합균주 배양액을 오이에 처리하였을때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균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수량은 18% 증수되었으며, 주당 수확과수는 평균 5.1개 정도 많았다. 2. 만장, 엽장, 엽폭은 균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줄기의 굵기, 2차측지 발생율, 유인 측지절수, 절성성은 균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양호하였다. 3. 토양의 물리성중 가밀도, 공극률은 차이가 없었으나 수분율은 균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으며, 토양 화학성은 균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EC, 유기물, Ca, $NO_3-N$ 함량은 낮아졌으며, 그외 성분은 높은 경향이었다.

  • PDF

폐섬유자원의 발효공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오보) 분리균 Cellulomonas속 균주의 이용성 (Studies on the Fermentative Utilization of Cellulosic Wastes. (Part V) Utilization of Cellulomonas sp.)

  • 심기환;성낙기;윤한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28
    • /
    • 1977
  • 비교적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는 섬유성물질의 이용성을 높이고 섬유소 자화세균에 의한 섬유소 단세포단백을 생산할 목적으로 전보에서 분리, 동정한 Collulomonas flavigena GFB 24-1의 몇 가지 균학적 성질을 통한 이용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섬유질 자화세균 생육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pH 7.0에서 50시간 배양하였을 때 균체증식이 가장 좋았고, 배양시 유리되는 단백질은 배양중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2. Cellulolytic activity는 pH 5~7에서 40~50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4. 생육배지에서 배양시 기질의 농도의 증가에 따라 6%까지는 균체증식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8%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9~10%농도에서는 감소하였다. 5. NaOH 처리한 볏짚은 기질로 하여 진탕 flask에서 배양한 결과 48기산 배양하였을 때 균체증식이 10.6mg/ml로써 가장좋았다.

  • PDF

TNP-cellulose의 섬유소 분해효소 활성도 측정을 위한 기질로서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NP-cellulose as Substrate for Cellulase Assay)

  • 맹정섭;남윤규;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42-147
    • /
    • 1994
  • Carboxyrrethyl cellulose CM32 (Whatman Biochemical Ltd.)로 조제한 TNP-cellulose에 대하여 섬유소 분해효소의 활성도 측정을 위한 기질로서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섬유소 분해효소에 의한 TNP-cellulose의 가수분해는 Michaelis-Menten kinetics에 의하였으며, 그 분해의 위치가 amide결합이 아니고 섬유소 부분임을 확인하였다. 효소원이 다른 세가지 섬유소 분해효소 (Onozuka R-10 from Trichoderma viride; Cellulase II from Aspergillus niger; cell-free enzyme from Cellulomonas sp.)의 활성도를 TNP-cellulose를 기질로 하여 측정할때 그 반응조건을 기왕의 환원당 측정법과 비교해 보면: 반응 온도의 범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pH범위는 여러 효소에서 다소 넓어짐으로서 TNP-cellulose를 기질로 할때 수소이온의 영향을 적게 받음을 확인하였다. TNP-cellulose를 기질로 사용한 활성도 측정방법은: 세가지 효소 모두 일정 농도의 범위에서 활성도와 비례관계가 성립함으로서 효소원이 다른 여러 섬유소 분해효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왕의 DNSA법에 의한 환원당 측정법보다 감도가 높았고; 그 활성도의 값은 기왕의 환원당 측정법이나 점성도 측정법에 의한 결과와 대체로 비례적이었으나, 효소의 종류에 따라서 점성도 측정법의 결과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음으로서, 순수한 endo-효소의 활성도 측정을 위한 특이적인 방법이 되지 못함을 알수 있었다.

  • PDF

섬유소 분해효소 및 니코틴 분해세균을 이용한 잎담배의 발효촉진효과 (Studies on the promoted Aging of flue-cured leaf tobacco by cellulolytic Enzyme and Nicotinophiles)

  • 이태호;성낙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20
    • /
    • 1991
  • For the quality enhancement of harvested-year leaf tobacco to the quality of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cellulose and nicotine degradative bacteri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Effects of artificial fermentation treated cellulase and nicotine degradative bacteria on the quality of leaf tobacco were investigated from the chemical and sensory points of view. 1,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leaf tobacco resulted from the addition of cellulase extracted from Cellulomonas sp. [3ml(${\mu}{\textrm}{m}$ D-glucose/ml. mil-1) of enzymes solution 11009 of leaf tobacco] and nicotine degradative bacteria, Pseudomonas sp. 2ml(IX109 cells$\div$ 100g of leaf tobacco), and subsequently fermented at 40${\mu}{\textrm}{m}$$^{\circ}C$, 65% R. H. for 40 days are as follows : 1) Content of crude fiber decreased 12% It took 9 min, 53 sec. to reach full combustion in control group but took only 7 min. 47 sec. in the treated group, taking almost equal time to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7 min. 35sec.). 2) Light intensity of control group was 60.96% with bright lemon color but that of treated leaf tobacco accounted for 47.69 with orange to dark brown color series, which was almost equal to the value, 45.69, of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3) Linoleic acid, serving mild taste among organic acids, amounted to 1.llmg/g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to 1.35m9/9 in the treated leaf tobacco, identical to the content(1.35mg/g) of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4) Content of solanone, on of the typical leaf tobacco flavor compounds, accounted for 2.95%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to 2.87% in treated group. 5) Methyl furan, useful flavor compound in smoke composition, accounted for 17.6$\mu\textrm{g}$/cig.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to 25.9$\mu\textrm{g}$/cig. in treated group. However, acroleine decreased from 69.3$\mu\textrm{g}$/cig. in control group to 58.6$\mu\textrm{g}$/cig. in treated group 2. In sonsory test, mild taste evaluation of control group scored 5.47 and treated group 7.93 which was evaluted almost equal to the value(8.00) of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Aroma evaluation of control group scored 5.60, treated group 8.20, and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8.33. In addition, total harmony taste of control group showed 5.67, treated group 8.07 (p<0.01), and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8.00.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quality of treated leaf tobacco is not inferior to that 2-year naturally aged leaf tobacco.

  • PDF

염류수준별 고추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식물생육보진미생물(植物生育保進微生物) 접종효과 (Effect of Plant-Growth-Promoting-Bacterial Inocul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L.) with Different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Level)

  • 이영한;양민석;윤한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6-402
    • /
    • 1996
  • 식물생육촉진 유용미생물을 지리산 일대의 침엽수와 활엽수 밑의 부엽토(腐葉土)에서 선발하고, 고추에 접종하였을때 고추 묘소질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배양결과 Pseudomonas P배지는 $25^{\circ}C$에 Micrococcus sp., Enterobacter agglomerans,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fluorescens등 4균주, Sabouraud dextrose배지에서는 $35^{\circ}C$에서 Bacillus subtilis, Cellulomonas sp., Bacillus megaterium, Staphylococcus xylosus등 4균주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2. 혼합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초장, 분지수등은 증가하였고, EC 수준이 높아질수록 초장은 작아진 반면, 분지수는 혼합균주 처리 58일(日) 이후 EC 2.9ds/m에 비해 EC 8.6 dS/m에서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수량은 혼합균주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13% 증수되었고, EC 수준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3. 시험후 토양의 EC, $P_2O_5$, K, Ca, Mg, $NO_3-N$은 EC 수준이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혼합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OM 및 $NH_4{^+}-N$은 낮은 반면, EC, $P_2O_5$, K, Ca, Mg, $NO_3-N$은 높은 경향이었다. 4. 시험후 혼합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수분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EC 수준이 높아 질수록 가밀도 수분율, 공극율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혼합균주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과실과 엽에서 T-N, $P_2O_5$, $K_2O$, CaO, MgO함량이 높았으며, EC 수준이 높아질수록 $P_2O_5$, $K_2O$, MgO 함량은 증가한 반면, CaO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